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에피소드
오르페우스 이야기
오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주제: 역사상 최초의 오페라도 오르페우스 스토리
현재까지 약 70편의 오페라 등 무대작품 출현
아테네의 비잔틴-크리스찬 박물관에 있는 오르페우스 조각. 주위의 짐승들이 그의 리라 연주와 노래에 감동하여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세계의 수많은 오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스토리는 무엇일까?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 오르페우스에 대한 스토리이다. 이유는 무엇인가? 오르페우스는 ‘노래의 아버지’라는 호칭을 받고 있을 정도로 음악과 관련이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오페라의 신’이기도 하다. 오르페우스는 최초의 악기인 리라(Lyre)를 만들어 냈다. 전설에 따르면 오르페우스는 실로 기가 막히게 노래를 잘 불렀다고 한다. 너무나 잘 불러서 지옥의 신까지 감동시켰다고 한다. 그래서 죽어서 지옥에 내려 갔던 자기의 아내(유리디체)를 다시 지상으로 데려 오기까지 했다고 한다. 오르페우스가 한번 리라를 켜며 노래를 부르면 산천초목이 감동했다고 한다. 강물이 흐름을 멈추고 노래를 들었으며 숲속의 온갖 짐승들이 귀를 기울였다고 한다. 그러한 오르페우스이므로 작곡가들은 너도나도 오르페우스의 노래를 작곡하여 ‘이것이야 말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올시다’라고 자랑하고 싶어 했다.
구스타브 모로가 그린 오르페우스의 머리(The Head of Orpheus)
오르페우스는 트라시안(Thracian) 부족의 왕으로서 영웅이었다. 오르페우스에 대한 스토리는 여러 가지이지만 그중에서 뱀에게 물려 지하세계로 떠난 사랑하는 아내 유리디체를 구하여 오는 내용이 가장 잘 알려진 것이다. 이때에 오르페우스는 노래로서 지하세계의 왕을 감동시켜 유리디체를 다시 지상으로 데려가는 허락을 받는다. 음악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내용이다. 그리하여 거의 모든 오페라의 주제는 대체로 이에 대한 것이었다. 어떤 작곡가들이 오르페우스의 스토리를 주제로 하여 무대음악을 작곡했는지 살펴보자.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해도 거의 80편에 이른다. 이만하면 대단하다고 말하지 않을수 없다. 역사의 페이지에 오페라가 처음 등장한 것은 17세기 초반이다. 그로부터 21세기까지 연대별로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를 주제로 삼은 작품들을 정리하였다.
알브레헤트 뒤러가 그린 '오르페우스의 죽음'. 마니나스가 오르페우스를 증오하여 살해한다.
[17세기]
- 1600: 야코포 페리(Jacopo Peri). 유리디체(Euridice). 역사상 최초의 순수 오페라로 인정받고 있는 작품. 다행히 오늘날까지 음악이 보존되어 왔다. 그러므로 혹자들은 야코포 페리의 ‘유리디체’야 말로 역사상 최초의 오페라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를 역사상 최초의 오페라라고 주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야 말로 오페라로서 완벽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누구의 작품이 역사상 최초의 오페라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음악사학자들에게 일임하는 편이 마음 편할 것이다. 다만, 오르페우스 스토리가 역사상 최초의 오페라의 주제가 되었다는 것만은 분명한 사항이다.
- 1602: 줄리오 카치니(Giulio Caccini). 유리디체(Euridice). 다행인지 불행인지 악보가 남아 있지 않다.
- 1607: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 오르페오(L'Orfeo). 역사상 최초의 오페라 걸작으로 알려진 작품이다. 그러므로 몬테베르디를 ‘오페라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 1616: 도메니코 벨리(Domenico Belli). 슬픔의 오르페오(Orfeo dolente). 하나의 독립된 오페라가 아니며 타쏘(Tasso)의 연극 아민타(Aminta)의 중간에 등장하는 인터메디(Intermedi: 극중 공연)이다.
- 1619: 스테파노 란디(Stefano Landi). 오르페오의 죽음(La morte d'Orfeo). 특별한 관심을 끌지 못했지만 오르페오의 죽음을 다룬 것이 특색이 있다. 오르페우스는 주신 바커스의 시녀인 마이나스(Maenad)의 광란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마이나스(미내드)는 오르페우스가 바커스(디오니서스)를 예배하지 않고 다른 신에게 경배하자 이를 분하게 생각하여 은밀한 가운데 오르페우스를 공격하여 그의 몸을 토막 내어 버린다. 오르페우스의 머리는 강물에 던져졌으며 나중에 님프들이 발견한다.
- 1638: 하인리히 슈츠(Heinrich Schutz).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und Euridice). 음악이 분실되어 어떤 작품인지 알수 없다.
