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소리
타이틀: La Voix Humaine (The Human Voice). 단막의 서정적 비극. 프랑스의 쟝 콕토(Jean Cocteau)가 자기의 희곡을 바탕으로 대본을 직접 썼다.
초연: 1959년 파리 오페라 코믹극장. 정식 초연은 룩셈부르그에서 있었다.
배역: 굳이 이름이 필요 없는 어느 여인. 오페라에서는 엘르(Elle: 그 여자)라고 되어있음.
사전지식: 이 작품은 이른바 모노오페라이다. 출연자가 메조소프라노 단 한사람이다. 단 한사람의 아티스트에게 모든 것을 요구하는 그런 작품이다. 오케스트라와 지휘자는 이 작품에서 또 다른 대화자이다. 공연시간은 약 45분이다. 아이다와 투란도트에 열광했던 사람들로서는 상당히 충격적인 작품이다. 그러나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무언가 색다른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작품이다. 최근 공연으로 세계적 관심을 끈 메조소프라노 휄리시티 로트(Felicity Lott)는 마치 마라톤경주에 나선 것과 같다는 표현을 했다. 어느 시점에서 치닫고 나가야 하며 어느 시점에서 스피드를 자제해야 하는지를 깊이 고려하며 공연을 해야 했다는 설명이다. ‘인간의 음성’은 공연시간이 짧기 때문에 팔리아치-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콤비와 마찬가지로 ‘몬테 칼로 부인’(La Dame de Monte Carlo)과 같이 공연되는 경우가 많다. ‘몬테 칼로 부인’은 푸르른 지중해로 몸을 던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자기의 운을 걸고 도박의 주사위를 던지는 어떤 퇴물 창녀의 얘기를 담고 있는 오페라이다. 역시 모노오페라이다.
에피소드: 메노티의 또 다른 모노오페라로서 The Telephone(전화)이 있다. 전화가 기분을 상쾌하게 만드는 단순한 작품이라면 ‘인간의 음성’은 보다 심각한 의미를 던져주는 작품이다. 풀랑크는 이 모노 오페라를 소프라노 드니스 뒤발(Denise Duval)을 위해 작곡했다. 드니스 뒤발은 ‘갈멜파 수녀의 대화’의 파리 초연에서 블랑셰를 맡았었다.
줄거리: 1950년대 말 프랑스이다. 멋있게 생긴, 그러나 성격이 까다로울것 같은 어떤 여인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림받은후 혼자 살고 있다. 불쌍하게도 이 여인은 너무나 번뇌한 나머지 정신이상이 생겼는지, 또는 정신은 온전하지만 무언가 허탈하고 반항하고 싶었는지 자살 충동을 느낀다. 여인은 마지막으로 그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행복하기도 했고 힘들기도 했던 지나간 시절의 추억, 지금의 상황, 앞으로의 희망에 대하여 얘기하기로 한다. 전화는 중간에 잡음이 들리고 혼선이 되다가 끊어진다. ‘여보세요! 여보세요!’(Allô, allô...) 전화는 엉뚱한 사람이 받기도 한다. 처음에는 신중하고 점잖게 전화하려던 이 여인의 심정은 전화가 통화되지 않자 절망과 강박관념으로 점점 초조해진다. 여인은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하게 되자 죽고 싶은 심정이다. 그러다가 전화가 연결된다. 여인은 긴장하고 고통스러워서 정작 할말은 하지 못한다. 전화기가 침대위에 던져진다. 여인도 침대위에 쓰러진다. 전화기와 씨름한지 40분이 지난다.
갈멜파 수녀의 대화
타이틀: Les Dialoques des Carmélites (Dialogues of the Carmelites; Carmelites Dialogue). 역사적 비극 이야기를 다룬 3막의 오페라. 프랑스어 대본은 어네스트 라브리(Ernest Lavery)가 썼다. 원작은 게르트루트 폰 르 포르트(Gertrud von le Fort)의 Die letzte am Schafott(교수대의 마지막 사람)이다.
초연: 1957년 밀라노 스칼라극장
주요배역: 마르키스 드 라 포스(포스자작), 슈발리에 드 라 포스(포스자작의 아들), 블랑셰 들 라 포스(포스자작의 딸: 그리스도의 고뇌 블랑셰), 티에리(하인), 콘스탄스(생 드니의 콘스탄스 수습수녀), 마담 드 크화씨(수녀원장), 마더 마리(예수강림의 마리: 수녀원 부원장), 마담 린두안(신임 수녀원장), 무슈 쟈벨리노(의사), 마더 쟌느(아기예수의 수녀)
베스트 아리아: Salve regina(수녀들의 합창)
사전지식: 갈멜파 교회는 바티칸으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받아 교황은 갈멜파의 신부, 수녀를 비롯한 모든 신도를 파문한바 있다. 교황은 갈멜파를 악마주의를 신봉하는 교파라고 비난하였다. 일부의 주장에 따르면 갈멜파는 섹스를 신성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했다.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자 혁명세력은 갈멜파가 가톨릭 신앙에 어긋난다고 하여 박해를 했다. 플랑크(또는 뿔랑)는 이 오페라의 극적인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오케스트라 스코어에 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스토리가 극적인 만큼 음악도 강력하다.
