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토리오의 세계/특별 오라토리오

존 애덤스의 '엘 니뇨'(El Niño)

정준극 2015. 12. 27. 20:12

엘 니뇨(El Niño)

미국 존 애덤스(John Adams)의 2 파트 오라토리오-오페라

그리스도의 탄생과 어린시절의 이야기...탄생 오라토리오(Nativity Oratorio)

 

존 애덤스

 

'엘 니뇨'(El Niño)는 스페인어로 '소년'이란 뜻이다. 스페인어에서 '엘'은 존칭이다. 예를 들어서 스페인의 구국 영웅인 시드(Cid)에게는 그냥 시드라고 부르지 않고 '엘 시드'(El Cid)라고 부르며 존경을 표현한다. 스페인 국민이면 누구나 사랑하는 돈 키호테의 경우에도 세계에서는 '돈 키호테'라고 부르지만 스페인에서는 '엘 키호테'라고 높여서 부른다. 화가인 그레코도 엘 그레코이다. 그래서 '엘 니뇨'라고 하면 소년은 소년이지만 소년을 존경해서 부르는 표현이다. '엘 니뇨'는 어린이 예수를 말한다. 사족이지만 '엘 니뇨'에 대칭되는 단어는 '라 니냐'(La Niña)이다. '엘 니뇨'와 '라 니냐'는  세계적인 기상이변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어서 흥미롭기도 하다. 미국 매사추세츠 출신의 중견 작곡가인 존 애덤스(John Adams: 1947-)가 '엘 니뇨'라는 스페인어 제목의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다. 존 애덤스는 '중국에 간 닉슨'(Nixon in China), '클링호퍼의 죽음'(Death of Klinghoffer)과 같은 중량감있는 오페라를 만들어서 유명한 작곡가인데 이번에는 오라토리오를 만든 것이다. 잘 아는대로 오라토리오는 원래 하나의 종교적인 스토리를 여러 형태의 음악으로 만든 작품이다. 그러다가 19세기 후반 부터는 비단 종교적인 내용 뿐만 아니라 일반 세속적인 내용도 오라토리오의 소재로 삼기 시작했다. 그래도 오늘날 오라토리오라고 하면 아무렴 종교적인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의미에서 '엘 니뇨'도 종교적인 내용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소재로 삼은 오라토리오이다. 탄생과 관련한 오라토리오이기 때문에 일명 '탄생 오라토리오'(Nativity Oratorio)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나저나 미국의 존 애덤스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의 시를 대본으로 사용했다는 것은 특이하다. 오라토리오 '엘 니뇨'는 2000년 12월 15일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한창이던 때에 파리의 샤틀레 극장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베를린의 도이체 심포니 오케스터가 연주했고 솔리스트로서는 소프라노 던 업쇼(Dawn Upshaw), 메조소프라노 로레인 헌트 리버슨(Lorraine Hunt Lieberson), 바리톤 윌라드 화이트(Willard White), 그리고 카운터테너 다니엘 브베크(Daniel Bubeck) 등 3명이 출연했고 여기에 혼성4부합창단, 어린이합창단이 나왔다. 지휘는 일본 출신의 켄트 나가노(Kent Nagano)가 맡았다. 나중에 피터 셀라스에 의한 연출에서는 댄스와 필름 영상도 포함되었다.

 

미국 스폴레토 페스티발에서의 '엘 니뇨' 무대. 오라토리오이면서도 오페라로 공연되기도 한다.

 

'엘 니뇨'의 대본은 여러 소스에서 가져온 것이다. 킹제임스의 흠정본 신약성경에서도 가져왔고 심지어는 경외서에서도 가져왔으며 웨이크필드의 미스터리 연극(종교극)과 마르틴 루터의 크리스마스 설교문으로부터도 대사를 가져왔다. 신약성경에서는 주로 누가복음의 구절을 인용하였다. 그리고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여러 명의 라틴 아메리카계 작가들의 시에서도 가져왔다. 예를 들면 멕시코의 시인인 로자리오 카스텔라노스(Rosario Castellanos: 1925-1974), 멕시코의 수녀이며 시인인 소르 후아나 이네스 델 라 크루스(Sor Juana Ines de la Cruz: 165-1695), 칠레의 시인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가브리엘라 미스트랄(Gabriela Mistral: 2889-1957), 칠레의 시인인 빈센테 우이도브로(Vincente Huidobro: 1893-1948), 니콰라과의 시인인 루벤 다리오(Ruben Dario: 1867-1916) 등이다. 여기에 미국의 극장감독인 피터 셀라스(Peter Sellars: 1957-)의 대본도 포함하였고 존 애담스 자신이 직접 쓴 가사도 들어있다. 이와 함께 가브리엘라 미스트랄의 '크리스마스 별'(The Christmas Star)과 독일의 작곡가인 힐데가르드 폰 빙겐(Hildegard von Bingen: 1098-1179)의 유명한 찬양집인 '오 얼마니 귀중한가'(O quam preciosa)를 인용한 것은 특별한 일이다. 음악은 어떠한가? 존 애덤스가 그동안 개발한 여러 스타일의 음악들이 한데 포용되어 있다. 팝도 포함되어 있고 이밖에 통속적인, 다른 말로 표현해서 저속한 음악도 들어 있으며 재즈, 미니멀리즘, 기타 20세기에 등장한 여러 형태의 음악이 혼재되어 있다. 그런가하면 헨델의 '메시아'에서도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음악들이 나온다. 실상 존 애덤스는 헨델의 음악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엘 니뇨'는 샌프란시스코 심포니와 파리의 샤틀레 극장이 공동으로 위촉한 작품이다.

