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merlane(타머레인) - Tamerlano (타머라노)
George Frederic Handel (조지 프레데릭 헨델)
타머라노에게 잡혀 감옥에 갇힌 술탄 바예지드(Bayezid: Bajazet). 스타니슬라브 슈베보브스키 그림.
타이틀: Tamerlane(Tamerlano: Timurlenk: Tamburlaine). 전3막. 대본은 니콜라 프란체스코 하임(Nicola Franceso Haym).
초연: 1724년 10월 31일 런던 King's Theater
주요배역: 타머라노(티무르렌크: 타르타르의 황제: 남성 A), 바자제트(베야지트: 터키의 황제: T), 아스테리아(바자제트의 딸: S), 안드로니코(인드로니쿠스: 그리스 왕자: 남성 A), 이레네(타머라노의 약혼자: CA), 레오네(레오: 타머라노와 안드로니코의 친구: B), 자이데(아스테리아의 친구: 묵음 역할)
사전지식: 바자제트와 타머라노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작곡가들이 오페라로 남겼다. 대표적인 것은 비발디의 ‘바자제트’이다. 헨델의 ‘타머라노’는 비발디의 ‘바자제트’보다 11년 앞서서 공연된 것이다. 타머라노는 타르타르의 폭군 탐버레인(Tamburlaine)으로 영국식으로는 크리스토퍼 말로우(Christopher Marlowe)이며 터키에서는 티무르렌크(Timurlenk), 즉 ‘절름발이 티무르’라고 부른다. 이 오페라의 초점은 정복자와 피정복자간의 운명적인 만남에 있다.
에피소드: 헨델이 활동했던 당시에는 오페라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것이 관례였다. 그리하여 원래는 바자제트의 비극적인 죽음으로 마무리되는 스토리이지만 바자제느의 죽음 이후에 바자제트의 딸 아스테리아의 행복한 결혼 스토리를 넣어 해피엔딩으로 만들었다.
타멀라노와 아스테리아. 로열오페라하우스, 런던
줄거리: 터키의 황제 바자제트(Bazajet: Beyazit)와 그의 딸 아스테리아(Asteria)는 포악한 타르타르(몽골)의 황제 타머라노(Tamerlano: Tamerlane: Tamburlaine)에게 붙잡혀 지내다가 석방된다. 타머라노는 바자제트에게 은근히 자살을 암시한다. 적군에게 포로로 잡힌 주제에 살아가면 무엇하겠느냐는 생각에서이다. 타머라노의 친구로서 그리스의 왕자인 안드로니코(Andronico: Andronicus)가 자살하려는 바자제트의 마음을 가까스로 돌린다. 안드로니코와 바자제트의 딸 아스테리아는 서로 은밀하게 사랑하는 사이이다. 바자제트에게는 치욕의 나날을 보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괴롭다. 그래서 죽음으로서 치욕에서 벗어나고자 하지만 딸 아스테리아를 생각하여 주저하고 있다. 타머라노는 바자제트의 아름다운 딸 아스테리아(Asteria)를 사랑하여 만일 아스테리아도 자기를 사랑하고 따르면 바자제트를 살펴주겠다고 제안한다. 타머라노에게는 정치적인 이유로 오래전에 약혼한 이레네(Irene)가 있다. 하지만 아스테리아를 본 후에는 이레네를 생각하지 않는다. 타머라노는 오히려 이레네와 안드로니코를 맺어 주고자 한다. 안드로니코는 비잔틴 제국의 황제로 등극하게 된다.
타머라노와 약혼한 이레네(Irene)가 멀리서부터 타머라노를 만나러 온다. 하지만 궁성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제지당한다. 이레네는 상황이 이상하다는 것을 느끼고 목동으로 변장하여 결국 궁성으로 들어간다. 이레네는 마침 타머라노가 바자제트에게 딸을 내놓으면 목숨을 살려주겠다고 위협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바자제트는 아스테리아를 희생시킬수 없다고 하며 완강히 거부한다. 이레네가 참지 못하고 튀어나와 타머라노를 신랄하게 비난한다.
바자제트(도밍고)와 아스테리아(사라 코번). LA 오페라
아스테리아는 원수인 타머라노와 결혼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를 죽이려는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그 계획은 사전에 탄로되어 바자제트와 아스테리아는 감옥에 갇힌다. 바자제트와 아스테리아는 타머라노에게 죽임을 당하느니보다 스스로 죽을 생각을 하여 독약을 준비한다. 죽음을 앞둔 아스테리아는 안드로니코와의 사랑을 선언한다. 타머라크가 바자제트를 모질게 고문하며 암살기도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 바자제트는 기회를 보아 독약을 먹는다. 이 모습을 본 타머라노는 이윽고 양심의 가책을 받아 아스테리아를 용서하고 사랑하는 안드로니코와 결혼토록 허락한다. 그리고 타머라노 자신은 이레네와 결합한다.
로열 오페라 하우스의 무대
'유명 오페라 집중 소개 > 추가로 읽는 366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 프란츠 슈레커의 '보물 사냥꾼' (0) | 2008.09.22 |
---|---|
87. 베버의 '세 사람의 핀토' (0) | 2008.09.22 |
85. 앙드레 프레빈의 '욕망이란 이름의 전차' (0) | 2008.09.21 |
84. 다리우스 미요의 '오르페의 슬픔' (0) | 2008.09.21 |
83. 칼 하르트만의 '심플리치우스 심플리치씨무스' (0) | 200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