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오페라 작곡가 /개혁자 글룩

글룩의 오페라 총정리

정준극 2018. 3. 3. 13:49

글룩의 오페라 총정리


오페라의 제목, 장르, 구성(서브 디비전), 대본, 초연일자, 초연장소, 비고의 순으로 소개한다. 구성은 몇 막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소개하는 것이다. 대본에 있어서는 대본을 작성한 사람과 원래 누구의 작품을 바탕으로 대본을 썼는지도 함께 소개한다. 첫 오페라는 글룩이 27세 때인 1741년에 완성했다. 마지막 오페라는 '터리드의 이피제니'를 독일어 버전으로 수정한 것이다. 독일어 제목은 '타우리스의 이피게니'(Iphigenie auf Tauris)로서 글룩이 67세 때인 1781년에 완성한 것이다. 그후 글룩은 아무래도 건강이 여의치 않아서 6년 후인 1787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사소한 작품들이나 간혹 작곡하며 지냈다.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


○ 아르타세르세(Artaserse). 음악 드라마(dramma per musica). 3막. 메타스타시오(Metastasio). 1741년 12월 26일. 밀라노의 레지오 두칼(Regio Ducal: 라 스칼라의 전신). 전체음악은 분실되었고 두개의 아리아만이 남아 있다.

○ 데메트리오(Demetrio) 또는 클레오니체(Cleonice).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42년 5월 2일. 베니스의 산타 사무엘레극장. 8개의 아리아만이 남아 있다.

○ 데모폰테(Demofoonte).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의 '데모폰테'. 1743년 1월 6일. 밀라노의 레지오 두칼레. 신포니아, 레시타티브, 아리아 한 곡이 분실되어 있다.

○ 티그라네(Il Tigrane). 음악 드라마. 3막. 카를로 골도니가 프란체스코 실바니의 La virtu trionfante dell'amore(정절이 사랑에 승리하다)를 바탕으로 대본 작성. 1743년 9월 26일. 크레마(Crema: 북부 이탈리아 롬바르디 지방의 도시). 11곡의 아리아와 한 곡의 듀엣만이 남아 있다.

○ 라 소포니스바(La Sofonisba).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44년 1월 18일. 밀라노의 레지오 두칼레. 10곡의 아리아와 한곡의 듀엣이 남아 있다.


글룩의 첫 오페라인 '아르타세르세'의 무대


○ 이페르메스트라(Ipermestra).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44년 11월 21일. 베니스의 산 조반니 그리소스토모 극장.

○ 포로(Poro).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44년 12월 26일. 토리노의 테아트로 레지오. 신포니아,. 4곡의 아리아, 한 곡의 듀엣이 남아 있다.

○ 이폴리토(Ippolito). 음악 드라마. 3막. G.G. 코리오(Corio). 1745년 1월 31일. 밀라노의 레지오 두칼레. 6곡의 아리아와 한곡의 듀엣이 남아 있다.

○ 거인들의 몰락(La caduta de' giganti). 음악 드라마. 2막. 프란체스코 바네스키(Francesco Vanneschi). 1746년 1월 7일. 런던 왕립극장. 아리아 5곡 및 듀엣 한 곡 남아 있다.

○ 아르타메네(Artamene). 음악 드라마. 3막. 프란체스코 바네스키. 1746년 3월 4일. 런던 왕립극장. 아리아 6곡 남아 있다.


알렉산더와 인도의 왕 포로(포로스). 그림


○ 헤르큘레스와 헤베의 결혼(Le nozze d'Ercole e d'Ebe: The Marriage of Hercules and Hebe). 음악드라마. 2막. 대본가 미상. 1747년 6월 29이. 드레스덴 필니츠성(Schloss Pilnitz).

○ 정체를 밝힌 세미라미데(Semiramide riconosciuta: Semiramis Revealed). 음악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48년 5월 14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궁정극장).

○ 신들의 분쟁(La contesa de' numi: Der Streit der Gotter). 축제 작품(festa teatrale). 2막. 메타스타시오. 1749년 4월 9일. 코펜하겐 샬로테보르

○ 에치오(Ezio: 첫번째 버전).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50년 카니발. 프라하

○ 이씨필레(Issipile). 음악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52년 카니발. 프라하. 아리아 3곡 남아 있다.


'에치오' 그림.


○ 티토의 자비(La clemenza di Tito).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52년 11월 4일. 나폴리 산 카를로극장.

○ 중국여인(La cinesi). 콤포니멘토 드라마티코(Componimento drammatico: Azione teatrale를 의미함. 주로 단막의 음악드라마). 1막. 메타스타시오. 1754년 9월 24일. 비엔나와 슐로스호프(Schlosshof: 슬로바키아와의 국경지대에 있는 궁전. 사보이의 오이겐공자의 소유였으나 후에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가 매입하여 합스부르크 황실 재산이 되었음).

