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이야기/오페라 팟푸리

초연이 소동으로 끝난 오페라

정준극 2018. 3. 25. 09:35

초연이 소동으로 끝난 오페라들

인종문제, 비도덕적인 설정, 종교문제 등이 빌미 제공


19세기 초반에 영국에서 활동했던 윌리엄 리브(William Reeve: 1757-1815)라는 작곡가가 있다. 그의 오페라 중에 '집안간 다툼'(Family Quarrels)이라는 것이 있다. 우리에게야 생소하지만 영국에서는 알아주는 코미디 작품이다. '집안간 다툼'은 1802년 12월 18일 런던의 코벤크 가든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무대는 귀족가문이지만 재산이 빈약한 서플재크(Supplejack: 나무이름이지만 고집스런 사람을 말함) 집안과 신흥부자인 크랩스틱(Crabstick: 게맛살이라는 뜻이지만 심술궂은 사람을 말함) 집안이 살고 있는 마을이다. 두 집안은 오래전부터 반목을 일삼아 왔다. 귀족인 서플재크 집안이 평민인 크랩스틱 집안을 무시하자 반목이 생긴 것이다. 그런데

서플재크 집안의 챨스와 크랩스틱 집안의 캐롤라인은 집안간의 반목을 무시하고 서로 사랑하여서 결혼할 생각이다. 그러나 캐롤라인의 집에서는 캐롤라인을 양복장이로 돈을 잘버는 머쉬룸(Mushroom: 버섯: 쑥쑥 돈 잘버는 사람)과 결혼시킬 생각이다. 한편 챨스의 집에서는 챨스의 어머니인 미세스 서플재크가 '우리 집안은 대대로 귀족 집안인데 감히 평민 여자와 결혼시킬수는 없다'면서 챨스와 캐롤라인의 결혼을 반대하고 있다. 대신에 아들 챨스를 돈많은 과부인 셀레나 부인과 결혼시킬 생각이다. 이런 저런 소란 끝에 결말은 해피엔딩!


당시 '집안간 다툼'이 공연될 때에 출판된 유태인과 이방인이라는 타이틀의 그림엽서. 유태인은 크랩스틱이고 이방인은 서플재크를 말한다. 가운데 고양이를 그려 넣은 것은 야유를 의미하는 것이다. 아랫단 양쪽의 사람들은 이방인(영국인)과 유태인들로 서로 앙코르를 외치고 있다. 오늘날 이 오페라는 인종차별 및 민족차별이라는 구설수에 오를 것같아서 거의 공연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 오페라에서 느닷없이 유태인 문제가 대두되어서 공연 중에 난리도 아닌 소동이 벌어졌다. 오페라에는 떠돌이 행상인 프로테우스가 등장해서 코믹한 조미료의 역할을 한다. 프로테우스의 역할은 주로 인기 코메디안이 맡는다. 프로테우스가 아론이라는 이름의 유태인으로 변장해서 나오는 장면이 있다. 그리고는 세 여인, 즉 미스 레비(레위), 미스 레이첼(라헬), 미스 모제스(모세)에게 각각 청혼한다. 그런데 이 세여인의 정체는 창녀라는 것이다. 이러한 설정이 관중석에 있던 유태인들을 분노케 했다. 아론, 레위, 라헬, 모세...모두 유태인들이 존경하는 인물들인데 이들을 형편없는 남자와 창녀로 만들었으니 화가 날만도 했다. 또 이런 노래도 있다. '열두지파의 분노(And the Twelve Tribes Waxed Wroth)라는 노래이다. 유태인들의 비하하는 내용이어서 기분을 상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나중에 알고보니 주역을 맡은 존 브레이엄(John Braham)이 오리지널 스코어에는 없는데 센세이션을 일으키기 위해 일부러 그 노래를 집어 넣었다는 것이다. 유태인들은 아론이 부르는 '세명의 유태인 창녀들'이란 노래가 나오자 고양이 소리와 휘파람으로 야유를 던졌다. 성난 유태인들은 정부가 대본가인 토마스 디브딘(Thomas Dibdin)과 짜고서 일반국민들에게 유태인 혐오감을 심어줌으로서 정부의 실정을 무마하려고 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영국 정부는 프랑스 혁명 전쟁기간 중에 심각한 경제난관을 겪었다. 그래서 높은 세금을 부과하게 되어 국민들의 생활이 말도 아니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경제가 파탄된 이유 중의 하나로 유태인들이 금융을 손에 잡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했다. 유태인들은 정부가 이 오페라를 통해서 유태인들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하여 자기들에게 향할 비난을 피하려고 한다는 주장이었다. 관중들의 반응은 마치 폭동과 같았다. 그리고 이날의 소동은 확대되어서 며칠 동안 유태인들의 시위가 있었고 그러자 반유태인 운동도 덩달아서 강력하게 되었다. 아무튼 이 오페라의 초연은 쑥밭이었고 그후 거의 공연되지 않았다. 


