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트 카우어(Ferdinand Kauer)
모라비아 출신의 '도나우요정'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카우어(Ferdinand August Kauer)는 1751년 오늘날 남부 모라비아의 츠나임(Znaim)부근에 있는 다야코비키(Dyjakovicky)라는 마을에서 태어나 1831년 비엔나에서 세상을 떠난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였다. 당시에는 모라비아(오늘날의 체코공화국)가 오스트리아에 속하여 있었으므로 그를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구분하고 있다. 그는 츠나임과 비엔나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공부하고 1781년 칼 폰 마리넬리(Karl von Marinelli)가 조직한 오케스트라의 악장 겸 지휘자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는 1782년부터 징슈필, 오페라, 인시덴탈 음악, 노래를 작곡하였다. 주로 시인 칼 프리드리히 헨슬러(Karl Firedrich Hensler)의 작품을 대본으로 삼았다. 카우어의 징슈필과 오페라는 비엔나의 여러 극장에서 환영을 받았다. 첫 성공작은 Das Faustrecht in Thüringen(튀링겐의 정글법칙)이었다. 그러나 오페라 작곡가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작품은 1798년에 발표된 Das Donauweibchen(도나우 요정)이었다.
칼 폰 마리넬리. 카우어는 그가 조직한 예술단에 작곡가로서 첫 발을 디뎠다.
카우어는 비엔나의 요셉슈타트극장과 레오폴드슈타트극장의 음악감독을 지냈다. 특히 레오폴드슈타트극장에서는 음악학교를 개설하여 젊은 음악도들을 양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징슈필과 오페라 이외에도 바이올린, 플루트, 피아노, 성악을 위한 개인교습곡들을 작곡하였다. 그는 레오폴드슈타트극장의 음악감독이면서 제2바이올린 주자로서 세상을 떠나기 1년전까지 활동했다. 카우어는 평생을 통해 약 200편의 오페라와 징슈필을 작곡했다. 그의 대표작인 Das Donauweibchen은 19세기초 독일어 지역에서 가장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1803-1807년간 물의 요정 루살카(Rusalka)에 대한 스토리로 번역되어 러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공연되었다. 어찌나 인기를 끌었던지 후편이 나오기까지 했다. 하나는 베니스에서 활동하다가 러시아로 귀화한 카테리노 카보스(Catterino Cavos)가 작곡했고 다른 하나는 러시아 작곡가인 스테판 다비도프(Stepan Davydov)가 작곡했다. 요한 슈트라우스도 1887년 Donauweibchen(도나우봐이브헨: 도나우 인어)이라는 왈츠를 작곡했다. 요한 슈트라우스는 그의 오페라 심플리쿠스(Simplicus: 바보)에서 도나우봐이스헨의 멜로디를 사용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루살카'도 도나우요정에 대한 전설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카우어는 200여편에 이르는 미사곡도 작곡했다. 그리고 상당수의 실내악, 연극에 따른 인시덴탈 음악을 작곡했다. 카우어의 12 Neue Ungarische Tänze(12곡의 새로운 헝가리 무곡)는 당시 작곡가들이 유랑하는 집시들의 음악을 발췌하여 작곡하던 유행을 따른 것이었다. 카우어는 집시 무곡의 변주곡에서 처음으로 자일로폰을 사용했다. 그 후로 유럽의 오케스트라에서는 자일로폰을 적극 사용하기 시작했다. 카우어의 음악은 풍부한 멜로디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한 훌륭한 음악이 오늘날 제대로 공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카우어의 대표적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모두 비엔나의 레오폴드슈타트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사족: 카우어의 키보드곡인 ‘군대 소나타’(Sonata Militaire)는 하이든의 소나타 D 장조로 잘못 알려져 있다.
- Der Streit zwischen dem Zauberer Scionco und der Fee Galantina(마법사 스키온코와 요정 갈란티나의 다툼). 기계장치와 음악을 동반한 코미디. 1784
- Der unschuldige Betrug(순진한 속임수). 어린이 오페레타. 1790
- Bastien und Batienne(바스티엔과 바스티엔느). 오페레타. 1790
- Das Serenade(또는 Der gefoppte Alte: 조롱당한 노인). 징슈필. 1792
- Das Faustrecht in Thüringen(튀링겐의 정글법칙). 음악연극. 1796
- Das Donauweibchen(도나우 요정). 낭만적 코믹 민속동화. 1798
- Dei Löwenritter(사자기사). 음악연극. 1799
- Das Sternenmädchen im Meidlinger Walde(마이들링숲의 별소녀). 낭만적 코믹 민속동화. 1801
- Telemach Prinz von Ithaca(이타카의 텔레마호스). 징슈필. 1801
- Philibert und Kaspern(또는 Weiber sind getreuer als Manner: 여자는 남자보다 충성스럽다). 마법오페라. 1804
- Faschingswehen(사육제의 비탄). 루스트슈필. 1805
- Die Kreutzerkomödie(크로이처코미디). 포쎄. 1805
- Der travestierte Telemach(우스꽝스러운 텔레마호스). 카리카추어. 1805
- Heinrich der Stolze, Herzog von Sachsen(자랑스러운 작센영주 하인리히). 음악연극. 1806
- Orpheus und Euridice(오르페오와 유리디체: 또는 So geht es im Olympus zu). 신화적 카리카추어(풍자극). 1813
- Antonius und Cleopatra(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포쎄. 1814
- Die Musikanten an Hohen Markt(호엔마르크트의 음악가). 포쎄. 1815
'비엔나와 음악 > 오스트리아 작곡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카르 네드발(Oskar Nedbal) (0) | 2010.01.22 |
---|---|
하인리히 라인하르트(Heinrich Reinhardt) (0) | 2010.01.22 |
콘라딘 크로이처(Conradin Kreutzer) (0) | 2010.01.22 |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ubert) (0) | 2009.08.25 |
Ignaz Moscheles(이그나즈 모셀레스) (0) | 200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