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이야기/오페라 에피소드

독립과 해방을 주제로 삼은 오페라들

정준극 2014. 5. 15. 16:34

오페라와 해방

조국 해방을 주제로 삼은 오페라들 대추적

한국의 8월은 해방을 생각하는 달

 

'나부코'에서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 억압받고 있는 민족을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달라고 바라는 내용이다.

 

나라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주제로 삼은 오페라들이 있다. 오페라의 주제라고 하면 사랑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간혹 영웅들이나 신들의 에피소드에 대한 것이 있지만 19세기 초반부터는 시대적인 여망에 부응해서 억압받고 있는 나라, 핍박받고 있는 백성들이 해방을 염원하는 내용의 작품들이 나와서 많은 감동을 주었고 또한 실제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베르디의 '나부코'이다. 우리가 잘 아는대로 베르디는 이탈리아의 독립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그의 오페라들을 통해서 백성들에게 이탈리아 통일에 대한 염원을 전파했지만 실제로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가를 위해 기여하였다. '나부코'에 나오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인 '날아라 금빛 날개를 타고'(Va, pensiero)는 이탈리아의 많은 국민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어서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활력소가 되었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려진 에피소드이다. 애국심이 유난히 강했던 베르디는 그의 오페라들을 통해서 이탈리아가 강대국의 외압에서 벗어나서 통일된 국가가 되기를 염원하였다. 실제로 베르디는 정치에도 참여하여 통일된 이탈리아의 상원의원으로 활동하기까지 했다. 그런 베르디의 통일운동을 그린 오페라까지 나왔다. 토리노 출신의 로렌초 페레로(Lorenzo Ferrero: 1951-)가 작곡한 '리소르지멘토'(Risorgimento)이다. 2011년, 이탈리아 통일 150주년을 기념해서 만들어진 작품이다. 리소르지멘토라는 말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중생'(重生)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재기'(再起)라고 번역함이 바람직하다. 오페라 '리소르지멘토'는 베르디의 통일운동을 주제로 삼은 것이다.

 

로렌초 페레라의 '리소르지멘토'의 피날레 장면. 베르디의 이탈리아 통일운동을 그린 오페라이다.

 

베르디의 오페라 중에서 나라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주제로 삼은 작품들은 '나부코' 이외에도 '롬바르디', '제루살렘'(예루살렘), '아틸라', '시실리의 저녁기도', '돈 카를로', '에르나니', 그리고 '조반나 다르코'와 '아이다'도 따지고 보면 그런 범주에 넣을수 있는 작품이다. '나부코'는 구약성서에 느브갓네살 왕의 이탈리아어 표기인 나부코도노소르(Nabucodonosor 영어로는 Nebuchadnezzar)를 줄여서 부르는 이름이다. 바벨론 제국의 나부코는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성전을 파괴했으며 수많은 히브리 사람들을 포로로 데려간다.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와서 노예생활을 하고 있는 히브르인들은 바벨론의 유프라데스 강가에 앉아서 언제 조국인 이스라엘 땅으로 돌아갈수 있으며 언제 예루살렘 성전을 다시 지을수 있을지를 노래한다. 그것이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이다. 구절구절마다 조국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가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 합창곡은 밀라노의 라 스칼라에서 1842년 3월 초연이 되자마자 누구나 부르는 국민적인 노래가 되었다. 이 합창곡의 가사처럼 나라 잃은 서름을 안고 있는 이탈리아 사람들은 어서 속히 외세가 물러가고 나라의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간절한 마음으로 이 노래를 불렀다. 그로부터 '날아라, 금빛 날개를 타고...'는 이탈리아의 제2의 국가(國歌)로까지 생각되어 사랑을 받았다. 나부코 왕은 나중에 기독교로 개종을 하고 히브리 노예들을 모두 고국으로 돌려 보내어 예루살렘 성전을 다시 짓도록 한다.

