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 이야기/대학도시 비엔나

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교

정준극 2015. 3. 12. 19:09

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교(Universität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Wien) - MDW(엠데베)

University of Music and Performing Arts, Vienna

비엔나 국립음대

 

안톤 폰 베베른 플라츠에 있는 비엔나국립음대(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교)

 

비엔나는 음악의 도시이다. 다른 도시들의 거리는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지만 비엔나의 거리는 음표로 포장되어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비엔나는 음악의 도시이다. 비엔나는 음악의 도시답게 여러 음악교육기관이  있지만 그중에서 대표적인 곳은 일반적으로 비엔나음대라고 불리는 비엔나음악 및 공연예술대학교이다. 독일어로는 '우니페어지태트 휘어 무지크 운트 다르슈텔렌데 쿤스트 빈'라고 읽는다. 분명히 대학교(우니페어지태트)라는 단어가 들어간다. 3구 안톤 폰 베베른 플라츠(Anton von Webern-Platz) 1번지가 본부 주소이다. 슈타트파르크에서 남쪽 방향으로 있다. 전에는 로트링거슈트라쎄(Lothringerstrasse) 18번지, 지금의 아카데미극장(Akademietheater)에 본부를 두었으나 새로 안톤 폰 베베른 플라츠에 건물을 확보하여 이전했다. 학생수는 3천여명에 이르며 교직원들은 8백50여명인데 그중에 전임 교수만해도 150명에 이른다. 이만하면 유럽은 물론이고 전세계에서도 상당한 규모의 음악대학교이다. 오스트리아에는 린츠, 그라츠, 잘츠부르크(모차르테움), 인스부르크 등 여러 도시에 음대가 있지만 아무래도 비엔나의 음대가 가장 규모가 크다. 비엔나 음대는 24개 연구실(우리로 보면 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역시 음악만이 아니라 다른 공연예술도 교육하는 곳이기 때문에 여기에 연극을 전공하는 막스 라인하르트 세미나(Max Reinhardt Seminar), 비엔나 필름 아카데미, 비엔나 클랑슈틸(Wiener Klangstil ) 연구실 등이 있다.

 

3구 운가르가쎄에 있는 슐첸트룸(스쿨 센터). 엠데베는 이곳에도 강의실을 빌려쓰고 있다.

 

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교는 음악뿐만 아니라 연극과 영화도 포함하는 교육기관이며 더구나 학생수가 3천에 이르기 때문에 아무리 본부 건물이 있다고 해도 학습공간이 부족하다. 그래서 시내의 여러 곳에 교실(Unterrichtsorte)로 사용하는 곳을 마련하거나 또는 분교(Niederlassungen)를 두고 있다. 우선 교실로 사용하고 있는 곳은 1구 칼스플라츠(Karlsplatz) 1-2번지의 안토니오 비발디 룸(Antonio Vivaldi Saal), 슈베르트링 14번지로서 자일러슈태테와 요한네스가쎄 모퉁이에 있는 건물, 징거슈트라쎄(Singerstrasse) 26번지, 4구 리에뇌쓸가쎄(Rienösslgasse)) 12번지, 13구 쇤브루너 슐로스테아터(Schönbrunner Schlosstheater), 펜칭거슈트라쎄(Penzingerstrasse)의 팔레 쿰벌랜드(Palais Cumberland: 막스 라인하르트 제미나르) 등이다. 그리고 분교로 사용하고 있는 곳은 3구 운가르가쎄(Ungargasse) 14번지의 슐첸트룸(스쿨 센터), 렌베그(Rennweg) 8번지의 살레지안 수도원, 메터니히가쎄(Metternichgasse) 8-12번지, 로트링거슈트라쎄(Lothringerstrasse) 18번지인 아카데미테아터의 프란츠 리스트 룸(Franz Liszt Saal) 등이다. 이렇듯 분교 또는 시내 교실이 여러 곳에 있기 때문에 혹시 길을 가다가 간판을 보고 '아니 여기가 그 유명한 비엔나 음대란 말인가?'라고 감탄할 필요는 없다. 비엔나 음대의 본부는 3구 안톤 폰 베베른 플라츠 1번지이기 때문이다.