- 1647: 루이지 로씨(Luigi Rossi). 오르페어(Orfeo). 프랑스에서 역사상 최초로 공연된 오페라이다. 로씨가 이 오페라를 작곡하는 중에 그의 아내가 세상을 떠났다. 로씨는 마치 오르페우스와 같은 심정으로 작곡을 완성했다.
- 1654: 칼 다퀴노(Carl d'Aquino). 오르페오(Orfeo). 어떤 작품인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 1659: 요한 야콥 뢰베 폰 아이제나흐(Johann Jakob Lowe von Eisenach). 트라시안의 오르페우스(Orpheus von Thracien). 트라시아의 왕 오르페우스의 영웅적인 면을 그린 작품이다.
- 1672: 안토니오 사르토리오(Antonio Sartorio). 오르페오(Orfeo)
- 1673: 매튜 로크(Matthew Locke).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스(Orpheus and Euridice). 엘카나 세틀(Elkanah Settle)의 연극 ‘모로코의 여제’(The Empress of Morocco)의 막간에 공연한 마스크(Masque)형태의 작품이다.
- 1676: 주세페 디 디아(Giuseppe di Dia). 오르페오(Orfeo)
- 1677: 프란체스코 델라 토레(Francesco della Torre). 오르페오(Orfeo)
- 1683: 요한 필립 크리거(Johann Philipp Krieger).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und Eurydice)
- 1683: 안토니오 드라기(Antonio Draghi). 오르페오의 리라(La lira d'Orfeo)
- 1685: 마르크 안투안 샤펜티어(Marc-Antoine Charpentier). 지옥에 내려간 오르페(La descente d'Orphée aux enfers)
- 1689: 베르나르도 사바디니(Bernardo Sabadini). 오르페오(Orfeo)
- 1690: 루이 륄리(Louis Lully). 오프레(Orphée)
- 1698: 라인하르트 카이저(Reinhard Keiser). 죽음의 유리디체(Die sterbende Eurydice)
- 1699: 안드레 캄프라(Andre Campra). 지옥의 오르페오(Orfeo nell'inferni)
[18세기]
- 1701: 존 웰던(John Weldon).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and Euridice)
- 1715: 요한 요셉 푹스(Johann Joseph Fux). 오르페오와 유리디스(Orfeo ed Euridice)
- 1722: 게오르그 카스파르 슈르만(Georg Caspar Schurmann). 오르페우스(Orpheus)
- 1726: 게오르그 필립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오르페우스(Orpheus)
- 1740: 존 프레데릭 람페(John Frederick Lampe). 오프레우스와 유리디체
- 1740: 장-필립 라모(Jean-Philippe Rameau). 미완성
- 1749: 조반니 알베르토 리스토리(Giovanni Alberto Ristori). 비탄의 오르페어(I lamenti d'Orfeo)
- 1750: 개오르그 크리스토프 봐겐자일(Georg Christoph Wagenseil). 오르페오(Orfeo)
- 1752: 칼 하인리히 그라운(Carl Heinrich Graun). 오르페오(Orfeo)
- 1762: 클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Christoph Willibald Gluck). 오르페오와 유리디체(Orfeo ed Euridice). 프랑스 버전은 Orphée et Euridec(1774)
- 1767: 프랑수아 이폴리트 바르텔르몽(Francois Hippolyte Barthelemon). 오르페우스 소희가극(The Burletta of Orpheus)
- 1775: 안토니오 토찌(Antonio Tozzi). 오르페오와 유리디체(Orfeo ed Euridice)
- 1776: 페르디난도 베르토니(Ferdinando Bertoni). 오르페오와 유리디체(Orfeo ed Euridice) - 글룩의 오페라 대본과 같은 대본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글룩의 오페라가 역사적으로 개혁오페라의 선구자로서 더욱 유명하였다.
- 1781: 루이지 토렐리(Luigi Torelli). 오르페오(Orfeo)
- 1785: 프리드리히 벤다(Friedrich Benda). 오르페우스(Orpheus)
- 1786: 요한 고트리브 나우만(Johann Gottlieb Naumann).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스(Orpheus og Eurydice)
- 1788: 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Carl Ditters von Dittersdorf). 오르페우스 츠봐이테(Orpheus der Zweyte)
- 1788: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Johann Friedrich Reichardt). 오르페우스(Orpheus)
- 1789: 비토리오 트렌토(Vittorio Trento). 오르페오 레글리 엘리시(Orfeo regli Elisi)
- 1791: 요셉 하이든(Joseph Haydn). 라니마 델 필로소프(L'anima del filosofo) 또는 오르페오와 유리디체(Orfeo ed Euridice)
- 1791: 페르디난도 파에르(Ferdinando Paer). 오르페와 유리디스(Orphee et Euridice(
- 1792: 페터 빈터(Peter Winter).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und Euridice)
- 1793: 프로스퍼-디디에 드세예(Prosper-Didier Deshayes). 작은 오르페(Le petit Orphee) - 글룩의 오페라에 대한 모방작품(패러디)이다.