18세기 코벤트 가든 극장의 무대와 오디터리움


다니엘 오버(Daniel Auber)의 '포르티치의 벙어리 처녀'(La muette de Portici: The Mute Girl of Portici)는 오페라의 연혁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프랑스 그랜드 오페라의 문을 연 작품이기 때문이다. 포르티치는 나폴리에 속한 항구마을이다. 항구 뒷편에 있는 산이 유명한 베스비우스이다. 기원후 79년에 베스비우스가 폭발했다. 물론 그 후에도 화산 폭발이 간헐적으로 있었다. 마지막 분화는 1944년이었다. 오페라에서는 근세의 어느 때에 화산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시기를 잡았다. 그것보다도 이 오페라가 문제가 되었던 것은 1830년 벨기에 혁명에 카다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벨기에에서 초연이 있은 날에는 극장 안에서 남부 네덜란드 지방의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소동이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거의 1년에 걸친 시위와 폭동이 뒤따랐다. '포르티치의 벙어리'는 1828년 2월 29일 파리 오페라의 살르 르 플르티에(Salle le Peletier)에서 초연되었다. 주인공은 나폴리의 어부인 마사니엘로(Masaniello)이다. 그래서 이 오페라의 또 다른 타이틀은 '마사니엘로'이다. 기왕에 얘기가 나온 김에 몇마디 덧 붙이자면 이 오페라는 종래의 오페라에 비하여 몇가지 혁신적인 포맷을 도입한 것으로도 기억되고 있다. 도입부에 마임(무언극)과 제스추어를 도입하여 오페라의 전체 내용을 암시적으로 시사했던 것이다. 이러한 새로은 시도는 나중에 로시니의 '귀욤 텔'(빌헬름 텔)과 마이에르베르의 '악마 로베르'(Robert le diable)에서도 인용되었다. 그리고 이 오페라는 프랑스 오페라에서 발레의 역할이 정식으로 강조된 첫 케이스라고도 할수 있다. '포르티치의 벙어리'는 1830년 7월의 프랑스 혁명 직후에 파리에서 수정버전이 공연되었다. 그리고 한달 후인 그해 8월 25일에는 브뤼셀의 모네극장에서 공연되었다.


브뤼셀 라 모네 극장에서 '포트리치의 벙어리 처녀'를 처음 공연할 때 주인공인 마사니엘로가 혁명적인 노래를 부르자 관중석에 있던 사람들이 환호와 박수를 보내면서 네덜란드 왕국에서 남부 네덜란드의 분리를 주장하고 있는 장면 


17세기의 나폴리는 스페인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마사니엘로는 어부이지만 스페인의 압정에 반대하는 포르티치 저항세력의 리더이기도 하다. 그에게는 페넬라라는 여동생이 하나 있다. 페넬라는 말을 못하는 벙어리이다. 페넬라는 나폴리 총독의 아들인 알퐁세로부터 농락을 당하고 버림을 받는다. 그러나 사랑이 무언지, 결국은 페넬라는 알퐁세를 깊이 사랑하게 된다. 페넬라는 자기를 버린 남자가 누구인지를 오빠 마사니엘로에게 말하지 않는다. 포리티치의 저항세력은 마침내 봉기하여서 스페인의 압제자들을 몰아낸다. 마사니엘로는 페넬라를 농락한 사람이 스페인의 귀족이란 것을 알고 더구나 봉기에 앞장선다. 알퐁세가 도망하면서 우연히 페넬라의 집으로 피신한다. 페넬레는 사랑하는 알퐁세를 숨겨준다. 이런 사실을 안 군중들은 마사니엘로를 배신자라고 하며 죽이려한다. 그때 도망에 성공한 알퐁세가 퇴각했던 스페인 군대를 추스려 이끌고 저항세력을 진압하러 들이닥친다. 마사니엘로가 마지막 전투를 준비한다. 한편, 마사니엘로는 전투 중에 알퐁세의 부인이된 엘비레 공주를 구해준다. 베스비우스 화산이 폭발한다. 페넬라는 알퐁세가 어부들의 봉기를 진압했고 마사니엘로가 알퐁세의 부인을 구해주었다는 소식을 듣고 절망 중에 화산의 불길 속으로 뛰어든다는 것이 대강의 줄거리이다. 문제는 마사니엘로가 봉기를 하면서 주민들과 함께 힘차게 부르는 독립의 노래가 관중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오페라에서는 스페인에 항거하는 노래이지만 벨기에의 모네극장에서의 공연에서는 그것이 네덜란드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간주되어 여파가 대단했던 것이다.