 

14구 펜칭의 팔레 쿰벌랜드. 엠데베가 교실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이다.

 

학교의 규모가 크므로 전공분야도 세분화 되어 있다. 전공분야는 음악, 연극, 영화, 사진 등으로 분류할수 있지만 실은 각 연구실을 두어 전공자들이 연구를 할수 있도록 체계를 세워 놓았다. 현재 24개 연구실이 운영되고 있다. 개중에는 위대한 음악인이나 예술가를 기려서 그들의 이름을 붙인 연구실들도 있다.

 

○ Institut für Komposition und Elektroakustik(작곡 및 전자음향 연구실)

○ Institut für Musikleitung(지휘 연구실)

○ Institut für Analyse,Theorie und Geschichte der Musik(음악분석, 음악이론, 음악사 연구실)

○ Institut für Tasteninstrumente (Podium/Konzert)(건반악기 연구실)

○ Institut für Streich- und andere Saiteninstrumente (Podium/Konzert)(현악기 연구실)

○ Leonard Bernstein Institut für Blas- und Schlaginstrumente(레오나드 번슈타인 금관악기 연구실)

○ Joseph Haydn Institut für Kammermusik und Spezialensembles(요제프 하이든 실내악 및 특별앙상블 연구실)

○ Institut für Orgel, Orgelforschung und Kirchenmusik(오르간, 오르간 연구, 교회음악 연구실)

○ Institut für Gesang und Musiktheater(노래 및 음악극장 연구실)

○ Institut für Schauspiel und Schauspielregie(Max Reinhardt Seminar)(연극 및연극감독 연구실)(막스 라인하르트 제미나르)

○ Institut für Film und Fernsehen (Filmakaemie Wien)(필름 및 TV 연구실)(비엔나 필름 아카데미)

○ Institut für Musikpädagogik(음악교육 연구실)

○ Institut für Musik- und Bewegungserziehung sowie Musiktherapie(음악-운동 훈련 및 치료 연구실)

○ Institut für Musikalische Stilforschung(음악스타일 연구실)

○ Institut für Popularmusik(대중음악 연구실)

○ Institut Ludwig van Beethoven (Tasteninstrumente in der Musikpädagogik)(루드비히 반 베토벤 연구실) (음악교육에 있어서 건반악기 연구실)

○ Hellmesberger - Institut (Streich- u. andere Saiteninstr. i. d. Musikpädagogik)(헬메스버거 연구실)(음악교육에 있어서 현악기 연구실)

○ Institut Franz Schubert (Blas- und Schlaginstrumente in der Musikpädagogik)(프란츠 슈베르트 연구실)(음악교육에서의 금관악기 및 타악기 연구실)

○ Institut Antonio Salieri (Gesang in der Musikpädagogik)(안토니오 살리에리 연구실)(음악교육에서의 성악 연구실)

○ Institut Anton Bruckner (Musiktheorie, Gehörbildung, Ensembleleitung)(안톤 브루크너 연구실)(음악이론, 시청, 앙상블 연구실)

○ Institut für Volksmusikforschung und Ethnomusikologie(민속음악연구 및 민족음악학 연구실)

○ Institue für Wiener Klangstil(Musikalische Akustik)(빈 음향스타일 연구실)   

○ Institut für Musiksoziologie(음악사회학 연구실)

○ Institut für Kulturmanagement und Kulturwissenschaft (IKM)(문화관리 및 문화과학 연구실)

 

대학오케스트라 연주회

 

