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오페라 집중 소개/남몰래 읽는 366편

279. Strauss, Richard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엘렉트라

정준극 2007. 7. 5. 10:57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엘렉트라


타이틀: Elektra (Electra). 단막의 비극. 독일어 대본은 작곡자와 콤비인 휴고 폰 호프만슈탈(Hugo von Hofmannsthal)이 소포클레스(Sophocles)의 엘렉트라에 바탕을 두어 완성했다.

초연: 1909년 독일 드레스덴 호프오퍼극장

주요배역: 엘렉트라(아가멤논의 딸), 크리소테미스(엘렉트라의 동생: 여동생으로 이피제니도 있음), 클리템네스트라(엘렉트라와 크리소테미스의 어머니),  오레스테스(오레스트: 엘렉트라의 남동생: 아가멤논의 아들),  아가멤논(그리스의 장군 겸 왕), 이지스투스(이지스트: 클리템네스트라의 정부)

 

 아가멤논이 부인과 간부의 손에 죽임을 당하는 장면

 

음악 하이라이트: 아가넴논의 모티프, 살해된 아버지를 사랑하는 엘렉트라의 마음을 표현한 음악, 크리소테미스의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음악

사전 지식: 폭력과 살인에 얼룩진 비극. 소포클레스가 쓴 그리스신화 엘렉트라를 소재로 한 충격 드라마이다. 세상에 어떤 오페라가 아들이 자기 어머니를 토막 내어 죽이는 장면을 담겠는가? 그리고 옆에 있던 여동생은 어머니를 칼로 살해한 오빠에게 ‘더 찔러요, 더!’라고 소리치겠는가? 엘렉트라이다. 마지막 15분은 정말 음악적 및 극적으로 소름끼치는 두렵고 역겨운 장면이다. 다만 오케스트라가 내는 특수 효과음의 강력한 감정표현만은 놀랄만한 일이다. 아무튼 이 오페라를 관람한 저녁은 정말 잊지 못할 저녁일 것이다. 저녁 밥을 아직 먹지 않았다면 못 먹을 것이기 때문이며 꿈에 자꾸 나타날 것 같아서 잠도 못자는 밤일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우는 점도 있다. 심리학에서 말하는 엘렉트라 콤플렉스가 어떤 것인지 알아 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스의 아가멤논(Agamemnon)장군은 트로이에 포로로 잡혀있다가 탈출하여 돌아온다. 그러나 돌아오자마자 그의 부인 클라이템네스트라와 간부 이지스투스의 손에 목숨을 잃는다. 이들은 아가멤논이 트로이에 잡혀있는 동안 스스로 그리스의 왕이 되어 크레테를 통치하고 있었다. 아가멤논의 딸인 엘렉트라공주는 아버지를 살해한 어머니와 간부인 이지스투스를 증오하여 복수의 날만을 기다리고 있다. 이것이 오페라 엘렉트라의 도입부이다.

 

원수를 갚고서 기뻐하는 엘렉트라

 

에피소드: 슈트라우스의 오페라는 대단히 강력한 힘이 있는 작품이다. 그의 오페라에서는 극적인 여러 가지 모티프가 음악적으로 여러번 등장한다. 예를 들어 아가멤논의 이름을 찬양하는 소리로 드라마가 오픈되는 것이다. 또한 주인공 엘렉트라는 오페라의 전편을 통하여 무대에 계속 남아 있는다. 이러한 점도 다른 오페라와 구별되는 특별한 연출이다. 이 오페라에서 오케스트라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하다. 엘렉트라의 드레스 리허설 때 어떤 장면에서 슈트라우스는 오케스트라를 보고 ‘음향이 안 들린다. 무엇들 하는가? 더 크게, 아직도 무대의 노래 소리를 들을 수 있단 말이야!’라고 소리쳤다.

배경스토리: 엘렉트라 신화가 있기 전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그리스의 장군인 아가멤논이 트로이 전쟁에서 포로로 되었다가 집으로 돌아와 보니 부인 클리템네스트라(Clytemnestra)가 다른 남자와 불륜의 관계에 있는 것을 발견한다. 부인은 남편 아가멤논으로부터 정절과 부정에 대한 설교를 듣기 전에 선수를 쳐서 남편을 죽이고 간부와 함께 스스로 통치자(왕위)에 오른다. 죽은 남편 아가메놈왕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 오레스테스(Orestes)는 종적을 알수 없는 곳으로 도망친다. ‘올해의 장한 어머니’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클리템네스트라는 자기의 딸인 크리소테미스(Crisothemis)와 엘렉트라(Elektra)를 더러운 움막에서 개와 함께 먹고 자도록 하며 노예처럼 일하도록 한다. 엘렉트라는 아버지의 죽음을 비통해 하며 복수를 다짐한다. 동생인 크리스는 언니 엘렉트라에게 엄마라는 사람이 언니를 지하 감옥 깊숙이 가두어 둘 계획이니 조심하라고 말해준다. 엘렉트라는 도망간 남동생 오레스테스와 은밀히 연락을 취하며 아버지를 죽이는데 동조한 자들을 파악해 달라고 부탁한다.