말못하는 페넬라를 인형으로 대체한 연출. 어부들이 스페인의 통치에 저항하는 장면


원래 브뤼셀에서는 윌리엄 1세 국왕이 사흘간의 축제를 준비했고 축제의 하일라이트를 오버의 오페라 '포르티치의 벙어리 처녀'로 삼았다. 축제기간에는 불꽃놀이와 연회, 행진 등도 계획되었다. 당국은 국왕에게 '포르티치의 벙어리 처녀'가 파리에서 초연되었을 때 소동이 있었고 7월 혁명이 시작되자 공연금지된 일이 있었으므로 브뤼셀에서의 공연을 연기하던지 또는 예정대로 공연을 할수 밖에 없다면 국왕은 참석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상주했다. 그러나 국왕은 이미 예정되어 있는 행사를 취소하거나 연기할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생각해서 오페라를 8월 25일에 공연하는 것으로 허가했다. 다만, 그 전에 이루어질 불꽃놀이와 가두행진은 취소키로 했다. 한가지 재미난 일은 브뤼셀의 '저지대 신문'(Courrier des Pays-Bas)은 '포르티치의 벙어리 처녀'의 공연에 대하여 만일 관람을 간다면 5막이 시작되기 전에 자리를 떠서 집으로 가는 곳이 좋겠다는 기사를 실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소동이 일어날 것이니 미리 대피하라는 경고였다. 그러나 실제 공연에서는 주인공인 마사니엘로가 Aux Armes(무기를 들라)라는 혁명적인 노래를 부를때에 이미 관중석은 박수와 환호를 보내며 네덜란드 왕국으로부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남부 지방의 분리를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리고 극장 안에서의 소란은 극장 밖에 운집해 있던 군중들에게 전파되어서 모두들 흥분된 상태에서 애국적인 노래를 부르면 시가지를 행진하였다. 이같은 소동은 이후 거의 1년에 걸쳐 진행되었던 1830년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이 물론이었다.


파리 오페라 코미크의 무대. 스페인의 압정에 항거하는 나폴리/포르티치 어부들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의 첫 오페라인 '벤베누토 첼리니'(Benvenutto Cellini)는 1838년 9월 10일 파리 왕립음악원(살르 르 플리티에)에서의 초연부터 대실패였다. 관중들은 처음 몇 곡이 지난 후부터 야유를  보냈고 아예 공연 도중에 퇴장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실패의 원인은 겉으로는 대본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되었으나 그보다도 베를리오즈의 음악이 정통성이 없고(unorthodox), 즉 종교로 말하자면 이단적이며 또한 듣는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는 것이어서(demanding) 그렇다는 얘기였다. 당시만 하더라도 바로크 음악에 젖어 있던 파리 사람들에게 베를리오즈의 혁신적인 음악은 귀에 거슬리는 것이기에 충분했다. 파리 사람들은 '벤베누토 첼리니'의 음악이 자기들의 고매한 음악취향을 무시한 것이라고 믿었다. 벤베누토 첼리니는 16세기 이탈리아 플로렌스 출신의 조각가 겸 금세공장인이었다. 베를리오즈는 첼리니의 비망록을 읽고서 매우 감동하여 그의 작품활동과 생애를 오페라로 만들기로 결심했다. 대본은 프랑스의 내노라하는 오페라 대본가들인 레옹 드 웨일리(Leon de Wailly: 1804-1864), 앙리 오귀스트 바르비에(Henri Auguste Barbier: 1805-1882), 알프레드 드 비니(Alfred de Vigny: 1797-1863)가 공동으로 완성했다. 이렇듯 여러 사람이 대본을 나누어서 만든 것도 이례적인데 아무튼 그래서인지 대본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대사의 스타일이 서로 달라서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 


첼리니가 페르세우스를 조각하고 있다.