 

날아라, 나의 생각이여/금빛날개를 타고 날아라/부드럽고 따뜻한 바람이 불고/향기에 찬 우리 조국의/비탈과 언덕으로 날아가 쉬어라
요단의 강둑과/시온의 무너진 탑들을 기억하라/오, 너무나 사랑하는 빼앗긴 조국이여/오, 절망에 찬 소중한 추억이여
예언자의 금빛 하프여/그대는 어찌하여 침묵하고 있는가?/우리 가슴속의 기억에 다시 불을 붙이고/지나간 시절을 이야기해다오

예루살렘의 잔인한 운명처럼/쓰라린 비탄의 시를 노래 부르자/참을 힘을 주는 노래로/주께서 우리에게 용기를 주시리라

 

'나부코'에서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나부코'에 이어 1843년에 나온 오페라가 보통 '롬바르디'라고 부르는 '첫 십자군의 롬바르디인'(I Lombardi all primo croacio)이다. '롬바르디'는 두 가문이 갈등관계에 있었지만 성지 예루살렘을 이교도들로부터 구원하고자 힘을 합쳐 십자군을 거느리고 진군하여 결국 이교도들의 손으로부터 예루살렘을 해방시킨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런 내용은 원작인 토르쿠아토 타소의 드라마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처럼 오리지널과 차이가 나는 것은 당국의 검열 때문이었다. 당시 밀라노를 통치하고 있던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의 백성들이 어떤 공동의 적을 무찌르기 위해 연합전선을 펼치는 내용이 부담이 되어 수정을 요구했던 것이다. '롬바르디'는 이탈리아의 통일이 가까워오고 있는 싯점에서 국민들의 호응을 받았고 실제로 애국심을 고취하는데 커다란 힘이 되었다. '롬바르디'와 사촌간이 되는 오페라가 파리에서 초연된 '제루살렘'(예루살렘)이다. 주인공들의 이름은 서로 다르지만 스토리는 거의 비슷하다. 다만, 배경이 이탈리아 북부의 롬바르디가 아니라 프랑스 서부의 툴루스로 바뀐 것이 큰 차이이다. 그리고 베르디는 '제루살렘'에 '나부코'에 나오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의 음악을 가사만 바꾸어서 그대로 사용했다. '나부코'에서는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는 내용이지만 '제루살렘'에서는 팔레스타인에 있는 프랑스 병사들이 하나님께 어서 프랑스로 돌아가게 해 달라는 내용이다.

 

'예루살렘'의 무대

 

'아틸라'(Attila)는 훈족의 왕으로서 로마제국의 상당 부분을 침공하여 점령한 사람이다. 아틸라는 포악하고 잔인한 사람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공연히 우는 아이들에게 '얘, 아틸라가 온다'라고 말하면 뚝 그쳤다고 한다. 그러한 아틸라는 오다벨라라고 하는 로마의 애국처녀에게 죽임을 당하며 이로써 훈족의 군대는 최각한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오페라에서는 아틸라가 오다벨라에게 죽임을 당하기 전에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 점은 '나부코'가 나중에 기독교로 개종하는 스토리와 같다. 아무튼 '아틸라'는 로마를 침공한 훈족을 백성들이 일치단결하여 물리친다는 애국적인 내용이어서 외세를 물리치고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이탈리아 백성들에게 많은 용기를 불어 넣어 준 작품이다. '시실리의 저녁기도'(Les Vêpres Siciliennes: I Vespri Siciliani)는 프랑스의 압정에 시달리는 시실리의 백성들이 분연히 봉기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내고 자유와 해방을 얻는다는 내용이다. '돈 카를로'(Don Carlos: Don Carlo)에는 스페인의 왕자 돈 카를로(돈 카를로서)가 스페인의 식민지로 되어 있는 플란더스(현재의 네덜랜드 지역)의 독립과 해방을 지지하여 아버지인 필립 2세에게 항거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역시 이탈리아 국민들의 해방에 대한 염원을 대신 표현한 내용이다. '에르나니'(Ernani)는 조금 다른 경우이다. 스페인의 카를로 국왕에게 반기를 든 에르나니가 결국은 나중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된 카를로(살레마뉴) 왕의 은사로서 용서를 받고 사랑하는 엘비라와 합하게 된다는 내용이지만 이 오페라가 공연이 계획되자 오스트리아 당국은 반도가 국왕에 항거하는 내용은 마땅치 않다고 해서 승인하지 않았다. 이에 밀라노의 시민들은 당국에 항의하는 의미에서 거리마다 '비바 베르디'(Viva VERDI)라는 포스터를 은밀히 붙였다. 이때의 VERDI라는 말은 Vitorio Emanuele, Re D'Italia라는 말의 첫 글자를 딴 것으로 이탈리아 통일의 대업을 추진하고 있는 비토리오 에마누엘 왕을 지지한다는 의미였다.

