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보리스 고두노프]
타이틀: Boris Godunov. 전4막 7장. 대본은 푸쉬킨(Pushkin)의 비극을 토대로 작곡자 자신이 썼다.
초연: 1874년 생 페테르부르그 마리인스키극장
주요배역: 보리스 고두노프(황제), 표도르(보리스의 아들), 세니아(보리스의 딸), 마리아나 므니스체크(폴란드 공주), 그리고리(젊은 수도사: 가짜 드미트리), 피멘(수도승)
음악 하이라이트: 보리스의 독백 장면의 음악, 보리스가 죽는 장면의 음악, 백성들이 탄식하는 장면의 음악, 전주곡에 나오는 러시아 멜로디, 숲에서의 민속 노래, 대관식 합창의 테마음악, 프롤로그에 나오는 순례자의 합창
베스트 아리아: I have attained great power(B)
사전 지식: 러시아 최대의 시인이며 극작가인 알렉산더 푸쉬킨(Alexandedr Pushkin)의 작품을 토대로 하였다. 보리스 고두노프는 러시아 황제 짜르의 친척으로서 황제 찬탈의 야심을 품고 황태자인 드미트리를 살해하였으나 나중에는 죽은 자의 망령에 휩싸여 죽은 사람이다. 역사적 사실이다. 마지막에 보리스가 죽는 장면에서 부르는 합창곡은 러시아 합창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장엄하고도 숙연한 것으로 심지어 소름이 끼치게 할 정도의 대곡이다.
에피소드: 러시아 국민음악파의 선두인 무소르그스키는 10여편의 오페라 작곡에 도전하였으나 완성한 것은 보리스 고두노프뿐이다. 오페라에 성공하지 못했던 이유는? 아마 그가 ‘민둥산의 하룻밤’ 과 같은 기악곡, ‘전람회의 그림’과 같은 피아노곡 작곡가로서 더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대관식 장면 그림
1870년 무소르그스키는 생 페테르부르그 오페라극장의 요청으로 첫 오페라 작품을 완성하였다. 하지만 공연을 거절당했다. 주역이 테너가 아니라 베이스라는 점, 여성 주역이 없다는 점, 발레 장면도 없다는 점, 그리고 음악이 고전적 화음에 의한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음향을 낸다는 점 등이 이유였다. 4년에 걸쳐 다시 썼다. 하지만 또 거절당했다. 무소르그스키는 다시 고쳐 써야 했다. 마침내 SPO(생 피터스버그 오페라)는 승낙을 했고 이후 역사적인 25회 연속공연을 기록한 후 겨우 시즌을 마감했다. 바로 보리스 고두노프였다. 처음 썼던 버전과 나중에 고쳐쓴 버전은 여러 면에서 상당히 다르다. 그리고 기본적인 작곡은 무소르그스키가 했지만 스코어를 완성한 사람은 림스키-코르사코프였다. 1896년의 일이었다. 첫 번째 버전은 보리스가 죽는 대목에서 끝난다. 마지막 버전에는 폴란드 장면과 사악한 드미트리가 승리를 거두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간혹, 보리스가 죽는 장면과 드미트리가 승리를 거두는 장면을 순서를 바꾸어 무대에 올리기도 한다. 버전이야 어찌 되었든 보리스 고두노프는 러시아 오페라 연혁에 있어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역대 공연에서 보리스의 역할을 훌륭하게 해 낸 성악가로는 샬리아핀, 니콜라이 기아우로브, 보리스 크리스토프 등이다.
줄거리: 제1막. 무대는 1598-1605년의 러시아와 폴란드이다. 짜르(Tsar: 러시아 황제)의 아들, 즉 황태자 드미트리(Dmitri)가 피살당한다. 결과, 짜르가 세상 떠나게 되자 후계자 문제가 큰 이슈로 등장하게 된다. 웬만한 백성들이라면 황태자 드미트리를 살해한 사람이 황제의 먼 친척이 되는 보리스 고두노프이며 황제의 자리가 욕심이 나서 그랬다는 얘기를 모두 알고 있다. 하지만 아무도 내색을 하지 못한다. 드디어 크렘린 궁전에서 보리스 고두노프의 대관식이 장엄하게 거행된다. 새로운 짜르가 탄생한 것이다. 한편, 젊은 수도사 그리고리(Grigori)는 죽은 드리트리 황태자가 자기의 나이또래 된다는 점을 생각하고 모종의 음모를 꾸미기 시작한다.