줄거리: 시기는 프랑스 혁명의 와중이다. 젊고 아름다운 블랑셰 드 라 포스(Blanche de la Fore)의 오빠와 아버지는 블랑셰가 매사에 너무나 두려움이 많아 걱정이다. 블랑셰는 혼란한 세상이 환멸을 느끼고 있다. 특히 언젠가 마차를 타고 가다가 폭도들에게 잡혀 곤욕을 치룬 것이 기억에 남아 세상에 대한 두려움이 한층 더하다. 블랑셰는 속세를 떠나 수녀가 되기로 결심하고 갈멜파 수녀원의 수습수녀로 들어간다. 블랑셰는 자기의 이름을 ‘그리스도의 고뇌 블랑셰’ 수녀라고 바꾼다. 젊은 수습수녀 콘스탄스(Constance)가 혼돈스러워 하는 블랑셰의 친구가 된다. 아기예수의 콘스탄스라는 이름을 가진 젊은 수습수녀는 천성이 명랑하고 쾌활하다. 어려운 일이 있으면 주님께 기도하고 도움을 청한다. 친구가 된 두 사람은 언젠가 같은 날에 주님을 위해 함께 죽자는 소망을 지닌다. 어느날, 블랑셰에게는 어머니와 같았던 늙은 수녀원장이 세상을 떠난다. 수녀원장은 연약한 신앙의 블랑셰를 수녀원의 원로 마리(Marie)수녀에게 의탁하고 세상을 떠난다. 수녀원장을 위한 진혼곡이 가슴에 스며든다. 블랑셰가 수녀원장의 시신을 지키는 차례가 된다. 그러나 수녀원장의 시신을 보고 죽음에 대한 공포 때문에 오히려 두려움에 떤다. 하지만 콘스탄스는 우리도 언젠가는 저렇게 죽으려니 하면서 별로 두려워하지 않는다. 새로 수녀원장이 된 마리수녀는 다른 수녀들을 모두 불러놓고 갈멜파 수녀원에 위험에 다가오고 있다고 경고한다. 로마교황청이 갈멜파를 이단으로 간주하여 파문했다는 소식도 전한다.
얼마후 블랑셰의 오빠인 슈발리에 드 라 포스(Chevalier de la Force)가 찾아와 혁명세력 때문에 갈멜파 수녀원이 박해를 받을 것 같으니 어서 집으로 돌아가자고 사정한다. 그러나 블랑셰는 선뜻 따라나서지 못한다. 주님께 대한 서약 때문이다. 혁명정부는 갈멜파 수녀들은 모두 수녀직을 버리고 수도원을 떠나야 한다는 새로운 혁명법을 선포한다. 만일 수녀원을 떠나지 않는다면 이단으로 간주하여 처벌하겠다는 엄명이다. 수녀들이 떠나지 않고 그대로 있자 혁명주의자들이 몰려와 수녀들을 몰아내려고 한다. 새로 수녀원장에 오른 마리(Marie)수녀는 신앙을 버리느니 차라리 모두 죽음을 택하자고 제안한다. 수녀들이 순교에 대한 찬반 투표를 할 때에 블랑셰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몰래 반대표를 던지고 그 자리에서 도망간다. 친구 콘스탄스가 블랑셰에게 어차피 사람은 신념 때문에 목숨을 던질수도 있다고 하면서 용기를 준다. 블랑셰는 걸음을 재촉하여 집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블랑셰의 집은 폭도들에게 약탈당했으며 아버지는 혁명주의자들에게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너무나 낙담한 블랑셰는 갈곳이 없어 다시 수녀원으로 돌아간다. 마리수녀원장은 ‘도피한다면 영혼을 구원하지 못하게 될것이라’고 말하면서 블랑셰의 마음을 달래준다. 갈멜파 수녀들은 모두 체포되어 감옥에 갇힌다. 감옥에서 마리수녀원장은 수녀들에게 용기를 가지라고 권한다. 블랑셰도 다른 수녀들과 함께 감옥에 갇혀있다.