엠데베는 매년 여름 국제여름아카데미(ISA: Internationale Sommerakademie)를 개최하고 있다. 음악여름캠퍼스이다. 장소는 비엔나와 젬머링 지역이다. 젬머링은 니더외스터라이히주와 슈타이어마르크주의 경계에 있는 협곡으로 훌륭한 자연경관으로 탁월한 여름휴양지이다. 약 40개국에서 2백여명의 젊은 음악도들이 뛰어난교수진의 마스터클라스에 참가한다. 참가자들은 주로 동구와 중부 유럽 지역에서 온다. 음악으로서 국경을 넘는 친교를 갖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엠데베의 기악분야는 세계적으로 우수하다고 정평이 나 있다. 엠데베는 오래전부터 빈필에게 멤버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해 왔다. 엠데베는 매년 10개 정도의 경연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은 국제베토벤피아노 경연대회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권위를 높여가고 있는 국제경연대회이다. 매 2년마다는 학생들이 제작한 영화 페스티발도 열린다. 이를 통해서 영화계의 감독으로 진출하는 학생들도 있다.

 

엠데베의 연혁을 알아보자. 과거의 역사를 안다는 것은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할수 있는 발판이다. 엠데베의 전신은 1817년에 비엔나악우회(Gesellschaft der Musikfreunde in Wien)이 설립한 징슐레(Singschule), 즉 오래학교이다. 비엔나악우회는 1812년에 설립되었다. 1812년이라고 하면 저 유명한 차이코브스키의 '1812년 서곡'이 생각나지 않을수 없는 해이다. 나폴레옹이 모스크바에서 후퇴하고 결국은 실각한 해이다. 비엔나악우회가 설립된 것은 비엔나음악원(Konservatoriums für Musik)을 만들기 위한 사전작업으로였다. 사실상 비엔나에도 파리음악원과 같은 음악원이 있어야 한다는 아이디어는 1808년에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1811년에는 '비엔나 음악교육기관 설립 계획서'가 만들어졌다. 그래서 음악원을 만들기 위해 단체로서 비엔나악우회가 설립되었던 것이며 비엔나악우회는 몇년동안 조심히 검토하여서 1817년에 비로소 음악원을 설립키로 했으나 재정부족으로 기악파트는 개설할수 없어서 우선 성악전공파트만 개설하였다. 그래서 명칭도 노래학교(Singschule)가 되었다. 이것이 물론 비엔나음악원의 발판이 되었던 것이며 오늘날 엠데베의 전신이었던 것이다. 안토니오 살리에리가 노래학교의 초대 교장을 맡았다. 안토니오 살리에리라고 하면 '아마데우스'라는 영화에서 볼수 있듯이 혹시 모차르트를 시기하고 질투하여서 독살하지 않았나라는 의심을 받은 바로 이탈리아 출신의 그 작곡가를 말한다. 아무튼 그로부터 2년 후인 1819년에는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뵘(Joseph Böhm)을 초빙하여 우선 바이올린과의 개장을 준비토록 했다. 바이올린과의 설립에 힘을 얻어서 그후로 기악과들이 계속 발전을 기록하여서 1827년에는 거의 모든 기악과가 문을 열게 되었다.

 

그런데 이렇듯 전공파트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학교 운영을 위한 재정은 불안정했다. 그래서 1829년부터는 학생들로부터 수업료를 받기로 했다. 그러나 그것도 한계가 있었다. 결국 음악원은 1837년에 파산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정부가 개입하지 않을수 없었다. 정부는 음악원에 1841년부터 1844년까지, 1846년부터 1848년까지 재정지원을 했다. 재정지원이 1848년에 마감하게 된 것은 그해에 정치상황이 매우 불안해서였다. 1848년이라고 하면 비엔나에서 혁명이 일어난 해였다. 정부의 재정지원이 중단되자 음악원은 문을 닫을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1848년으로부터 1851년까지 문을 닫았다. 암흑기였다. 그러다가 1851년부터 정부와 비엔나 시당국이 지원을 재개하여 음악원의 재정은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 음악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했지만 그렇다고 음악원의 운영권을 정부가 장악한 것은 아니었다. 음악원은 애초대로 비엔나악우회가 운영을 했다. 그러다가 1909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제국법령에 의해 음악원은 국립으로 전환되었고 명칭도 '제국 음악 및 공연예술 아카데미'(k.k. Akademi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가 되었다. 그전까지는 공식명칭이 '악우회 음악원'(Konservatorium der Gesellschaft der Musikfreunde)이었다.