○ 춤(La danza). 콤포니멘토 파스토랄레(Componimento pastorale: Azione teatreale를 의미함. 주로 목가적 내용의 단막의 음악드라마). 1막. 메타스타시오. 1755년 5월 5일. 비엔나 교외의 락센부르크(Laxenburg).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의 셋째 아들로 훗날 신성로마제국의 레오폴드 2세 황제가 되는 페터 레오폴드의 생일축하 작품.

○ 입증된 무죄(L'innocenza giustificata: Innocence Justified). 축제 작품(festa teatrale). 1막. 자코모 두라쪼(Giacomo Durazzo)가 메타스타시오의 대본을 바탕으로 재작성. 1755년 12월 8일. 비엔나의 부르크테아터(Burgtheater: 궁정극장)

○ 안티고네(Antigone).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56년 2월 9일. 로마의 테아트로 아르젠티나.


슬로바키아 국경지대에 있는 슐로스호프. 오이겐 공자의 사냥숙사였다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가 매입하였다.


○ 목동왕(Il re pastore: The Shepherd King).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56년 12월 8일. 비엔나의 부르크테아터(궁정극장)

○ 거짓 노예(La fajusse esclave: The False Slave: La vestale로 수정). 오페라 코미크. 1막. 루이 앙솜(Louise Anseaume)과 피에르 오귀스탱 르페브르 드 마르쿠비유(Pierre-Augustin Lefévre de Marcouville)의 '거짓 모험'(La fausse aventuriére)을 바탕으로 한 대본. 1758년 1월 8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멀린의 섬(L'Ile de Merlin 또는 거꾸로 된 세상: Le monde renversé: World Upended). 오페라 코미크. 1막. 알랭 르네 르사지(Alain René Lesage)와 도르느발(D'Orneval)의 '거꾸로 된 세상"(Le monde renversé)을 바탕으로 루이 앙솜이 대본 작성. 1758년 10월 3일. 비엔나의 쇤브룬(Schloss Schönbrunn) 궁전극장

○ 사이테라 포위(La Cythére assiégée: Cythera Besieged: 첫번째 버전). 오페라 코미크. 1막. 화바르(Favart)와 바르텔르미 크리스토프 화구(Barthélemy-Christophe Fagou)의 '사랑의 힘'(Le puvoir de l'amour) 또는 '사이테르 포위'(Le siegé de Cythére)를 바탕으로 샤를르 시몬 화바르(Charles Simon Favart)가 대본작성. 1759년 1월 1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갚을 사람은 악마(Le diable a quatre 또는 La double metamorphose: The Devil to Pay). 오페라 코미크. 3막. 샤를르 코피(Charles Coffey)의 '갚을 사람은 악마'를 바탕으로 미셀 장 스댕(Michel Jean Sedaine)과 피에르 보랑(Pierre Baurans)이 공동으로 대본 작성. 1759년 5월 28일. 비엔나 교외의 락센부르크.


비엔나의 쇤브룬궁전 극장 오디토리움


○ 마법의 나무(L'arbre enchanté 또는 La tuteur dupé: The Tutor Duped: 멍청한 가정교사). 오페라 코미크. 1막. 장 조셉 바데(Jean-Jospeh Vadé)의 Le poirier를 바탕으로 삼은 대본. 1759년 10월 3일. 비엔나 쇤브룬 궁전극장

○ 술주정꾼이 개혁되다(L'ivrogne corrigé 또는 le mairage du diable: 악마의 결혼). 오페라 코미크. 2막. 루이 앙솜(Louis Anseaume)과 장 바티스트 루르데 드 상트리(Jean-Baptiste Lourdet de Santerie)의 대본. 1760년 4월.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테티스(Tetide: Thetis). 세레나타. 2막. 조반니 앙브로지오 밀리아바타(Giovanni Ambrigio Migliavacca). 1760년 10월 10일. 비엔나 호프부르크(Hofburg)

○ 멍청이 카디(Le cadi dupé: The Duped Qadi: The Duped Judge). 오페라 코미크. 1막. 장 바티스트 로르디에(Jean-Baptiste Lourdier) 원작 바탕. 1761년 12월 8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Orfeo ed Euridice). 아치오네 테아트랄레(Azione teatrale). 3막. 라니에리 드 칼차비기(Ranier de' Calzabigi). 1762년 10월 5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의 피날레. 현대적 연출


○ 클로엘리아의 승리(Il trionfo di Clelia: The Triumph of Cloelia). 음악 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63년 5월 14일. 볼로냐의 테아트로 코뮤날레

○ 에치오(Ezio: 두번째 버전). 음악드라마. 3막. 메타스타시오. 1763년 12월 26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뜻밖의 만남(La rencontre imprévue: The Unexpected Encounter 또는 The Pilgrims Mecca: 순례자의 메카). 오페라 코미크. 3막. 알랭 르네 르사즈(Alain René Lesage)와 도르네발(D'Orneval)의 '메카의 순례자'(Les pélerins de la Mecque)를 바탕으로 루이 위르토 당쿠르(L.H. Dancourt)가 대본작성. 1764년 1월 7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혼란에 빠진 파르나서스(Il Parnasoo confuso: Parnassus in Turmoil). 세레나타. 1막. 메타스타시오. 1765년 1월 24일. 비엔나 쇤브룬궁전 극장