파리의 혁명광장이다. 교수형이 처해지는 곳이다. 교수대를 둘러싼 군중들은 ‘오~’와 ‘아~’라는 가사로만 노래를 부른다. 수녀들이 차례로 길로틴 계단을 오른다. 수녀들은 교수대에 오를때 Salve regina라는 노래를 부른다. 처음에 수녀들의 노래는 힘이 있었지만 하나 둘씩 길로틴의 칼날에 목이 잘리자 노래 소리가 점점 희미해진다. 모두 처형되고 콘스탄스와 블랑셰만 남는다. 콘스탄스가 길로틴에 목을 내 맡겼을 때 블랑셰가 올라와 콘스탄스의 노래를 받아 부른다. 그리고 자기도 길로틴에 몸을 맡기고 언젠가는 둘이서 함께 죽자는 약속을 지킨다.
퍼레이드
타이틀: Parade. 타이틀은 퍼레이드라고 붙였지만 실은 세 사람의 작곡가에 의한 연작을 하나로 묶은 것이다. 제1편 퍼레이드(Parade)는 에릭 사티(Erik Satie)가 작곡했다. 제2편 레 마메유 드 티레시아(Les Mamelles de Tirésias: 티레시아의 유방)는 프란시스 플랑크의 작품이다. 제3편 랑팡 떼 르 소르틸레즈(L'Enfant et les Sortilèges: 어린이와 마법의 주문)는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의 작품이다. 그러나 플랑크가 맡은 부분이 중심되는 내용이므로 편의상 플랑크를 대표 작곡가로 간주하고 있다. 제1편 퍼레이드는 발레가 중심을 이루지만 내용은 장 콕토 원작에서 발췌한 것이다.
초연: 원작 희곡은1917년 제1차 대전의 막바지에 독일군과의 전선이 파리에서 불과 1백마일 떨어져 있는 긴박한 상황에서 초연되었다. 오페라 퍼레이드는 1947년 파리 오페라 코미크에서 초연되었다.
주요배역: 테레세와 그의 남편, 경찰관
사전지식: 초연에서는 안무를 유명한 레오니드 마씨느(Leonide Massine)가 담당했으며 무대 설계는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가 맡아 화제를 뿌렸었다. 퍼레이드는 극장에서 본 공연이 시작되기 전에 흥을 돋우기 위해 공연되는 광대들의 해학극이다. 약간 유치한 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람들은 의외로 유치한 것에 관심을 두는 경우가 있다. 극장 밖의 길거리에서 공연되기도 하며 극장안의 본 무대 옆에 마련된 사이드 무대에서 공연되는 경우도 있다. 일종의 실험적 오페라라고 보면 된다.
에피소드: L'Enfant et les Sortilèges(어린이와 마법의 주문)은 라벨의 독립적인 작품이르모 라벨편에서 별도로 개한다.
줄거리: 제2편 Les Mammelles de Tirésias(티레시아의 유방)의 줄거리부터 살펴본다. 연미복을 차려 입은 극장 매니저가 무대의 막 앞에 나와 이제부터 도덕 개혁을 목적으로 한 연극을 공연하겠다고 소개하며 이어 이 쇼는 관객들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들에게 더 많은 아이들을 낳으라고 격려하는 내용이라고 설명한다. 무대 한 복판에서 테레스(Thérèse)가 흥분된 목소리로 자기는 사랑이란 것을 거부하며 남녀평등주의를 환영한다고 주장한다. 테레스는 남편에게 복종하기를 거부하며 집을 나가 군인이 되어 남녀평등을 실천하겠다고 내세운다. 그러면서 테레스는 블라우스를 벗어 던지고 풍선과 같이 솟아오른 젖가슴을 당당히 내보인다. 놀랍게도 테레스의 얼굴에서 수염이 돋아나 남자와 같은 모습이 된다. 테레스는 남편에게 자기는 더 이상 그의 부인이 아니라고 선언하고 이후로부터는 이름도 티레시아(Tirésias)라고 바꾸니 그렇게 알아 달라고 말한다. 두 명의 술주정꾼 - 프레스토와 라쿠프가 카페에서 나와 서로 다투더니 결투를 하는 바람에 두 사람 모두 죽는다. 남자처럼 스마트하게 옷차림을 한 테레스/티레시아가 등장한다. 반면 그의 남편은 지저분한 일반 서민 가정주부 차림이다. 테레스/티레시아와 여장의 남편은 마을 사람들을 불러 술주정꾼 두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도록 한다. 프랑스의 경찰관(Gendarme라고 부름)이 현장에 도착하여 조사를 하는 척 하면서 실은 테레스/티레시아와 여자 차림인 그의 남편과 시시덕거리기만 한다. 아프리카 잔지바르 사람들이 지나가다가 테레스/티레시아를 보고 장군이라고 하면서 경례를 부친다. 남편은 경찰관에게 만일 잔지바르의 여자들이 아기 낳기를 거부한다면 자기가 대신 아기를 낳겠다고 말하며 오늘 저녁때까지 얼마든지 낳을수 있다고 약속한다. 어떤 여기자가 장난같은 소리는 집어치우라고 소리치지만 아무도 들어 주지 않는다. 결투로 죽었던 두 명의 술 주정꾼은 느닷없이 살아난다. 남자들이 자기 부인들의 담배에 불을 붙여준다. 모두들 성전환에 대하여 곰곰이 생각한다. 막이 내리며 모두를 막 뒤로 사라지지만 카페에서 노래 부르는 여가수의 다리만이 무대 밖으로 삐죽하게 나와 있다.