베를리오즈는 1838년 파리 초연이 성공을 거두지 못하자 대본과 음악의 이곳저곳을 수차례에 걸쳐 수정하였다. 1851년에 당시 봐이마르에 있던 프란츠 리스트는 베를리오즈에게 '벤베누토 첼리니'를 봐이마르에서 공연코자 하는데 아무래도 여러 곳을 더 수정해야 할 것다는 얘기를 했다. 베를리오즈는 이미 자기가 여러번 대폭 수정했기 때문에 리스트의 제안대로 더 수정해야 하는지를 마음속으로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가 1853년에 런던에서 자기자신의 지휘로 공연할 기회가 있었다. 그런데 런던 공연도 역시 초라한 반응이었다. 그래서 1856년에 봐이마르에서 공연하는 것으로 하고 라스트의 제안대로 또 다시 대폭 수정을 감행하게 되었다. 봐이마르 공연은 그런대로 무난하였다. 봐이마르에서의 '벤베누토 첼리니'는 베를리오즈로서 이 오페라를 그의 생애에서 마지막으로 공연한 것이었다. 오늘날 오페라 '벤베누토 첼리니'는 거의 공연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서곡은 콘서트의 프로그램에서 간혹 찾아볼수 있다.


'벤베누토 첼리니'의 오페라 코미크 무대, 배경이 너무 노골적이어서...


'메피스토펠레'(Mefistofele)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겸 대본가인 아리고 보이토(Arrigo Boito: 1842-1918)의 프롤로그와 4막과 에필로그로 구성된 오페라이다. 대본은 작곡자 자신이 완성했다. '메피스토펠레'는 1868년 3월 5일 밀라노의 라 스칼라에서 작곡자 자신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보이토는 지휘에 탁월하지 못해서 관중들이 보기에도 민망할 경우가 한두번 이 아니었다. 초연은 실패였다. 그래서 단 2회의 공연을 마치고 후퇴해야 했다. 보이토는 대본도 수정하고 음악도 손을 보아서 7년후인 1875년 볼로냐의 무대에 올렸다. 이 때에는 성공이었다. 보이토는 1861년에 밀라노음악원에서 공부를 마치고 파우스트를 주제로 삼은 오페라를 작곡하기로 생각했다. 메피스토펠레는 파우스트 전설에서 핵심되는 인물로서 그동안 여러 작곡가들이 메피스토펠레에 대한 오페라를 작곡하기는 했지만 다시 도전하고 싶었다. 보이토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바탕으로 삼기로 했다. 보이토는 바그너를 추종하는 사람이었다. 보이토는 '메피스토펠레'의 대본도 바그너처럼 직접 만들었다. 사실상 보이토가 만든 대본의 거의 전부는 독일어로 되어 있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이탈리아어로 번역한 것이기는 했지만 말이다. 당시에 괴테의 버전을 오페라로 만들어 성공한 경우는 구노의 '파우스트'였다. 보이토는 구노의 '파우스트'가 후배 작곡가들의 '파우스트' 스타일의 오페라를 위한 모닝 콜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완성된 보이토의 '메피스토펠레'는 1868년 라 스칼라에서 초연되었지만 노력에 비하여 형편없는 반응을 받았다. 실패의 이유는? 우선 너무 길었다. 프롤로그가 있고 이어 4막이 전개되며 마지막에는 에필로그까지 있어서 중간에 휴게시간까지 합하면  4시간이 넘는 공연이었다. 실제로 초연에서 막이 내린 것은 자정이 넘어서였다. 다음으로는 캐스트들이 잘못 선정되었다. 음악의 복잡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출연자들이 많았다. 그러니 음악이 제대로 표현될 리가 없었다. 또한 지나치게 선정적이고 광란스런 장면도 일부 관중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보이토는 다음 공연에서 전체를 두 파트로 나누어서 이틀에 걸쳐 공연했다. 그후에 보이토는 아무래도 안되겠다고 생각해서 전체의 삼분의 일을 삭제하여 짧은 작품으로 만들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바리톤이었던 파우스트를 테너로 바꾼 것이었다. 이렇게 수정된 '메피스토펠레'는 1875년 10월 4일 볼로냐에서 공연되었다. 캐스트들도 일류급으로 충당하였다. 성공이었다.


