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ple English Class/소브리케

Diamond Dave(다이어몬드 데이브)

정준극 2010. 12. 6. 18:40

Diamond Dave(다이어몬드 데이브): 미국의 록 가수이며 작사가, 배우, 작가인 David Lee Roth(데이빗 리 로스: 1953-)을 말한다. 다이어몬드 데이브라는 별명은 2003년에 내놓은 클래식 록 음반인 Diamond Dave 로부터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1980년대에 헤비 메탈의 가장 뛰어난 가수로서 이름을 떨쳤다. 말하자면 미국 헤비 메탈의 아버지나 마찬가지였다. 다이어몬드 데이브는 아직도 캘리포니아에 근거를 둔 록 밴드인 Van Halen(반 할렌)의 리드 싱거로서 활동하고 있다. 반 할렌이라면 역시 록과 헤비 메탈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밴드이다. 아무튼 헤비 메탈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다이어몬드 데이브를 모를 리가 없다.

 

다이어몬드 데이브라는 별명의 데이빗 리 로스

 

The Doctor(닥터): 이탈리아의 모터사이클 레이서인 발렌티노 로씨(Valentino Rossi: 1979-)를 말한다. 그는 아마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모터사이클 레이서일지도 모른다. 무려 아홉번이나 그랑 프리 세계 챔피언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 일곱번은 세계 기록을 갱신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를 닥터(박사)라고 부른다. 로씨의 아버지인 그라치아노 로씨도 유명한 모터사이클 레이서였다. 로씨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1996년 125cc의 경기에 출전하여 그랑 프리를 차지하여 세계를 놀라게 했다. 그후 250cc로 옮겨 1999년에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2001년에는 500cc 세계 챔피언이 되었고 이어 계속 챔피언의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닥터라는 별명의 이탈리아 모터사이클 레이서인 발렌티노 로씨

 

Donnie Baseball(도니 베이스볼): 메이저 리그 뉴욕 양키스의 23번 1루수였던 도날도 아서 매팅리(Donald Arthur Mattingly: 1961-)을 말한다. The Hit Man(타격왕)이라는 별명도 있다. 현재는 로스안젤레스 다저스의 매니저이다. 양키스의 팬이라면 백넘버 23번의 도니(또는 돈)을 잊을리 없다. 그는 1982-95년의 14년동안 뉴욕 양키스와 함께 생활하였다. 그는 선수로서 은퇴후 양키스의 타격코치로 있다가 다저스의 초청을 받고 자리를 옮겼다. 하지만 그를 잊지 못하는 양키스의 팬들은 1997년 양키스 구장의 기념공원에 백넘버 23번을 상징하는 기념비를 세웠다.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다. "A humble man of grace and dignity, a captain who led by example, proud of the pinstripe tradition and dedicated to the pursuit of excellence, a Yankee forever." 번역은 각자의 몫!

 

도니 베이스볼이라는 별명을 가진 뉴욕 양키스의 도날드 매팅리

 

Dr Death(닥터 데스): '죽음의 박사'라는 별명은 미국의 병리학자로서 말기환자에 대한 의사의 도움을 통한 안락사를 주장한 잭 케보르키안(Jack Kevorkian: 1928-)을 말한다. 그는 병리학자로서 130명의 말기 환자에게 안락사를 시켜주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죽는다는 것은 범죄가 아니다'(Dying is not a crime)이라는 유명한 말로서 자기의 행위를 정당화하였다. 이로 인하여 그는 1999년 1급살인죄로 기소되었으며 재판에서 2급 살인죄의 판결을 받아 최장 25년의 징역형을 언도받았다. 케보르키안 박사는 8년동안 수감생활을 한후 2007년 6월 집행유예로 가석방되었다. 다만, 다시는 어느 누구에게도 안락사를 자문하지 않겠다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그는 석방 이후 여러 대학을 방문하면서 안락사의 타당성에 대하여 강연을 하였다. 강연때마다 강연장은 입추의 여지도 없었다. 그는 안락사 문제를 더욱 적극적으로 공론화하기 위해 미시간주에서 하원의원에 출마하였지만 형편없는 득표로 낙선하였다. 병리학자인 그는 유화 화가이며 재즈 연주가 겸 작곡가였다.