 

존 애덤스의 '엘 니뇨' 포스터

 

'엘 니뇨'는 2000년에 파리에서 초연을 가졌지만 미국 초연은 이듬해인 2001년 1월 11일 샌프란시스코의 데이비스 홀에서였다. 역시 켄트 나가노가 지휘를 맡았고 솔리스트들은 파리 초연에서의 솔리스트들이 그대로 출연하였다. 다만, 오케스트라는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였고 합창단은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합창단이었다. 뉴욕에서는 2013년 1월에 브루클린 음악원에서 공연되었다. 이번에는 로스안젤레스 필하모닉이 연주했다. 하지만 솔리스트들은 파리와 샌프란시스코 초연에서의 캐스트 그대로였다. 2014년 스폴레토 페스티발에서 공연될 때에는 인형들이 사용되었고 댄스와 필름 영상들이 투영되었다. '엘 니뇨'는 두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파트는 마리아가 예수를 베들레헴의 마굿간에서 출산하기 이전에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번째 파트는 예수가 태어난 후에 일어났던 일들, 예를 들면 헤롯이 무고한 어린이들을 학살한 일, 성가족의 애굽으로 피난 간 일 등에 대한 이야기이다.

 

뉴욕 공연에서는 영상도 이용되었다.

 

파트 1은 '나는 어떤 처녀에 대하여 노래하네'(I Sing of a Maiden)로 시작한다. 상당히 도전적인 오프닝이다. 존 애담스의 하모니레레(Harmonielehre)의 드라마틱한 첫번째 주제를 생각케 하는 것이다. 이어서 '찬양하라 마리아 은혜로운 자여'(Hail, Mary, Gracious!)가 나오고 계속해서 가장 신비스런 파트인 '수태고지'(La Anunciacion)이 나온다. 이 노래는 신비스럽기도 하지만 이 오라토리오에서 가장 긴 노래이다. 멕시코의 시인인 로자리오 카스텔라노스의 시에서 가사를 가져왔다. 아주 감동적인 가사와 멜로디로서 출산에 대한 기쁨과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다. 사랑스럽고 서정적인 '마그니피카트'(Magnificat)는 소프라노 솔로와 여성 합창으로 이어진다. 요셉은 마리아의 잉태 소식을 듣고 매우 놀라고 분노한다. 경외서의 야고보 복음서에 기록된 대로 요셉의 심리상태를 잘 표현하고 있다. 요셉의 놀람과 분노는 '요셉의 꿈'에 천사가 나타나서 얘기해 줌으로서 진정된다.

'이제 마리아는 열여섯 살이라네'(Now She Was Sixteen Years Old)이다. 그 다음에 나오는 노래는 드라마틱한 것이다. '하늘을 흔들라'(Shake the Heavens)이다. 구약성경 학개에 나오는 구절이며 노래는 헨델의 '메시아'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를 바리톤이 대단히 아름답게 꾸며서 그리고 힘차게 부른다. 파트 1을 마무리하는 노래는 '크리스마스의 별'이다. 칠레의 시인인 가브리엘라 미스트랄의 구절이다. 종교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큰 기쁨을 느끼는 것을 표현한 내용이다. 여기에 독일의 힐데가르드 폰 빙겐의 찬양인 '오 얼마나 소중한가'는 마리아의 응답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엘 니뇨'의 샌프란시스코 연주. 솔리스트들은 카운터테너 3명,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바리톤이다.