제2막. 5년이 흘렀다. 리투아니아와의 국경지대 마을. 작은 주막집에 그리고리가 들어온다. 수도원을 뛰쳐나와 이제는 수도승이 아니다. 경찰이 그리고리의 행적을 의심해서 추적하지만 그리고리는 창문을 통해 도망간다. 한편, 짜르가 된 보리스 고두노프는 아들 표도르(Feodor)에게 앞으로 언젠가는 짜르가 될 사람이니 선행을 많이 쌓으라고 당부한다. 보리스는 지난 5년 동안 자기가 드미트리를 죽였다는 양심의 죄책감 때문에 한없이 고통당했음을 독백으로 말한다. 보리스의 자문관인 슈이스키(Shouysky)대공이 들어와 폴란드에 있는 어떤 사람이 자기가 드미트리 황태자라고 주장하면서 군대를 모아 크렘린을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고한다. 보리스는 자기가 드미트리 황태자를 살해한 생각이 떠올라서 괴로워한다. 심지어 드미트리의 망령을 보았다고 하면서 괴로워한다. 유명한 보리스의 광란의 장면이다.
제3막. 폴란드의 아름다운 공주 마리아나(Mariana)는 드미트리(실은 그리고리)를 보고 황태자가 죽지 않고 살아있었다고 믿는다. 마리아나는 죽은 드미트리 황태자와 약혼한 사이였다. 마리아나공주는 드미트리(그리고리)에게 자기를 사랑한다면 어서 러시아로 진격해서 다시 황제 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설득한다. 그렇게 되면 자기가 황후(짜리나)가 될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제4막. 러시아는 기아와 빈곤으로 혼돈상태이다. 모스크바 부근 산속에서 마을 사람들이 보리스 추종자를 붙잡아 폭행을 가하고 있다. 드미트리(그리고리)와 그의 군대가 모스크바 부근까지 진격해 온다. 크렘린 궁전에서는 러시아 원로원이 모여 이 노릇을 어찌하면 좋을지 의논하고 있다.
보리스황제가 회의석상에 뛰어 들면서 드미트리의 환영이 쫓아오고 있다고 소리치며 공포에 질려있는 모습이다. 어떤 신부가 들어와서 드미트리 무덤 부근에 살고 있는 어떤 눈먼 양치기가 드미트리의 영혼이 무덤에서 나오는 것을 보았다는 얘기를 한다. 이 얘기를 들은 보리스는 이제 더 이상 제정신이 아니다. 심장마비에 걸려 죽기 직전이다. 이때 군중들은 이미 크렘린궁전으로 몰려 들어온 터였다. 보리스는 군중들에게 자비를 베풀어 달라고 간청한다. 마지막으로 보리스는 자기 아들 표도르를 가르키면서 ‘여기 그대들의 새 황제가 있다’고 외친 후 숨을 거둔다. 군중들은 그저 ‘그가 죽었다’라고 소리쳤을 뿐이다.
'유명 오페라 집중 소개 > 남몰래 읽는 366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0. Nicolai, Otto (니콜라이) [1810-1849]-윈저의 유쾌한 아낙네들 (0) | 2007.07.04 |
---|---|
189. Mussorgsky, Modest Petrovich(무소르그스키)[1839-1881]-호반시치나 (0) | 2007.07.04 |
187. Mozart, Wolfgang Amadeus (모차르트) [1756-1791]-자이데 (0) | 2007.07.04 |
186. Mozart, Wolfgang Amadeus (모차르트) [1756-1791]-폰토의 왕 미트리 (0) | 2007.07.04 |
185. Mozart, Wolfgang Amadeus (모차르트) [1756-1791]-루치오 실라 (0) | 200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