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10
베토벤플라츠와
베토벤기념상(Beethovendenkmal)
베토벤플라츠는 슈봐르첸버그장군 기마상이 있는 광장에서 슈타트파르크(시립공원) 쪽으로 가다가 바로 있다. 베토벤플라츠의 앞쪽 길건너에는 콘체르트하우스(Konzerthaus)가 있으며 베토벤플라츠의 바로 옆에는 붉은 색 벽돌의 아카데미 김나지움(Akademisches Gymnasium) 건물이 있다. 베토벤플라츠와 콘체르트하우스 사이의 큰길(로트링거슈트라쎄)에는 근년에 지하주차장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차장 때문에 베토벤플라츠의 경관이 손해를 본다는 주장이 있지만 아직은 별다른 해결책이 없는것 같다. 베토벤플라츠의 베토벤 기념상은 우리나라 음악교과서에도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세계에 있는 베토벤 기념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베토벤플라츠의 베토벤기념상. 음악서적에서 친숙하게 보아왔던 기념상이다.
베토벤플라츠가 있는 곳은 중세에 비엔나 성벽의 슈투벤토르(슈투벤성문)가 있었던 곳으로 당시에는 이곳을 비엔나의 외곽(Vorstadt)이라고 불렀다. 1865년부터 링슈트라쎄가 조성되기 시작하자 이곳의 성벽과 보루도 정비되었으며 이곳에 흐르던 비엔나강(Wienfluss)도 정리되었다. 비엔나강은 현재 슈타트파르크를 거쳐 도나우까지 흐르도록 운하처럼 정리되었다. 그리하여 비엔나강과 링슈트라쎄와의 경계선이 자연스럽게 조성되었다. 이곳에 작은 공터가 생기게 되자 비엔나 시당국은 1880년 청동의 베토벤 기념상을 세웠고 1904년에는 주변을 정돈하여 베토벤플라츠라는 명칭을 붙였다.
슈투벤토르 지하철역의 비엔나 성벽 잔해
베토벤기념상은 카스파르 폰 춤부슈(Kaspar von Zumbusch)가 제작하였다. 기념상의 하단에는 양쪽으로 불의 신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와 승리의 여신 빅토리아Victoria)가 자리 잡고 있으며 앞뒤로는 9명의 어린 푸토(Putto)들이 천진스럽게 늘어서 있다. 푸토는 큐피드와 같은 어린이로 르네상스 시대 또는 바로크 시대에 장식조각으로 유행했던 형상이다. 9명의 푸토들을 둔 것은 베토벤의 교향곡이 모두 9편임을 비유한 것이다.
베토벤기념상 하단에 있는 9명의 푸토들. 베토벤의 아홉개 교향곡을 뜻한다.
베토벤플라츠의 바로 옆에 있는 붉은 벽돌의 건물은 1863-66년에 거장 프리드리히 폰 슈미트(Friedrich von Schmidt)가 건설한 고틱 스타일의 아카데미 김나지움(Akademische Gymnasium)이다. 비엔나에서 종교적 건물이 아닌 건물로서 고틱 스타일로 건축된 것으로는 이 건물이 유일할 것이다. 건물의 현관에 들어서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직접 관할했던 지역을 대표하는 문장(紋章)들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는 모세의 분수와 전쟁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베토벤플라츠 옆에 있는 아카데미 김나지움
벽면에는 이 김나지움을 거쳐 나간 저명인사들의 이름을 기록한 명판이 붙어 있다. 프란츠 슈베르트, 에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 핵물리학자인 리제 마이트너(Lise Meitner), 한스 켈젠(Hans Kelsen), 당대의 풍자시인인 펱터 알텐버그(Peter Alternberg), 아르투르 슈니츨러(Arthur Schnitzler), 리하르트 베르-호프만(Richard Beer-Hofmann), 극작가 겸 대본가인 휴고 폰 호프만슈탈(Hugo von Hoffmannsthal), 루마니아의 작가 겸 외무장관이었던 티투 마이오레스쿠(Titu Maiorescu), 초대 체코공화국 대통령인 토마스 가리구 마사리크(Thomas Garrigue Masaryk)등의 이름을 볼수 있다. 에피소드에 불과하지만 이곳 김나지움에서 청년 슈베르트가 임시교사로 있을 때 수업도중에도 악상이 떠오르면 수업은 하지 않고 오선지에 멜로디를 적어 넣기에 바빴다고 한다. 결국 슈베르트는 수업을 등한시 했다는 이유로 그나마 임시교사 자리도 그만두어야 했다고 한다.
베토벤플라츠의 베토벤기념상
'비엔나의 거리들 > 1구 인네레 슈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자료 12 루드비히 뵈젠도르퍼(Ludwig Bösendorfer) (0) | 2009.07.26 |
---|---|
참고자료 11 뵈르제(Börse) (0) | 2009.07.26 |
참고자료 9 발하우스(Ballhaus) (0) | 2009.07.26 |
참고자료 8 바벤버그 왕조(Babenberg Dynasty) (0) | 2009.07.26 |
2. 바벤버거슈트라쎄로부터 부르크링까지 (0) | 2009.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