 

'아틸라'의 한 장면. 메트로폴리탄

 

바그너는 바바리아의 루드비히 1세와 2세로부터 많은 후원을 받았지만 왕정보다는 공화제를 지지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1859년 5월의 유명한 드레스덴 봉기에 참여하였다가 봉기가 실패로 돌아가자 당국의 지명수배를 받는 신세가 되어 스위스로 도피했던 일도 있다. 바그너가 공화제에 대한 이상을 담아서 만든 작품이 '리엔치'(Rienzi)이다. 리엔치는 로마제국의 장군이었다. 리엔치는 공화제에 대한 열망으로 귀족사회에 대한 평민들의 항거를 지지하고 이끈다. 그러난 교황청이 군중들에게 리엔치의 말에 현혹되지 말라고 경고하자 군중들은 리엔치를 더 이상 자기들을 이끌었던 지도자임을 부인한다. 군중들이 지른 의사당의 불길이 리엔치를 삼킨다. 리엔치는 바그너가 1842년에 만든 작품이다. 바그너는 그때에 이미 공화제에 대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훗날 그의 열망대로 독일은 공화제가 되었다.

 

'리엔치'의 무대. 로마 코스탄치극장

 

로시니의 마지막 오페라인 '귀욤 텔'(Guillaume Tell: Guglielmo Tell)은 오스트리아의 학정에 시달리는 스위스 주민들이 귀욤 텔의 주도로 해방운동을 벌인다는 내용이다. '귀욤 텔'은 1829년 파리에서 공연되어 찬사를 받았지만 이탈리아에서는 사정이 달랐다.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의 영향권 안에 들어 있었기 때문에 당국의 검열에서 제약을 많이 받았다. 오스트리아제국에 대하여 반기를 든 인물을 혁명적인 인물로 영광스럽게 표현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래서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에서는 1833년에 첫 공연을 가졌고 이어 몇차례 더 공연되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로부터 약 50년 지나도록 공연허가를 받지 못했다. '귀욤 텔'의 1막에서 주인공이 부르는 l'Helvétie pleure sa liberté(스위스는 자유를 빼앗겨서 신음하고 있다)는 스위스가 오스트리아에 대하여 항거를 하는 도화선이 된 아리아였다. 로시니의 또 다른 오페라로서 민족의 해방을 염원한 것이 있다. 1818년에 발표한 '이집트의 모세'(Moses in Egitto)이다. 모세가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향하는 성경의 이야기를 오페라로 만들었다. 홍해 앞에 온 모세가 뒤에서 바로의 군대가 추격해오자 하나님께 기도하여 홍해의 물을 갈라 백성들이 무사히 건너가게 하는 장면이 압권이다. 바로의 군대는 홍해의 물이 합쳐지는 바람에 물속에 잠겨 죽임을 당한다. 로시니의 '이집트의 모세'는 강대국의 핍박을 받고 있는 많은 민족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 넣어준 작품이다. 출애굽과 관련하여서는 아놀드 쇤버그(Arnold Schoenberg)가 작곡한 '모세와 아론'(Moses und Aron)도 있다. 역시 모세가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하는 내용이지만 모세의 형인 아론은 하나님을 원망하여서 우상숭배를 하다가 징계를 받는다는 내용이다.

