누가 어느 정도 고음의 아리아를 불렀나?
현재로서는 프랑스의 나탈리 데사이의 G#6가 기록
독일의 디아나 담라우는 Divine Diva라는 호칭으로 불려
'라크메'에서의 나탈리 드사이. 정상의 소프라노로서는 현재까지 가장 높은 음이 나오는 아리아를 불렀다. 하이 C를 훨씬 넘어서 하이 G 샤프였다.
○ A5 가 나오는 아리아
-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돈 카를로: O don fatale)
- 비벌리 실스(Beverly Sills) (줄리오 세자레)
- 비르기트 닐슨(Birgit Nilsson) (투란도트)
- 마리아 칼라스(노르마)
- 조앤 서덜랜드(Joan Sutherland)
○ Bb5 가 나오는 아리아
- 레온타인 프라이스(Leontyne Price)
- 몽세라 카바예(Montserra Caballe)
- 레나타 테발디(Renata Tebaldi) (나비부인): Un bel di vedremo
- 마리아 칼라스(토스카): Vissi d'arte, vissi d'amor
○ B5 가 나오는 아리아
- 에바 마튼(Eva Marton)
- 비르기트 닐슨(Birgit Nilsson)
- 테레사 베르간차(Teresa Berganza) (피가로의 결혼): Una voce poco fa
- 마리아 칼라스(피가로의 결혼)
○ C6 가 나오는 아리아
- 마리아 칼라스
- 안나 네트렙코(Anna Netrebko) (피가로의 결혼)
- 레지나 크레스팽(Regina Crespin)
- 레온타인 프라이스(Leontyne Price) (아이다: 이기고 돌아오라)
- 비르기트 닐슨
○ C#6 가 나오는 아리아
- 조앤 서덜랜드
- 나탈리 데사이(Natalie Dessay)
- 안나 네트렙코(Anna Netrebko) (레하르: 주디타)
- 레온타인 프라이스(Leontyne Price)
- 에와 포들스(Ewa Podles)
○ D6 가 나오는 아리아
- 조앤 서덜랜드
- 에디타 그루베로바(Edita Gruberova)
- 로베르타 피터스(Roberta Peters): (세빌리아의 이발사)
- 비벌리 실스
○ Eb6 가 나오는 아리아
- 루치아나 세라(Luciana Serra) (올림피아: 호프만의 이야기)
- 조앤 서덜랜드
- 체칠리아 바르톨리(Cecilia Bartoli) (피가로의 결혼)
- 조수미(SuMi Jo)
- 아델라이데 네그리(Adelaide Negri)
- 준 앤더슨
○ E6 가 나오는 아리아
- 나탈리 데사이(연대의 딸)
- 비벌리 실스
- 로라 클레이콤(Laura Claycomb)
○ F6 가 나오는 아리아
- 디아나 담라우(Diana Damrau) (밤의 여왕)
- 마리엘라 데비아(Mariella Devia)
- 나탈리 데사이
- 루치아나 세라(Luciana Serra)
- 에디타 그루베로바
- 크리스티나 도이테콤
○ F#6 가 나오는 아리아
- 디아나 담라우(마술피리)
- 나탈리 데사이
- 잉게보리 할슈타인(Ingeborg-Hallstein)
○ G6 가 나오는 아리아
- 나탈리 데사이(올림피아: 호프만의 이야기)
- 디아나 담라우(살리에리의 L'Europa Riconosciuta 에서 Numi, respiro...Ah, Il sento) Aire di Bravura
- 엘리자베스 비달(Elizabeth Vidal)
- 마리아 알레이다 로드리게스(Maria Aleida Rodriguez)
○ G#6 가 나오는 아리아
- 나탈리 데사이(라크메, 박쥐)
- 마도 로뱅(Mado Robin)
- 비벌리 실스
○ C7을 낸 소프라노
- 에르나 자크(Erna Sack)
독일 출신의 소프라노 디아나 담라우.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으로 하이 F#6까지 내는 뛰어난 기량을 보여 주었다.
'디바·디보의 세계 > 오페라 성악가 분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높은 음, 낮은 음의 세계기록 (0) | 2016.05.20 |
---|---|
오페라 성악의 영역 (0) | 2015.08.01 |
정상 오페라 성악가 연대기 (0) | 2008.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