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오페라 하우스(Israeli Opera House)
텔 아비브 공연예술센터(Tel Aviv Performing Arts Center)에 소속
과거 New Israeli Opera House(신이스라엘 오페라 하우스)
텔 아비브 공연예술센터. 이스라엘 오페라 하우스
텔 아비브 공연예술센터(신이스라엘 오페라 하우스)는 비교적 최근인 1994년 문을 열었다. 이스라엘 오페라계의 오랜 숙원이었다. 그 동안에는 이곳 저곳의 극장을 빌려 오페라를 공연했다. 주로 영화관을 빌려 공연했다. 이스라엘의 오페라 연혁은 새로운 국가 건설만큼이나 어려운 일정을 거친 것이었다. 텔 아비브 공연예술센터는 이스라엘 오페라단의 홈이다. 이스라엘의 정치 수도는 예루살렘이지만 문화예술의 수도는 텔 아비브이다. 1920년대만 해도 텔 아비브의 시민은 2천명 정도 였다. 그러나 1922년에 이미 히브리 오페라(Hebrew Opera in Eretz Israel)이 텔 아비브에 구성되어 콘서트 형식으로 오페라 하일라이트를 연주했다. 안톤 루빈슈타인과 차이코브스키의 오페라 아리아 하일라이트였다. 물론 오케스트라는 없었다. 몇달후 이번에는 구노의 파우스트를 정식으로 공연했다. 오케스트라가 없었기 때문에 피아노 반주로 오페라를 공연했다.
텔아비브 공연예술센터. 이 센터 내에 이스라엘 오페라 하우스가 있다.
이듬해인 1923년 러시아에서 활동하던 유명한 지휘자인 모르드개 골린킨(Mordechai Golinkin)가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왔다. 그는 곧이어 팔레스타인 오페라(The Palestine Opera)를 설립했다. 골린킨의 오페라단은 그해 7월 데뷔 공연을 가졌다. 라 트라비아타였다. 오페라 극장이 없어서 텔 아비브의 에덴영화관에서 공연했다. 합창단원은 8명이었으며 오케스트라는 음악학교에서 데려온 학생 12명이었다. 이들의 공연은 많은 텔 아비브 시민들에게 많은 감동을 주었다. 골린킨의 오페라단은 이어 예루살렘(시온 홀)과 하이파(콜리시엄영화관)에서 라 트라비아타를 공연했다. 열광적인 갈채를 받았다. 골린킨의 팔레스타인 오페라단이 비록 처음에는 성공했으나 운영에 있어서는 정반대였다. 경제적 압박 때문에 단원들에게 줄 급료 조차 없었다. 마침내 골린킨은 10여명의 단원들에게 각기 꿈을 찾아 가고 싶은데로 가라고 말하고 오페라단을 해산했다.
이스라엘 오페라의 '사랑의 묘약'. 1950년대 키부츠를 무대로 삼았다.
그러나 오페라를 사랑하는 텔 아비브 시민들은 도저히 가만 있을 수 없었다. 1941년 팔레스타인 민속오페라단를 설립했다. 어려운 여건 아래에서도 이 오페라단은 1946년까지 17편의 오페라와 발레를 무대에 올렸다. 골린킨이 명예 지휘자로 초청되었다. 그 즈음에는 부족하나마 오케스트라도 마련되었다. 그러나 역시 재정난 등 여러 문제 때문에 팔레스타인 오페라단은 중도 하자 할수 밖에 없었다. 1945년 11월 미국에서 활동하던 유명한 소프라노 에디 드 필립(Edis de Phillipe)가 텔 아비브를 찾아왔다. 에디는 이스라엘에 오페라를 꽃피우게 하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자기의 재간을 모두 털어서 오페라단을 만들고 공연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어려운 시기여서 오페라 공연은 생각만큼 순탄하지 않았다. 에디 역시 꿈을 접어 둔채 미국으로 돌아갔다. 1947년 11월 에디가 개인 오페라단을 만든지 2주년이 되는 날, UN은 이스라엘 건국을 가결하였다. 바로 그 해에 텔 아비브에서 이스라엘 국립오페라단이 결성되었다. 이스라엘 국립오페라(INO)는 창단 기념으로 마스네의 타이스를 공연했다. 이스라엘 건국의 기쁨에 넘쳐 있는 국민들로부터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다. INO는 1958년까지 전국을 순회하며 1천회 이상의 오페라 공연을 가졌다.
이스라엘 오페라가 소속되어 있는 텔아비브의 이스라엘공연예술센터
1960년대에 들어와서 INO는 이스라엘 국내에서 훌륭한 성악가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여 외국으로부터 성악가를 초청키로 했다. 멕시코에서 거주하던 젊은 테너가 부인과 함께 INO의 초청을 받았다. 플라치도 도밍고와 그의 부인 소프라노 마르타 오르넬라스(Marta Ornelas)였다. 도밍고는 2년반 동안 INO에 있으면서 13개 오페라 역할로 280회나 출연했다. 도밍고는 어떤 오페라에서 히브리어로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INO는 재정난 때문에 또다시 문을 닿아야 했다. 1982년이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다른 모든 사업에 우선하여 이스라엘의 오페라를 육성키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1985년 뉴이스라엘오페라단(New Israeli Opera House)이 설립되어 창단 기념으로 '디도와 이니아스'를 무대에 올렸다. 두번째 공연은 '피가로의 결혼'이었다. 대성공이었다. '피가로'는 이스라엘 오페라 연혁에 있어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준 뜻 깊은 공연이었다. 이로서 INO는 국제 오페라계로 발돋움을 하게 되었다. 1994년 텔 아비브는 마침내 오랜 숙원이던 오페라 하우스를 갖게 되었다. 텔아비브공연예술센터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마사다에서 이스라엘 오페라단의 '카르멘' 공연
'세계의 오페라하우스 > 유명 오페라극장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프치히 오페라하우스(Opera Leipzig) (0) | 2007.09.11 |
---|---|
파리 샤틀레 극장(Theatre du Chatelet) (0) | 2007.09.11 |
리스본 산 카를로스 국립극장(Teatro Nacional de Sao Carlos) (0) | 2007.09.10 |
암스테르담 스토페라(Stopera)극장 (0) | 2007.09.10 |
더블린 게이어티 극장(Gaiety Theatre) (0) | 2007.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