샌프란시스코 오페라의 무대. 광란의 장면이다.


오늘날 세계적으로도 그렇고 특히 미국에서 가장 자주 공연되는 오페라 중의 하나는 푸치니의 '나비부인'(Madama Butterfly)이다. '나비부인'은 1904년 2월 17일 밀라노의 라 스칼라에서 초연되었다. 오리지널 버전은 2막이었다. 1904년 라 스칼라의 '나비부인'은 청중들로부터 야유와 비난을 받은 것이었다. 초연은 실패였다. 초연에서는 당대의 소프라노인 로지나 스토르키오(Rosina Storchio)를 비롯하여 테너 조반니 체나텔로(Giovanni Zenatello), 바리톤 주세페 데 루카(Giuseppe de Luca)가 리딩 롤을 맡은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엉망이었다. 가장 큰 이유는 연습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푸치니가 오페라를 늦게 완성하는 바람에 연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었다. 초연에서 실패를 경험한 푸치니는 곧이어 수정작업에 들어갔다. 2막이었던 것을 3막으로 늘리고 2막과 3막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저 유명한 '허밍 코러스'를 삽입하였다. 그리고 물론 다른 부분도 일부 수정하였다. 그해 5월 28일의 브레스키아 공연은 대성공이었다. 이어 성공의 메아리는 전세계에 울려퍼졌다. 초연의 실패를 좀 더 자세히 소개한다. 나비를 잡아 자루 속에 넣자!’ 이것은 나비부인이 초연된 후 일부 비평가들이 잡지에 게재한 글의 제목이다. 당시 오페라 관객들은 그 날의 공연에 대하여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일반이었다. 재미있게 감상했으면 환호를 보내며 난리였고 재미없게 보았으면 유감없이 야유를 보냈다. 어떤 경우에는 야유꾼들을 사서 투입하는 경우가 있었다. 자기 작품이면 환호를 보내도록 하기 위해서이고 싫어하는 사람의 작품이면 야유를 보내기 위해서이다. 이런 사람들을 클레이크(Claque)라고 불렀다.


'나비부인'이 초연된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 초연은 야유로 실패였다.


라 스칼라에서의 ‘나비부인의 초연에도 누가 동원했는지는 모르지만 분명히 그런 사람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관객들은 처음부터 나비부인을 탐탁하지 않게 생각했던 것 같았다. 기모노를 입은 나비부인이 아리아를 부르기 시작하자 야유를 보내기 시작했다. 아름다운 아리아였지만 야유 소리에 파묻혀 빛을 보지 못했다. 누군가 라 보엠 멜로디와 비슷하네....별거 아니잖아!’라고 소리쳤다. 사랑의 듀엣이 펼쳐질 때에도 미미와 로돌포의 듀엣과 다른게 뭐가 있는가?’라는 야유가 터져 나왔다. 2막에서의 사정은 더 나빴다. 어느 장면에서 갑자기 무대의 한쪽으로부터 세찬 바람이 불었다. 아마 누가 무대 뒤편 문을 열어 놓았던 모양이다. 아무튼 이 바람 때문에 여주인공 나비부인의 기모노 아랫자락이 둥글게 부풀어 올랐다. 임신복을 입은 것 같이 보였다. 누군가 나비부인이 애를 뱄네! 하하하라고 소리쳤다. 다른 누가 지휘자 아이야!’라고 소리쳤다. 지휘자와 그 소프라노가 그렇고 그런 사이라는 사실은 당시 웬만한 사람이면 다 알고 있는 내용이었다. 2막과 3막 사이에는 짧은 간주곡이 있다. 새소리가 울리는 장면이다. 새소리가 나자마자 일부 관객을 포함한 야유꾼들이 새소리를 흉내 내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당나귀 소리, 송아지 소리, 양 소리, 염소 소리까지 흉내 냈다. 난장판이었다. 3막도 소음과 동물 소리 야유로 정신을 치리지 못할 정도였다. 이렇게 하여 나비부인의 초연은 야유와 비판으로 끝났다.