○ 텔레마카스(Telemaco: Telemachas: 또는 키르세의 섬: L'isola di Circe: Circe's Island). 음악 드라마. 3막. 카롤로 시기스몬도(Carlo Sigismondo) 원작을 바탕으로 마르코 콜첼리니(Marco Coltellini)가 대본작성. 1765년 1월 30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지금은 철거되어 흔적이 없는 비엔나의 옛 부르크테아터에서의 공연장면 그림. 글룩의 여러 오페라들이 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 왕관(La corona: The Crown). 아치오네 테아트랄레. 1막. 메타스타시오. 원래 1765년 10월 4일 초연 예정이었으나 사정상 공연되지 않았음. 1987년 11월 13일 초연. 비엔나 쇤브룬궁전 극장

○ 서막(Il prologo). 로렌초 오타비오 델 로소(Lorenzo Ottavio del Rosso). 1767년 2월 22일. 플로렌스의 테아트로 델라 페르골라. 트라에타의 오페라를 소개하기 위한 서막의 음악이다.

○ 알체스테(Alceste). 비극(tragedia). 3막. 유리피데스 원작을 칼차비기가 대본으로 만듬. 1767년 12월 26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 아폴로의 축제(Le feste d'Apollo: The Festivals of Apollo). 서막과 3막. 가스토네 레쪼니코, 주세페 마리아 파니니, 주세페 페짜니, 칼차비기 공동 대본. 1769년 8월 24일. 파르마

○ 파리스와 헬렌(Paride ed Elena: Paris and Helen). 음악 드라마. 5막. 칼차비기. 1770년 11월 3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파리에와 엘레나'(파리스와 헬렌). 헬렌역은 소프라노 리타 마토스 알베스


○ 얼리드의 이피제니(Iphigénie en Aulide). 비극(tragédie). 3막. 장 라신(Jean Racine) 원작을 바탕으로 프랑수아 루이 강 르 블랑 뒤 루예(Francois-Louis Gand Le Bland du Roullet)가 대본작성. 1774년 4월 19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얄)

○ 오르페와 유리디스(Orphée et Euridice: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의 프랑스어 버전). 비극적 오페라(tragédie opéra). 3막. 라니에리 데 칼차비기의 대본을 바탕으로 피에르 루이 몰린(Pierre-Louis Moline)이 다시 대본작성. 1744년 8월 2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얄)

○ 마법의 나무(L'arbre enchanté: The Magic Tree: 두번째 버전). 오페라 코미크. 1막. 장 조셉 바데 원작을 피에르 루이 몰린이 대본 작성. 1775년 2월 27일. 베르사이유궁전 극장

○ 사이테라 포위(La Cythére assiégée: Cythera Besieged: 두번째 버전). 오페라 발레. 3막. 샤를르 시몬 화바르(Charles Simon Favart). 1775년 8월 1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얄)

○ 알세스트(Alceste: 프랑스어 버전). 비극. 3막. 칼차비기의 대본을 프랑수아 루이 강 르 블랑 뒤 루예가 대본 작성. 1776년 4월 23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열)


베르사이유궁전극장의 오디토리엄


○ 아르미드(Armide). 영웅적 드라마(drame-héroique). 5막. 토르쿠아토 타소(Torquato Tasso)의 '예루살렘 해방'(La Gerusalemme liberata)을 바탕으로 필립 퀴노(Philippe Quinault)가 대본 작성. 1777년 9월 23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얄)

○ 터리드의 이피제니(Iphigénie en Tauride). 비극. 4막. 클로드 귀몽 드 라 투세(Claude Guimond de la Touche)의 원작을 바탕으로 니콜라스 프랑수아 귀야르(Nicola-Frfnacois Guillard)가 대본작성. 1779년 5월 18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얄)

○ 에코와 나르시스(Echo et Narcisse). 드라마 리리크(drame lyrique). 서막과 3막. 오비드(Ovid)의 '변형'(Métamorphoses)을 바탕으로 루이 테오도르 바롱 드 츄디(Louis Théodore Baron de Tschudi)가 대본 작성. 첫번째 버전은 1779년 9월 24일, 두번째 버전은 1780년 8월 8일. 파리 오페라(팔레 로얄)

○ 타우리스의 이피게니(Iphigenie auf Tauris: 터리드의 이피제니의 독일어 버전). 비극적 징슈필. 4막. 니콜라스 프랑수아 귀야르의 대본을 바탕으로 요한 밥티스트 폰 알싱거(Johann Baptist von Alxinger)와 글룩이 독일어 대본 완성. 1781년 10월 23일. 비엔나 부르크테아터.


1781년 화재가 나기 전의 파리 오페라의 팔레 로얄


ä ö ü á 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