 

플로리다의 어떤 대학교에서 강연하는 닥터 데스

 

Dubya(두비야): 조지 W 부시 대통령을 말한다. 부시 대통령의 중간 이름인 W는 남부 사투리로서 더블유라고 읽지 않고 두비야라고 읽는다. 그리하여 부시 대통령을 부를 때에는 남부 사투리로서 친밀감 있게 '조지 두비야 부시'라고 부른다. 그로부터 두비야는 부시 대통령의 별명이 되었다. George Walker Bush(조지 워커 부시: 1946-)는 미국 제43대 대통령으로서 2001년부터 2009년까지 8년동안 연임하였으며 미국 역사상 아버지와 아들이 모두 대통령이 된 첫번쩨 케이스였다. 아버지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미국 제41대 대통령이었다. 아들 조지 W 부시는 대통령이 되기 전에 1995-2000년간 텍사스 주지사를 지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예일을 나왔으며 1975년에는 하바드경영학교를 수료했다. 그후 텍사스에서 석유사업에 종사하였다가 주지사까지 하게 되었다. 야구를 좋아하는 그는 주지사에 선출되기 전에 텍사스 레인저스 야구팀의 소유주였다.

 

1968-73년간 공군장교로서 복무시의 조지 부시. 아, 미국의 대통령들은 군복무를 이다지도 철저히 하고 있구나!

 

The Duke(듀크): 전설적인 영화배우 John Wayne(존 웨인)의 소르리케이다. Duke 라는 단어는 '공작'을 말한다. 듀크라는 별명은 어떻게 생긴 것인가? 존 웨인 자신의 설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나는 초등학교 다닐 때에 연극을 하였는데 공작(Duke)의 역할을 맡은 일이 있다. 불행하게도 연극은 공연되지 않았지만 어쨋든 친구들은 나를 '듀크'라고 불렀다. 어떤 사람은 내가 귀족의 후손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그건 사실이 아니다. 사실을 말하자면 '듀크'는 내가 기르던 개의 이름이었다. 나는 아이오와주의 윈터셋(Winterset)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러다가 여섯 살 때에 캘리포니아의 글렌데일(Glendale)로 이사를 와서 정착했다. 그때 나는 신문을 배달하였는데 나의 충성스런 개인 듀크와 함께 배달을 하였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빅 듀크'라고 불렀고 나의 개는 '리틀 듀크'라고 불렀다." 이것이 존 웨인이 듀크라는 별명을 가지게 된 배경이었다. 존 웨인은 남가주대학교에 다닐때 축구선수였다. 1926년 여름에, 축구 코치인 하워드 존스라는 분이 존 웨인에게 대학교를 졸업한후 영화배우가 되어보라고 하며 존 포드 감독에게 소개해 주었다. 헐리우드에서 처음에 존 웨인이 맡은 일은 소품담당이었다. 그때 사람들이 존 웨인에게 영화에도 출연하라고 권장해 주어 영화배구가 되었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를 계속 듀크라고 불렀다. 존 웨인의 원래 이름은 마리온 미첼 모리슨(Marion Mitchell Morrison: 1907-1979)였다. 존 웨인은 우직하며 정의를 위해 과감히 앞에 나서는 거친 남성상으로 인하여 미국인의 우상이 되었다. 그의 거친듯한 말씨, 걸음걸이, 장대한 체구는 강건한 미국인의 표상이었다. 영어 슬랭의 He-Man, 또는 Macho 라는 말은 존 웨인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는 보수정책을 지지했으며 공산주의를 매우 싫어하였다. 미국의 유명한 여론조사 기관인 Harris Poll 이 1994년 이래 매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존 웨인은 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배우로서 항상 상위 3위 이내에 있었다. 다음은 2009년도 해리스 폴 결과이다. 1위 덴젤 워싱턴, 공동 2위 클린트 이스트우드-존 웨인, 3위 윌 스미스(인디펜던스 데이), 공동 4위 해리슨 포드(에어포스 원) -  줄리아 로버츠(에릭 브로코비치), 그 다은 톰 행크스(포레스트 검프), 조니 뎁(카리브의 해적), 안젤리나 졸리, 모간 프리맨의 순서이다. 간혹 브루스 윌리스, 로버트 드니로, 션 코네리, 아놀드 슈와르처네그도 순위에 오르고 있다.

 

듀크라는 별명을 가진 헐리우드 배우 존 웨인

 

 

 

 

'Simple English Class > 소브리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erald Isle(에메랄드 아일) - 아일랜드  (0) 2010.12.06
Eternal City(영원한 도시)  (0) 2010.12.06
Digger(디거)  (0) 2010.12.05
Dixie(딕시)  (0) 2010.12.04
Columbia(콜럼비아)  (0) 2010.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