남편 핀커튼을 기다리는 초초상과 아들 돌로라. 그리고 하녀 스즈키와 동료들


비제의 '카르멘'도 초연은 비난과 야유를 받은 것이었다. 공연이 끝나고나서 신문에 실린 평론은 하나같이 형편없는 오페라라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카르멘'은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10대 오페라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1873, 파리 오페라 코미크(Opera Comique)극장의 예술감독인 카미유 뒤 로클은 비제에게 그해 연말 공연을 목적으로 메리메의 카르멘을 오페라로 작곡해 달라고 요청했다. 비제가 35세 때였다. 비제는 우선 피아노스코어를 완성하고 주역들이 리허설에 들어가도록 했다. 그러나 주역을 맡을 메조소프라노를 찾기가 힘들어서 이듬해 8월까지도 리허설을 단 한번도 가지지 못했다. 주역인 카르멘을 선정하지 못했던 이유는 카르멘의 스토리가 당시 사회적 규범으로 보아 심히 부도덕하다는 여론 때문이었다. 이같은 비판여론은 저속하고 선정적인 대사가 포함된 오페라의 대본이 발간되자 더욱 거세어졌다. 그러므로 뭇 남자를 유혹하기 위한 관능적인 제스처, 저급한 대사, 선정적인 춤 등을 자진해서 맡아 하겠다는 성악가를 찾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공연은 준비되어야 했다. 마침내 오페라 코미크의 예술감독인 뒤 로클의 노력으로 그해 12월에 카르멘 역을 맡을 성악가가 결정되었다. 당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던 메조소프라노 갈리-마리(Galli-Marie: 원래 이름: Celestine Marie: 1840-1905)였다. 하지만 리허설을 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원래 계획인 그해 연말 공연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1875년 3월 3일 '카르멘'이 초연된 파리의 오페라 코미크 극장

 

카르멘의 리허설은 12월부터 들어갔다. 리허설 기간중 오페라 코미크극장의 예술부감독은 오페라의 스토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계속 주장하며 비제와 대본가에게 수정을 요구했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 카르멘이 돈 호세의 칼에 찔려 죽는 장면은 당연히 고쳐야 한다고 요청했다. 오페라 코미크극장에 오는 사람들은 대부분 상류층으로서 가족들과 함께 유쾌한 시간을 갖기 위해 오거나 또는 아는 사람들끼리 정다운 친교를 위해 온다는 것이고 그러므로 그런 비극적인 장면은 곤란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대본가인 메일락과 알레비는 어쩔수 없이 마지막 장면을 수정하겠다고 승낙했다. 그러나 비제가 반대했다. 결국 기분이 상한 드 르븐은 사표를 던지고 나갔다. 이번에는 오케스트라가 스코어를 연주하기 어렵다고 선언하며 리허설을 거부했다. 게다가 합창단원들도 비제의 지시를 따르기 어렵겠다고 나섰다. 예를 들면 담배공장 휴식시간에 여공들이 집단으로 뒤엉키며 싸우는 장면 등이다. 점잖은 합창단원으로서 그런 저질의 싸움은 할수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러저런 문제들은 비제의 설득으로 잠잠해 졌다. 그러나 가장 큰 반대의견은 카르멘의 작곡을 요청했던 예술감독인 뒤 로클 자신으로부터 나왔다. 그는 개인적으로 비제를 좋아했으나 나중에 대본을 보고나서 이건 아닌데!’라면서 난색을 표명했다. 당시 오페라 코미크극장은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뒤 로클의 원래 생각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오페라를 만들어 히트함으로서 재정난을 극복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뒤 로클은 대본을 본후 아무래도 오페라 카르멘이 실패할것만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제발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해 달라고 계속 수정을 요청하였으나 비제가 말도 되지 않는 소리!’라면서 들어주지 않았다.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리허설이 끝나 오페라 카르멘187533일 무대에 올려졌다. 그날은 마침 비제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그의 프랑스 음악에 기여한 공로로 레종 돈뇌르(Legion d'honneur)훈장을 받는 날이었다.