 

'모세와 아론'. 로마 코스탄치 극장 

 

벨리니의 '노르마'(Norma)는 사랑해서는 안될 적국의 장군을 사랑한 골족 여사제의 비극적인 삶은 그린 오페라이지만 그 내용에는 로마제국으로부터 압박받고 있는 골족의 항거가 담겨 있다. 마스네의 '르 시드'(Le Cid)는 이교도인 무어족들의 침공을 물리친 스페인의 구국영웅 엘 시드(El Cid)의 애국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오페라이다. 필립 글라스의 '사티야그라하'(Satyagraha)는 영국으로부터 인도를 해방시키고자 하는 마하트마 간디의 사상과 행동을 표현한 작품이다. 사티야그라하는 산스크리트어로서 '비폭력무저항주의'를 말한다. '사티야그라하'에서는 평화주의자들인 톨스토이, 타고르, 마틴 루터 킹의 사상도 함께 소개된다. 구소련 공산정권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 작품들도 더러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오페라들은 대체로 소련당국에 대한 풍자이다. 고골의 단편을 오페라로 만든 것은 더할 나위 없이 당국에 대한 풍자이다. 1959년에 모스크바에서 선을 보인 '체료무슈키'(Cheryomushki)는 모스크바 시당국의 주택개발사업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풍자한 것이다. 1932년에 초연된 '레이디 맥베스'(Lady Macbeth: 오리지널 타이틀은 Lady Macbeth of the Mtsensk District)도 인간성 상실의 공산사회를 풍자하는 내용이다. 고골의 단편인 '코'(Nose)를 바탕으로 만든 오페라도 정부당국에 대한 풍자가 넘쳐 있는 작품이다. 이밖에도 공산주의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소련 작곡가들의 오페라들이 여러 편이 있다.

 

'모스크바 체료무슈키'의 한 장면

 

나치에 대항하는 오페라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우도 침머만(Udo Zimmermann: 1943-)의 '백장미'(Weisse Rose)이다. 나치에 저항하다가 귀중한 목숨을 잃은 뮌헨대학교의 두 남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두 남매는 뜻을 같이 하는 다른 대학생들과 함께 '백장미 클럽'을 조직하여 비폭력주의를 원칙으로 나치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치다가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1943년 2월 22일 처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나치의 잔혹함에 대한 실상을 고발하며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잊지 말자는 오페라는 이외에도 몇편이 있다. 폴란드의 미츠슬라브 봐인버거(Mieczyslaw Weinberg: 1919-1996)가 작곡한 '승객'(Die Passagierin), 나치에 의해 퇴폐음악가로 낙인이 찍혔던 체코계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에른스트 크레네크(Ernst Krenek: 1900-1991)의 '독재자'(Der Diktator), 종전을 며칠 앞두고 강제수용소에서 죽임을 당한 빅토르 울만(Viictor Ullmann: 1898-1944)의 '아틀란티스의 황제' 등이 있지만 순수한 학생들의 저항운동을 그린 오페라는 우도 침머만의 '백장미'가 유일하다. 한편, 이탈리아 루이지 달라피콜로(Luigi Dalapiccolo)는 스페인의 필립 2세의 독재와 종교재판소의 만행에 항거하는 '죄수'(Il prigioniero)를 작곡했고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17세기 30년 전쟁 중에 개신교도와 가톨릭의 전투를 그린 오페라인 '평화의 날'(Friedenstag)을 작곡했다. '평화의 날'은 나치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1938년에 발표되어서 나치의 기분을 상하게 만들었다.

