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오페라극장(Teatro dell'Opera di Roma)
Rome Opera House
로마오페라극장의 전신은 1880년 문을 연 유명한 코스탄치(Costanzi)극장이다. 코스탄치극장은 1890년 5월 17일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를 초연했다. 이어 1900년에는 푸치니의 토스카(Tosca)를 초연하여 로마시민들을 감동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이밖에도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오페라의 이탈리아 초연을 기록하였다. 코스탄치극장은 로마의 부유한 음악애호가인 도메니코 코스탄치(Domenico Costanzi: 1810-1898)가 개인적으로 건설한 극장이다. 처음에는 2,212석의 비교적 큰 규모였다. 코스탄치극장은 음향에 특별한 배려를 하였다. 전통적인 말편자 스타일의 특징을 살려 오디토리엄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공명실(Resonance Chamber)이 되도록 설계했다. 개관 기념 공연은 로시니의 세미라미데(Semiramide)였다.
도메니코 코스탄치
그러나 개인이 극장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특히 재정면에서 그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와 토스카를 초연하여 명성을 유지했다. 결국 코스탄치는 1907년 자기의 극장을 흥행가인 월터 모키(Walter Mocchi)에게 팔았다. 몇 년후 모키의 부인인 엠마 카렐리(Emma Carelli)가 극장 관리를 책임맡데 되었다. 엠마는 극장이름은 임프레사 코스탄치(Impresa Costanzi)라고 바꾸었다. 엠마는 14년동안 임프레사 코스탄치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엠마의 기간동안 임프레사 코스탄치극장은 여러편의 로마 초연 및 이탈리아 초연을 무대에 올렸다. 푸치니의 ‘황금서부의 아가씨’, 투란도트, 일 트리티코(수녀 안젤리카, 외투, 자니 스키키), 바그너의 파르지팔, 리카르도 찬도나이의 ‘리미니의 프란체스카’, 무소르그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생-생의 ‘삼손과 델릴라’ 등이었다. 디아길레프(Diaghilev)의 Les Ballets Russes도 이탈리아 초연을 이 극장에서 가졌다.
1926년 로마시가 임프레사 코스탄치극장을 인수하고 왕립오페라극장(Teatro Reale dell'Opera)라고 이름을 바꾸었으며 이와 함께 대대적인 개축을 하였다. 정문은 현재 퀴리날레(Quirinale)호텔의 정원쪽, 당시에는 Via del Teatro(극장가도)에 있던 것을 반대편으로 옮겼다. 새로운 정문 쪽 앞에는 광장이 조성되었다. 이 광장은 나중에 유명한 테너 베냐미노 질리(Beniamino Gigli)를 기념하여 베냐미노 질리 광장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1928년 2월 27일의 재개관에서는 아리고 보이토(Arrigo oito)의 네로네(Nerone)가 공연되었다. 개축한 극장의 또 하나 명물은 직경 6미터에 2만 7천개의 크리스탈이 달린 샹들리에이다.
로마오페라극장에서의 발레공연
왕정이 끝나고 공화국이 되자 이 극장의 이름은 Teatro dell'Opera(오페라극장)으로 바뀌었다. 1958년 로마시의회는 오페라극장의 현대화를 추진하여 현대장비를 도입하는 한편 현관과 메인홀을 대폭 개편하였다. 하지만 이 극장의 음향은 아직도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차대전후 로마 오페라극장은 수준 높은 공연으로 세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1964년의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1965년의 베르디의 돈 카를로스는 전례없는 훌륭한 해석으로 갈채를 받은 것이었다. 거장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Carlo Maria Giulini)의 지휘와 루키노 비스콘티(Luchino Visconti)의 연출이었다. 1958년 1월 2일의 노르마 공연은 아직도 오페라 팬들 사이에 에피소드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탈리아 대통령이 참석한 이날 공연에서 노르마를 맡은 마리아 칼라스가 목소리에 이상이 생겨 1막을 마치지도 못하고 퇴장한 것이다.
로마오페라극장에서의 '카르멘'(낸시 화비올라 페레라)
'세계의 오페라하우스 > 유명 오페라극장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살바도르 국립극장(Teatro Nacional de El Salvador) (0) | 2007.09.12 |
---|---|
부세토 주세페 베르디극장(Teatro Giuseppe Verdi) (0) | 2007.09.12 |
리유 오페라극장(L'Opera de Lille) (0) | 2007.09.11 |
런던 새들러스 웰스극장(Sadler's Wells Theatre) (0) | 2007.09.11 |
뉘른베르크 국립극장(Staatstheater Nurenberg) (0) | 2007.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