- 1796: 루이지 람베르티(Luigi Lamberti). 오르페오(Orfeo)
- 1796: 프란체스코 모롤린(Francesco Morolin). 오르페오와 유리디체(Orfeo et Euridice)
- 1796-97: 안투안 도베르뉴(Antoine Dauvergne). 오르페(Orphee) - 작곡만 했고 공연되지 않았다.
- 1798: 고트로브 바흐만(Gottlob Bachmann). 오르페우스의 죽음(Der Tod des Orpheus)
[19세기]
- 1802: 칼 콘라드 칸나비히(Carl Conrad Cannabich). 오르페우스(Orpheus)
- 1807: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칸네(Friedrich August Kanne). 오르페우스(Orpheus)
- 1813: 페르디난트 카우어(Ferdinand Kauer).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und Euridice) 또는 올림푸스에서는 이런 일이(So geht es im Olympus zu)
- 1814: 마르케세 프란체스코 삼피에리(Marchese Francesco Sampieri). 칸타나 형식의 오르페오(Orfeo)
- 1858: 자크 오펜바흐(Jacques Offenbach): 지옥의 오르페(Orphée aux enfers)
- 1860: 구스타브 미하엘리스(Gustav Michaelis). 속세의 오르페우스(Orpheus auf der Oberwelt)
- 1867: 칼 페르디난트 콘라딘(Carl Ferdinand Konradin). 마을의 오르페우스(Orpheus im Dorfe)-오페레타
[20세기]
- 1907: 페르난도 데 아체베도 에 실바(Fernando de Azevedo e Silva). 오르페오의 죽음(A morte de Orfeu)
- 1907-16: 클로드 드빗시(Claude Debussy). 미완성
- 1913: 장 로저-뒤카쎄(Jean Roger-Ducasse). 오르페(Orphee). 이다 루빈슈타인의 제작으로 파리 갸르니에 극장에서 초연.
- 1925: 지안 프란체스코 말리피에로(Gian Francesco Malipiero). 오르페오(L'Orfeide). 3부작(1부: Lo morte delle maschere(가면속의 죽음), 2부: 노래부르기(Sette canzoni), 3부: 오르페어(Orfeo)
- 1925: 다리우스 미요(Darius Milhaud). 불운의 오르페오(Les malheurs d'Orphee). 챔버오페라
- 1926: 에른스트 크레네크(Ernst Krenek).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und Eurydike)
- 1932: 알프레도 카셀라(Alfredo Casella). 오르페오의 사랑(La favola d'Orfeo). 챔버오페라
- 1951: 피에르 섀퍼(Pierre Schaeffer). 오르페 51(Orphee 51)
- 1953: 피에르 섀퍼 - 피에르 헨리(Pierre Henry). 오르페 53(Orphee 53)
- 1956: 톰 조빔-비니키우스 드 모라에스(Tom Jobim - Vinicius de Moraes). Orfeo da Conceicao를 ‘흑인 오르페우스’(Black Orpheus)라는 영화로 만듬.
- 1978: 한스 베르너 헨체(Hans Werner Henze). 오르페우스(Orpheus). 비엔나 버전은 1986년도 완성
- 1986: 해리슨 버트위슬(Harrison Birtwistle). 오르페우스의 마스크(The Mask of Orpheus)
- 1993: 필립 글라스(Philip Glass). 오르페(Orphee). 장 콕토의 영화 대본을 사용한 챔버오페라
- 1996: 로렌조 페레로(Lorenzo Ferrero). 단막의 뮤지컬 La nascita di Orfeo. 로렌조 페레로와 다리오 델 코르노의 공동으로 대본 작성
[21세기]
- 2005: 리키 이안 고든(Ricky Ian Gordon). 오르페우스와 유리디체(Orpheus and Euridice). 2막의 연가곡 형태의 무대작품.
- 2010: 아네 미첼(Anais Mitchell). 헤이드스타운(Hadestown: 지옥마을). 경제공황시대를 무대로 삼은 민속오페라(Folk opera). 2010년에 레코딩 발매
'오페라 이야기 > 오페라 더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루살렘 해방'과 오페라 (0) | 2010.06.29 |
---|---|
오페라로 만든 겐지 모노가타리 (0) | 2010.06.08 |
슈타츠오퍼를 빛낸 중국 오페라 뮬란(木蘭) (0) | 2009.12.14 |
살로메(Salome)의 정체 (0) | 2008.11.02 |
'트로이 사람들' 스토리 (0) | 2008.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