 

엘렉트라의 역할을 맡는 성악가는 16세의 젊은 모습과 이졸데 또는 브륀힐데과 같은 강하고 담대한 음성을 지녀야 한다. 실제로 엘렉트라는 공연중 신체적인 또는 정신적인 도전을 받아야 한다.


줄거리: 하인들이 엘렉트라에 대하여 의논하고 있다. 엘렉트라는 크리스(크리소테미스의 애칭)와 함께 이 나라의 공주이다. 그렇지만 노예보다도 더 처참한 대우를 받으면서 겨우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 고양이 같이 행동하고 개처럼 짖어야하며 심심하면 매질을 당하는 엘렉트라.... 어떻게 해야 왕의 가족이었던 것이 인정을 받고 살수 있을 것인가? 하인들은 엘렉트라가 불쌍하다는 생각이다. 무대가 열리면 엘렉트라가 거지보다 더 비참한 옷을 입고 나타난다. ‘나 혼자뿐이야, 정말 나 혼자야, 아~’라고 중얼 거린다. 엘렉트라는 자기 엄마에게 복수할 것을 매일 같이 다짐하녀 지내고 있다. 어머니를 죽일수 있게 된다면 얼마나 행복할까라는 소망을 마음 속 깊이 간직하고 있다. 엘렉트라는 동생 크리소테미스에게 아버지의 살인자에 대하여 함께 복수하고 어머니를 함께 없애자고 말하지만 동생은 어떻게 엄마를 죽일수 있겠느냐며 거절한다.

 

엘렉트라와 어머니


어머니가 나타난다. 클리템네스트라이다. 원본에 의하면 어머니의 얼굴은 누렇게 뜨고 부어 오른 것 같이 창백하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눈꺼풀이 비정상적으로 커서 눈을 뜨는데 힘이 든다고 되어있다. 어머니는 엘렉트라에게 자기가 요즘 한달이나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으니 어떻게 해야 고칠 수 있는지를 물어본다. 엘렉트라는 속으로 오빠와 내가 힘을 합쳐 엄마를 죽이면 영원히 편히 잠을 잘수 있을 것이라고 중얼거린다. 언니 크리스가 나타나 오빠가 군인들에게 잡혀 말에 끌리는 형벌을 받아 거의 죽을 지경에 되었다고 전하면서 소리 내어 운다. 이 소식을 들은 어머니 클리템네스트라는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기는커녕 오히려 이제부터는 두발 뻗고 잘수 있게 되었다고 기뻐한다. 엘렉트라는 오빠 소식을 듣자 마음에 동요가 일어나 마치 짐승처럼 이리저리 기어 다닌다. 그때 어두운 그림자가 나타난다. 오빠인 오레스테스이다. 죽지 않고 살아 있었던 것이다. 엘렉트라는 기쁨에 넘쳐 ‘오레스테스! 오레스테스!’라고 소리친다. 두 사람은 아버지를 살해한 자, 즉  어머니에게 당장 복수하자고 다짐한다. 엘렉트라는 두 손으로 땅을 파고 자기가 만들어서 감추어 두었던 도끼를 꺼내어 오레스테스의 손에 쥐어준다. 잠시후 이지스투스(Aegisthus)가 왕궁으로 돌아온다. 엘렉트라는 짐짓 아지스투스를 환영하듯 그의 주위를 돌면서 춤을 춘다. 얼마 후면 죽을 목숨을 축하라도 하기 위해서인듯 춤을 춘다.

 

엘렉트라를 핍박하는 어머니

 

엘렉트라와 오빠 오레스테스가 궁전 안으로 스며들어간다. 어머니를 발견한 오빠 오레스테스는 도끼로 어머니의 목을 친다. 옆에서 엘렉트라는 ‘더 세게, 더 깊이, 다시 한 번 더!’라고 외치고 있다. 죽어가는 어머니의 비명에 궁전 사람들이 잠에서 깨어난다. 어머니와 합심해서 아버지를 살해한 간부(姦夫) 이지스투스(Aegistus)가 나타나자 엘렉트라는 기괴한 행동과 소리를 지르며 그에게 다가가서 크게 비웃는다. 무언가 이상한 낌새를 차린 이지스투스가 급하게 어머니 방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그곳에는 오레스테스의 도끼를 들고 이지스투스를 기다리고 있었다. 오레스테스의 도끼날이 이지스투스의 등을 찍는다. 이지스투스는 죽어가면서 ‘도와다오! 거기 아무도 없는가? 내소리가 들리는가?’라고 소리친다. 엘렉트라가 ‘네가 살해한 우리 아버지가 소리를 듣고 있을 거야’라고 말하며 기뻐서 어쩔 줄 몰라 한다. (어머니와 의붓아버지를 죽인 오레스트는 스스로 목숨을 끊어 죄과를 받는다.) 궁전은 일대 혼란에 빠졌다. 그런 혼란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는 듯, 엘렉트라는 자기 아버지 무덤에서 승리의 춤을 춘다. 얼마 후 엘렉트라는 무덤위에 쓰러진다. 꼼짝도 하지 않는 것을 보니 죽은 것 같다. 천둥과 번개가 치고 비가 내리는데 크리스가 궁전 문을 두드리며 ‘오레스테스, 오레스테스’를 슬피 부르짖는데 막이 내린다.

 

어머니 역할의 아네스 발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