 

1907년부터는 빌헬름 보프(Wilhelm Bopp)가 음악원장을 맡았다. 당시만 해도 음악원은 원로인 작곡가인 로베르트 푹스(Robert Fuchs)와 역시 작곡가이며 지휘자인 헤르만 그래데너(Hermann Grädner)가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 빌헬름 보프는 두 사람이 모두 음악원의 발전에 고질적인 존재라고 믿었다. 두 사람 중에서도 로베르트 푹스를 도무지 어찌할수 없는 인물로 치부했다. 혹자는 무정부주의자와 같다고까지 말했다. 빌헬름 보프는 두 사람이 제발로 걸어나가기를 바랬다. 그래서 젊고 유망한 작곡가들을 영입했다. 프란츠 슈레커(Franz Schrecker)와 아놀드 쇤베르크(Arnold Schönberg)였다. 아놀드 쇤베르크는 사양했지만 프란츠 슈레커는 교수직을 수락했다. 그러나 아놀드 쇤베르크는 1911년에 개인적으로 이론과정을 갖고 학생들을 가르친 일이 있다. 프란츠 슈레커의 강의는 대인기를 끌었다. 그래서 1913년에는 종신 교수직으로 임명되었다. 악우회음악원은 1912년에 3구의 리스트 슈트라쎄의 건물에 연습실을 확보하고 학생들을 가르쳤다. 현재의 아카데미극장이다. 1차 대전이 끝나자 음악원은 국립아카데미(Staatsakademie)라고 이름을 바꾸고 조직도 개편했다. 교수안 지휘자 페르디난트 뢰베(Ferdinand Löwe)가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교수중에서 음악원장이 나온 것은 처음이었다. 1922년에는 작곡가인 요제프 마르크스(Joseph Marx)가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음악원이 일반대학과 마찬가지의 대우를 받는 기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28년에는 라인하르트 제미나르(Schauspielseminar)가 개설되었고 이어 음악교육세미나(Musikpadagogisches Seminar)가 개설되어 연주뿐만 아니라 이론과 교사양성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었다.

 

나치가 오스트리아를 합병한 이후 음악원의 교수들과 학생들 중에서 유태계 등의 이유로 추방된 숫자가 많았다. 1941년에는 음악원이 제국대학교(Reichshochschule)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2차 대전이 끝난 후에는 다시 예술아카데미(Kunstakademie)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전쟁후에는 각 기관에서 나치주의자들이나 나치에 동조했던 사람들을 색출하여 추방하는 운동이 한창이었다. 이에 따라 음악원에서도 59명의 교수들이 해고되었다. 이와 함께 유태인이라고 해서 쫓겨났던 사람들이 다시 교수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1945년 11월에는 16명이 복직을 했다. 1938년에 해고되었던 교수들 중에서는 다섯명만 복직되었다. 1970년에 정부는 모든 예술아카데미들을 대학교로 격상하는 법령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음악원도 '예술 아카데미'에서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Hochschul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1998년에 비로소 호흐슐레(Hochschule)라는 단어 대신에 우니페어지태트(Universität)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비엔나국립음대 소연주회장

 

지금까지 비엔나국립음대(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교)를 거쳐간 유명 교수진을 소개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뵘(Joseph Böhm), 작곡가 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요제프 다흐스(Josef Dachs), 크로아티아 출신의 피아니스트 율리우스 에프슈타인(Julius Epstein), 피아니스트 로베르트 피슈호프(Robert Fischhof), 작곡가 로베르트 푹스(Robert Fuchs),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헬메스버거(Joseph Hellmesberger), 지휘자 겸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크리프스(Josef Krips), 지휘자 페르디난트 뢰베(Ferdinand Löwe), 작곡가 요제프 마르크스(Joseph Marx), 배우 겸 영화감독 막스 라인하르트(Max Reinhardt), 콘트랄토 힐데 뢰셀 마이단(Hilde Rössel-Majdan),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Antonio Salieri),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에밀 폰 자우어(Emil von Sauer), 지휘자 프란츠 샬크(Franz Schalk), 아놀드 쇤베르크(Arnold Schönberg: 1911년에 잠시), 작곡가 프란츠 슈미트(Franz Schmidt), 작곡가 프란츠 슈레커(Franz Schrecker).