 

담배공장 여공들과 춤을 추는 카르멘. 병사들도 함께. 로열 오페라

 

초연에 대한 반응은 신통치 않았다. 1막은 그런대로 지나갔고 2막은 미카엘라의 아리아만이 박수를 받았다. 나머지 막은 아무런 반응도 없이 침묵이었다. 심지어는 야유의 휘파람까지 있었다. 공연이 끝난후 평론가들은 예상했던 대로 내용이 부도덕하다면서 비난을 퍼부었다. 음악도 비난을 받았다. 바그너 스타일처럼 성악가들의 노래보다는 오케스트라에 너무 비중을 두었다는 비난이었다. 물론 찬사를 보낸 평론가들도 있었다. 전혀 새로운 변화라는 찬사였다. 주인공들의 인물 설정이 일반적인 코믹 오페라보다 대단히 뚜렷하다는 찬사도 받았다. 그러나 비난의 소리가 찬사보다 더 컸다. 오페라 카르멘3월의 초연 이후 그 해에 도합 48회의 공연만 가졌을 뿐 오펜바흐의 기록에 비해 상대가 되지 않았다. 비제는 카르멘의 성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비제는 카르멘이 초연된지 꼭 세달후에 63일에 세상을 떠났다. 마침 당시에는 바그너, 브람스, 차이코브스키의 작품이 유럽의 음악계를 휩쓸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카르멘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게 되었던 것도 이유였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서 카르멘은 대단한 인기를 끌어 세계 오페라 무대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레퍼토리 중의 하나가 되었다.


속옷바람에 선정적인 춤을 추는 담배공장 여공들. 병사들을 유혹하는 여인들도 있다. 당시의 사회규범으로서는 용납하기 어려운 장면이었다.


바그너의 '탄호이저'(Tannhauser)는 1막에서 비너스 여신과 그의 궁전에 있는 여인들의 지나치게 에로틱한 장면으로 신앙심 깊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탄호이저'의 초연은 18451019일 드레스덴 왕립극장에서였다. 여주인공인 엘리자베트는 바그너의 조카인 요한나 바그너가 맡았다. 바그너는 원래 '탄호이저'를 요한나의 19번째 생일인 1013일에 초연할 생각이었으나 요한나가 아픈 바람에 6일이나 늦게 초연을 가질수 있었다. 비너스의 이미지는 독일의 유명한 소프라노인 빌헬미네 슈뢰더 드브리앙이 창조했다. 초연의 지휘는 바그너 자신이 했다. '탄호이저''리엔치'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 바그너는 즉각적으로 피날레 부분의 음악을 수정해야 겠다고 결심했다. 그러나 말처럼 그렇게 쉽게 되지는 않았다. 그러는 중에 '탄호이저'의 파리 초연은 1861313일 파리 오페라의 살 르 플르티에에서 가질수 있었다. 바그너는 파리 초연을 위해 무척이나 많은 준비를 했다. 리허설을 164회나 가졌던 것을 보면 알수 있다.


'탄호이저'에서 비너스버그의 장면. 지나치게 에로틱하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 라 모네


그러나 첫날의 공연은 부유층과 귀족들로 구성된 이른바 자키 클럽(Jockey Club)의 계획적인 비난과 야유를 받아 실패로 끝났다. 자키 클럽의 사람들은 오페라에 오긴 오되 보통 2막이 끝나고 발레가 시작될 때 쯤해서 나타나는 것이 관례였다. 느긋하게 저녁식사를 즐기고 오기 때문에 2막이 끝날 때 쯤해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다가 대부분이 발레만 보고서 그냥 가가는 경우가 많다. 발레는 그들이 오페라에 오는 최대 목적이었다. 그런데 바그너는 발레를 1막의 첫 부분에 추가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자키 클럽의 사람들이 발레를 보려면 일찍 와서 1막부터 자리에 앉아 있어야 했다. 그러나 저러나 자키 클럽의 사람들은 '탄호이저'의 파리 공연을 주선한 파울리네 폰 메테르니히 공주와 공주의 고국인 오스트리아를 싫어하였다. 그러므로 오페라의 음악이야 어찌되었던 공연 도중에 야유를 할 것이라는 것은 예상된 일이었다. 자키 클럽의 사람들은 그들이 고용한 박수부대와 함께 첫날에 이어 두번째 공연에도 호르라기를 불고 고양이 소리를 내어 공연을 훼방하였다. 324일의 세번째 공연에서는 이들의 훼방이 너무나 심해서 공연을 도중에 자주 중단해야 했다. 심할 때에는 15분이 넘게 중단한 일도 있었다. 도저히 참을수 없었던 바그너는 세번째 공연을 마치고 더 이상 공연을 할수 없다고 선언하고 취소하였다. 그리하여 파리에서 오페라로서 성공하겠다는 바그너의 희망은 수포가 되었다.