제2막. 막이 오르기 전, 몇 사람이 무대위 막 앞에서 가보트 춤을 추고 있다. 무대 안에서 아기들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춤추던 사람들은 그 소리에 방해를 받아 더 이상 춤을 추지 않는다. 막이 오르자 무대는 유모차들로 넘쳐있다. 남편은 4만명의 아기들을 낳았다. 신문기자들이 몰려와 인터뷰한다. 남편은 기자들에게 아기를 많이 낳으면 낳을수록 더 부자가 된다고 얘기해준다. 아기들이 나중에 돈을 벌어 가져다주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남편이 낳은 아기들중 어떤 아기는 소설을 써서 벌써 60만부나 팔았다. 신문기자가 돈좀 빌려달라고 하니까 남편은 그 신문기자를 발로 차서 쫒아 버린다. 경찰관이 남편을 고발하겠다고 위협한다. 갑자기 4만명이나 되는 인구를 새로운 주민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남편은 점쟁이에게서 식량 배급표를 얻을수 있으므로 아기들을 먹여 살리는 데에는 아무런 걱정이 없다고 말한다. 베일을 쓴 점쟁이 여인이 들어와 경찰과 다툰다. 경찰은 점쟁이 직업이 불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자 점쟁이 여인은 화를 내며 경찰관을 목 졸라 죽인다. 점쟁이 여인이 베일을 벗는다. 놀랍게도 테레스였다. 이번에는 여자의 모습이다. 테레스는 남편과 다른 사람들을 인도하여 사랑과 부모의 역할을 찬미토록 한다. 전체 출연자들이 무대에 나와 관객들에게 아기를 많이 만들라고 간곡히 권유하는 가운데 막이 내린다.
제3편. L'Enfant et les Sortiléges는 라벨의 작품편에서 다시 소개한다. 엄마가 말 안듣는 아들에게 제발 착한 아이가 되라고 간곡히 당부한다. 이 아이는 엄마가 나가고 혼자 있게 되자 한동안 못된 장난을 하다가 지쳐서 푹신한 의자에 앉자 의자는 일어나 다른 곳으로 가 버린다. 사실 가구란 가구는 모두 이 소년에게 반항하고 있다. 소년은 겁에 질려서 오돌오돌 몸을 떤다. 눈물방울이 동화책에 떨어진다. 소년이 가장 좋아하던 동화속의 공주가 책 페이지에서 일어나 나온다. 그러나 소년은 공주를 책 속으로 다시 눌러서 들여보낸다. 놀라운 것은 산수(수학)가 늙은이 모습으로 변하여 숫자들과 회의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양이들이 서로 말을 한다. 소년은 고양이를 따라 정원으로 나간다. 개구리, 나무들, 잠자리, 박쥐들이 밤하늘을 신나게 날아다니며 즐겁게 얘기를 나누다가 소년을 보자 맹공격한다. 소년의 못된 버릇을 혼내주기 위해서이다. 소년은 이들의 공격을 피하여 무조건 숲속으로 도망가다가 길을 잃는다. 이들은 소년을 계속 따라가서 혼내주려고 하다가 소년이 상처를 입은 다람쥐를 붕대로 감아주는 모습을 보자 마음을 누그러뜨린다. 황량하게 내버려진 소년은 자기의 잘못을 깊이 뉘우치듯 엄마를 부르며 엉엉 운다. 동물들이 이 소년을 엄마가 있는 곳으로 안내해 준다. 줄거리는 라벨편의 ‘어린이와 마법의 주문’과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원래 드라마라는 것이 사정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니만치 별로 신경쓸 일이 아니다.
'오페라 이야기 > 작곡가별 오페라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uccini, Giacomo (푸치니) [1858-1924] (0) | 2007.05.09 |
---|---|
▓ Prokofiev, Sergey (프로코피에프) [1891-1953] (0) | 2007.05.09 |
▓ Poncchieli, Amilcare (폰키엘리) [1834-1886] (0) | 2007.05.09 |
▓ Picker, Tobias (피커) [1954- ] (0) | 2007.05.09 |
▓ Pergolesi, Giovanni Battista (페르골레지) [1710-1736] (0) | 200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