 

한편, 이 대학교를 수료한 저명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Claudio Abbado), 영화감독 바르바라 알베르트(Barbara Albert), 블랑카 우리베 에스피티아(Blanca Uribe Espitia), 크리스티안 알텐부르거(Christian Altenburger), 바이올리니스트 오스카르 바크(Oskar Back), 프란츠 바우어 토이슬(Franz Bauder-Theussl), 클래식 기타리스트 요한나 바이슈타이너(Johanna Beisteiner), 배우 아힘 베닝(Achim Benning), 피아니스트 루돌프 부흐빈더(Rudolf Buchbinder), 카자크스탄 출신의 지휘자 알란 부리바예프(Alan Buribayev), 작곡가 프리드리히 체르하(Friedrich Cerha), 남아프리카 출신 소프라노 미미 코어체(Mimi Coertse), 도날드 코버트(Donald Covert), 피아니스트 헬무트 도이치(Helmut Deutsch), 작곡가 게오르게 에네스쿠(George Enescu), 미국 출신의 작곡가 제임스 어브(James Erb), 헝가리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칼 플레슈(Carl Flesch), 피아니스트 마티아스 플레츠버거(Matthias Fletzberger), 작곡가 카를 골드마트(Karl Goldmark), 지휘자 마리스 얀슨스(Mariss Jansons),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 성악가 안젤리카 키르흐슐라거(Angelika Kirchschlager), 체코 출신의 클래식 기타리스트 레온 쿠델라크(Leon Koudelak), 오스트리아 출신의 프랑스계 소프라노 가브리엘레 크라우스(Gabrielle Grauss), 작곡가 겸 바이올리니스트 프리츠 크라이슬러(Fritz Kreisker), 작곡가 겸 지휘자 구스타브 말러(Gustav Mahler), 지휘자 주빈 메타(Zubin Metha), 바르바라 모저(Barbara Moser), 지휘자 펠릭스 모틀(Felix Mottl), 헝가리 출신의 지휘자 아르투르 니키슈(Arthur Nikisch),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지휘자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여배우 조피 로이스(Sophie Rois), 첼리스트 겸 지휘자 하인리히 쉬프(Heinrich Schiff),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영화음악 작곡가 막스 슈타이너(Max Steiner), 작곡가 후고 볼프(Hugo Wolf).

 

비엔나 국립음악대학교 간판(MDW 음악 및 공연예술대학교)

 

[비엔나 이외 지역의 음악대학교]

 

○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린츠 안톤 브루크너 사립대학교(Anton Bruckner Privatuniversität)

○ 포아아를버그주 펠트키르흐 BORG 음악김니지움(Feldkirch BORG-Musikgymnasium)

○ 부르겐란트주 아이젠슈타트 요제프 하이든 콘세르바토리움(Eisenstadt Josepf Haydn Konservatorium)

○ 캐른텐주 캐른트너 주립콘세르바토리움(Kärntner Landeskonservatorium)

○ 포아아를버그 브리겐츠 포아아를버그 주립콘세르바토리움(Landeskonservatorium Vorarlberg)

○ 티롤주 인스부르크 티롤주깁콘세르바토리움(Tiroler Landeskonservatorium)

○ 슈타이어마르크주 그라츠 음악-공연예술대학교(Graz Universität für Musik und dasrstellende Kunst)

○ 잘추브루크주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대학교(Salzburg Universität Mozarteum)

 

 

 

 

 

ä ö 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