 

독일 드레스덴 출신인 우도 침머만의 '백장미'의 한 장면. 조피 숄이 죽음을 앞두고 나치의 잔혹함을 다시 한번 고발한다.

 

동구의 나라들은 대부분 고통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헝가리, 폴란드, 체코(보헤미아), 모라비아, 루마니아 등이다. 헝가리는 오토만 터키, 합스부르크의 오스트리아, 공산주의 소련으로부터 핍박을 받았다.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처지였다. 그래서 끊임없이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위해 투쟁을 하였고 그런 투쟁의 정신이 이들 나라들의 오페라에 표현되어 있다. 헝가리 국민오페라의 아버지라고 하는 에르켈 페렌츠(Erkel Ferenc: 1810-1893)의 '후냐디 라츨로'(Hunyadi László)와 '방크 반'(Bánk bán)은 헝가리를 대표하는 국민오페라로서 독재에 대한 항거와 조국의 해방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에르켈 페렌츠의 '후냐디 라츨로'

                

폴란드의 얀 스테파니(Jan Stefani: 1746-1829)의 ‘상상의 기적’(Cud mniemany: 1794)은 훗날 제정러시아의 학정에 항거라는 1863년 1월 항쟁의 기폭제가 된 오페라이다. 그러나 항쟁은 실패로 돌아가서 수많은 폴란드 애국지사들이 시베리아로 강제로 끌려갔다. 요제프 엘스너(Jozef Elsner: 1769-1854)의 ‘아마존 용사들’(Amazonki)은 부족의 자유와 해방을 위해 싸우는 전사들의 이야기를 그린 오페라로서 폴란드 국민들의 자유에 대한 염원을 표현한 작품이다. 보헤미아(현재의 체코공화국)를 대표하는 베드리치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가 1881년에 내놓은 '리뷰세'(Libuse)는 보헤미아의 밝은 장래를 예언하고 프라하가 이루어질 것을 말하여 체코의 초석을 놓은 보헤미아의 여왕에 대한 이야기이다. 오페라 '리뷰세'는 1881년 프라하국립극장의 개관기념으로 공연되었다. 스메타나는 생전에 '리뷰세'를 듣지 못했다. 청각장애가 생겼기 때문이었다. 드보르작의 또 다른 오페라인 '반다'(Vanda)는 독일 침략으로부터 백성들을 구하기 위해 비스툴라 강에 뛰어든 폴란드의 왕비 반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이 역시 폴란드 국민들의 애국심을 불러 일으키는 내용이다.

 

스메타나의 '리뷰세'

 

우리나라에서는 항일투쟁으로 민족의 해방을 추구했던 이야기가 오페라로 만들어진 것이 있다. 도산 안창호 탄생 100주년 기념으로 2013년 5월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된 '선구자, 도산 안창호'이다. 최현석이 작곡했고 소설가 겸 음악평론가인 이남진이 대본을 썼다. 항일정신과 관련된 오페라로는 일찍이 1937년에 한유한(한형석)이 작곡한 '아리랑'이 있다. 만주에서 조선족들이 항일운동을 펼치던 당시의 이야기이다. 한유한의 '아리랑'은 중국 시안에서 초연되었으며 대본이 중국어로 되어 있어서 순수 우리나라 창작 오페라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캐나다에 이민간 박재훈 선생은 류관순 열사 순국 80주년을 기념하여 2012년에 오페라 '류관순'을 작곡했다. 고난의 역사를 망각하는 민족이 되지 말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오페라이다. 물리학도였던 강준일은 '백범 김구'를 작곡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 출신의 하인츠 레버가 작곡하고 독일의 시인인 알베르트 오스트마이어가 대본을 쓴 '아시아의 횃불 안중근'이 2001년 베를린에서 초연을 가진바 있다.

 

최현석 작곡, 이남진 대본의 '선구자, 도산 안창호' 무대. 2013년 5월 세종문화회관(Credit: 음악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