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녀 마님
타이틀: La serva padrona (The Maid as Mistress). 막간오페라. 제나로 안토니오 페데리코(Gennaro Antonio Federo)가 대본을 썼다.
초연: 1733년 나폴리 산바르톨로메극장. 페르골레지의 오페라 Il prigonier superbo의 막간에 공연되었다.
주요배역: 우베르토(중년의 신사), 세르피나(우베르토집의 하녀), 베스포네(우베르토집의 하인: 대사가 없는 역할)
사전지식: 오페라라는 것이 처음으로 등장했을 때, 즉 야코포 페리의 유리디체,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가 공연되었을 때는 극중에 코미디란 생각하기도 어려웠었다. 신성한 신들의 얘기, 엄숙한 비극을 공연함에 있어서 농담 따먹기를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관객들로 말하자면 지체 높은 성직자, 왕족, 귀족들이 아니던가? 그런 양반들이 손벽을 짝짝치며 코미디를 즐긴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1637년 베니스에서 일반 서민들을 위한 오페라극장이 최초로 문을 열게 되자 사정은 좀 달라졌다. 몬테베르디의 ‘율리시스의 조국 귀환’과 ‘포페아의 대관식’은 기본적으로 심각한 비극이면서도 재미를 가미하기 위해 약간의 코믹한 내용을 담아 웃음을 선사했다. 비극과 코미디의 연합이다. 베니스의 극장들은 젊은 헨델이 재치있는 오페라들을 내놓기 시작하자 웃기는 장면을 좀더 넣어 달라고 부탁했다. 그래야 손님들이(주로 일반 서민들) 몰려와 수입을 올릴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코미디는 막간극(인터메쪼)이라는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페르골레지의 ‘하녀 마님’ 역시 막간극이었다. 하지만 상당히 웃기는 내용이어서 본오페라보다 더 환영을 받았다. 이로서 코믹 오페라(오페라 부포)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에피소드: 페르골레지는 간혹 이탈리아의 모차르트라고 불렸다. 모차르트처럼 어릴때부터 음악적 천재성이 뛰어났기 때문이었다. 과연, 페르골레지의 음악은 모차르트에서 볼수 있는 것처럼 단순, 경쾌, 우아함으로 수놓아진 것이었다. 페르골레지는 모차르트보다 훨씬 일찍 세상을 떠났다. 고작 2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줄거리: 스토리는 비교적 단순간단하다. 하녀 세르피나(Serpina: 작은 뱀이란 뜻)는 돈 많은 홀아비 우베르토(Uberto)의 살림을 도맡아 하고 있다. 그런고로 세르피나의 기세는 등등하다. 우베르토는 세르피나의 기세와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안으로 결혼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다. 새로운 안주인 마님이 들어오게 되면 세르피나가 스스로 물러나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이다. 그러자 세르피나는 마침 잘 되었다는 듯 자기야 말로 가장 적합한 안주인 자격이 있다면서 나선다. 다시 말하여 우베르토와 결혼하겠다는 뜻이다. 세르피나는 우선 우베르토가 일상생활에서 자기에게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일일이 열거하며 그렇기 때문에 기왕에 자기가 부인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우베르토가 별로 귀를 기울이지 않자 이번에는 실은 자기와 결혼할 템페스트대위라고 하는 양반이 있지만 주인님을 긍휼히 여기고 있는 연고로 그를 뿌리치고 주인님과 결혼코자 한다며 선심작전으로 나온다. 그러면서 실제로 템페스트대위란 사람을 집에 데려와 소개시킨다. 템페스트대위는 실은 우베르토 집의 하인인 베스포네(Vespone)가 변장한 인물이다. 그렌데 우베르토가 가만히 보니 그 템페스트대위란 군인이 성질이 얼마나 막돼먹었는지 거칠기가 한량없다. 우베르토는 세르피나가 저 군인과 결혼하면 고생이 대단하겠다는 일종의 인간적인 동정심을 갖는다. 세르피나는 주인인 우베르토에게 최후통첩을 한다. 저 터프 가이와 결혼하기 위해서는 혼수준비등 4천 탈레가 있어야 하니 그 돈을 내놓던지 그렇지 않으면 자기와 결혼해야 한다는 통첩이다. 우베르토는 4천 탈레라는 많은 돈을 내놓기가 싫어서 세르피나와의 결혼을 선택한다. 그래서 하녀가 그 집의 마님이 된다.
'오페라 이야기 > 작곡가별 오페라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oncchieli, Amilcare (폰키엘리) [1834-1886] (0) | 2007.05.09 |
---|---|
▓ Picker, Tobias (피커) [1954- ] (0) | 2007.05.09 |
▓ Pasatieri, Thomas (파사티에리) [1945- ] (0) | 2007.05.09 |
▓ Paderewski, Ignaz Jan (파데레브스키) [1860-1941] (0) | 2007.05.09 |
▓ Orff, Carl (오르프) [1895-1982] (0) | 200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