    

1861년 '탄호이저'가 초연된 파리 살르 르 플르티에의 스케치.


오페라 공연이 초연은 아니지만 야유와 비난을 받았고 마침내는 거리의 소동으로까지 발전한 경우는 여러번 있다. 그중에서 대표적으로 최근에 뒤셀도르프에서의 '탄호이저' 공연에서 일어난 소동을 소개코자 한다. 2013년 5월 9일 도이체 오퍼 암 라인(Deutsche Oper am Rhein)의 공연이었다. 제작자인 부어카르트 코스닌스키는 무슨 생각을 했는지 '탄호이저'를 나치와 홀로코스트의 이미지로 연출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비너스는 나치 SS 장교로, 탄호이저는 유태인 가족을 살해하라는 명령을 수행하는 SS의 살인청부업자로 등장한다. 공연이 시작되자 관중석에서 야유와 항의가 쏟아져 나왔다. 더러는 문을 박차고 떠났다. 항의와 비난은 오페라 극장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뒤셀도르프 유태인협회는 정식으로 이 공연의 즉각적인 중지와 관련자들의 사과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바그너는 물론 반유태주의자이지만 1840년대에 '탄호이저'를 작곡할 때에는 나치라는 것이 없었는데 그의 오페라에 나치를 끌어들인 것은 무슨 영문인지 이해할수 없다고 언급했다. 결국 라인오퍼의 '탄호이저'는 여론의 뭇매를 맞아서 공연이 중단되었다.


나치의 SS 장교로 분장한 비너스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오페라 중의 하나인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가 1853년 베니스에서의 초연에서 실패를 맛보았다고 하면 믿을 사람이 별로 없겠지만 사실이 그러했다. 베니스 라 훼니체극장에서의 1853년 5월 6일 초연은 관중들로부터 야유를 받는 것이었다. 출연진에 문제가 있어서였다. 베니스의 오페라 마니아들의 음악적 수준은 전문가 뺨치는 것인데 주요 출연진들의 노래가 형편 없었던 것이다. 테너는 고음을 소화하지 못했고 바리톤은 호흡에 어려움이 있었다. 더구나 비올레타를 맡은 소프라노는 생각보다 뚱뚱한 체구여서 애틋하고 가녀린 여인이라는 인상을 심어주지 못했다. 그러나 정작 크게 환영받지 못한 이유는 다른데 있었다. 걱정은 했었지만 오페라의 내용 때문이었다. 비올레타에 대한 얘기가 소설로는 양해될수 있다고 해도 점잖은 신사숙녀들이 보는 오페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부도덕한 창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운데 대하여 거부감을 보였던 것이다. 또 한가지 문제가 있었다. 당시의 오페라로서는 드물게 '라 트라비아타'의 스토리는 동 시대의 것이었다. 그러면 무대의 출연자들이 그 시대의 의상을 입어야 했다. 그런데 극장측은 평상복을 입은 사람들이 무대에 등장하면 누가 호감을 갖겠느냐고 하면서 굳이 1백년전의 화려한 의상들을 입도록 했다. 그것도 하나의 구설수에 오르는 것이었다. 베르디는 초연의 미진함을 커버하기 위해 몇군데 음악을 손질했다. 다음해에 베니스의 산 베네데토극장의 무대에 올린 라 트라비아타는 대성공이었다. 베르디는 산 베네데토에서의 수정본 공연을 의도적으로 라 훼니체극장에서 초연된지 꼭 1년후인 1854년 5월 6일로 잡았다. 비올레타 역은 젊고 예쁘며 아름다운 음색을 가진 마리아 스페찌아가 맡았다. 베르디가 찾고 있었던 최적의 소프라노였다. 테너 프란치스코 란디도 알프레도 역을 훌륭히 소화하였다. 그러므로 라 트라비아타의 초연 년도를 1854년으로 간주하여도 별다른 문제가 없을 듯싶다.


1853년 베니스 초연에서 비올레타의 이미지를 창조한 소프라노 홰니 살비니 도나텔리(왼쪽), 1854년 베니스 공연에서 비올레타를 맡은 소프라노 마리아 스페치아(오른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