 

파트 2는 '나의 주는 고통을 받으시려 태어나시도다'(Pues mi Dios ha nacido a penar)로 시작한다. 슬픔에 넘친 곡이다. 17세기 멕시코의 수녀인 후아나 이네스 델 라 크루즈의 기도문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어 '헤롯이 소식을 들었을 때'(When Heord Heard)는 마치 부기 우기와 같은 리듬이다. 합창인 '그들이 떠났을 때에'(And When They Were Departed)는 조용하고 엄숙한 분위기의 노래이다. 이어 '새벽 공기'(Dawn Air)는 기쁜에 넘친 사랑의 노래이다. 칠레의 작가인 빈센테 우이도브로의 글이다. 헤롯이 무고한 어린 아이들을 살육한 내용의 노래는 현대판 '틀라텔롤코 메모리얼'(Memorial De Tlatelolco)을 연상케 하는 것이다. 카스텔라노스의 시는 아즈텍이 정복자들의 손에 의해 참패를 한 이야기를 소재로 삼고 있다. 또한 1968년에 멕시코에서 반정부 운동이 격화되어 경찰과 시민들이 대치하고 있는 장면을 연상케한다. 오라토리오 '엘 니뇨'는 두가지 환상적인 내용으로 마무리 된다. 경외서인 위작 마태서에 나오는 '예수와 용'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린 예수가 용들을 물리친다는 내용이다. 또 하나는 종려나무에 대한 이야기이다. 성가족이 헤롯의 박해를 피해서 애급으로 가는 도중에 어느 마을에서 쉬어가고자 할 때 종려나무가 굽어지면서 아기 예수를 비롯한 성가족에게 그늘을 만들어 주었으며 또한 샘이 나타나서 성가족이 갈증을 풀어 주었다는 얘기다. 이 장면들의 음악은 평화스러운 어린이 합창과 기타 반주에 의한 것이다.

 

파트별 노래 제목은 다음과 같다.

[파트 11]

1. I Sing of a Maiden(나는 어떤 처녀에 대하여 노래하네)

2. Hail, Mary, Gracious!(찬양하라 마리아 은혜로운 자)

3. La anunciacion(수태고지)

4. For with God nothing shall be impossible(하나님에게는 불가능이 없느니라)

5. The babe leaped in her womb(복중의 아기가 발로 차며)

6. Magnificat(마그니피카트). 누가복음 1: 46-55에 나오는 마리아의 찬가.

7. Now she was sixteen years old(이제 그는 열여섯 살이라네)

8. Joseph's Dream(요셉의 꿈)

9. Shake the Heavens(하늘을 흔들지라)

10. Se Habla de Gabriel(가브리엘의 말씀)

11. The Christmas Star(크리스마스의 별)

 

[파트 2]

1. Pues mi Dios ha nacido a penar(나의 주는 고통을 받으시려 태어나시도다)

2. When Herod Heard(헤롯이 소식을 들었을 때)

3. Woe unto them that call evil good(악을 선이라고 하는 자들은 저주를 받을지어다)

4. And the Star Went before Them(별이 그들이 앞에 가더라)

5. The Three Kings(세 임금들)

6. And when they were departed(그들이 떠났을 때)

7. Dawn Air(새벽 공기)

8. And he slew all the children(그가 어린이들을 죽였도다)

9. Memorial de Tlatelolco(틀라텔롤코의 메모리얼)

10. In the day of the great slaughter(대학살의 날에)

11. Pues esta tritando

12. Jesus and the Dragons(예수와 용들)

13. A Palm Tree(종려나무)

 

오라토리오는 과거에는 작품들도 많이 나오고 사람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으나 현대에 들어와서는 어쩐 일인지 작곡가들도 작곡을 하지 않으며 사람들도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게 되었다. 오라토리오는 기본적으로 성경에 나오는 이야기를 하나의 스토리로 삼아서 음악으로 만든 작품이다. 그러면 성경 이야기를 주제로 삼은 오페라와는 어떻게 다른가? 예를 들어서 베르디의 '나부코', 생상스의 '삼손과 델릴라', 올리비에 메시앙의 '아씨시의 성프란체스코'(Dainte Francoise d'Assise) 등은 오라토리오와 마찬가지로 성경 이야기를 주제로 삼은 것들인데 오라토리오와 어떻게 다른가? 오라토리오에서는 솔로이스트들과 합창단이 일상적인 옷을 입고 한 자리에서 노래를 부른다. 일상적인 옷이라는 것은 현재에 입는 옷을 말한다. 스토리가 구약시대의 것이라고 해서 구약시대의 옷을 입는 다는 것은 아니다. 한 자리에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이리저리 움직이며  연기를 하면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 아니다. 오라토리오로서 가장 유명한 작품은 아무래도 헨델의 '메시아'일 것이다.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작곡가인 존 애덤스가 어째서 오라토리오를 작곡했을까? 애덤스는 자기도 '메시아'를 작곡하고 싶다고 말했다. 애덤스는 헨델의 '메시아'로부터 많은 감동을 받았다. 그리고 비록 어린 시절의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담은 것이지만 그래도 메시아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의의가 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