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컬 뮤직 팟푸리/클래시컬 뮤직 팟푸리

나라 이름이 들어간 작품들

정준극 2018. 4. 27. 14:10

나라 이름이 들어간 작품들


위대한 음악작품의 제목에 자기 나라의 명칭이 들어가 있다면 국민된 도리로서 영광이 아닐수 없다. 어떤 작품들이 나라 이름을 제목에 포함하였는지 살펴본다. 주로 오페라에서 나라 이름, 또는 도시 이름을 제목에 사용한 경우가 많이 있다. 오페라의 내용이 어떤 나라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고 해도 제목에 포현되지 않으면 열거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투란도트'는 당연히 중국의 베이징을 배경으로 삼은 오페라이지만 중국의 카테고리에 포함하지 않았다. 오페라 '나비부인'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의 나가사키가 배경이지만 제목과는 상관 없으므로 포함할수 없었다. 코리아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작품이 있다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미안하지만 재팬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작품은 아직 보지 못했다. 소개하는 나라 이름을 알파벳 순서로 소개한다.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 토리노왕립극장


○ Algeria(알제리아)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L'italiana in Algeri)


○ America(아메리카). 이 경우에는 미국을 뜻함

- 안토닌 드보르작의 현악4중주곡 12번 F 장조 Op 96과 현악4중주곡 3번 Eb 장조 Op 97

- 안토닌 드보르작의 '모음곡' A 장조 Op 98b.

- 돈 길리스(Don Gillis: 1912-1978. 미국)의 교향곡 1번 '아메리카 교향곡'(An American Symphony)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왈츠 '아메리카여 안녕'(Farewell to America)


○ Austria(오스트리아)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행진곡 '오스트리아'(Asutria) Op 20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폴카 마즈루카 '오스트리아로부터의 인사'(Gruss aus Österreich). Op 359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비엔나의 칼리오스트로'(Cagliostro in Wien)에서 '오스트리아 만세'(Hoch Österreich). Op 371 


'비엔나의 칼리오스트로'. 베를린 코미셰 오퍼

 

○ Brazil(브라질)

- 세자르 게라 페익세(César Guerra-Peixe: 1914-1993: 브라질)의 교향곡 2번 '브라질리아'(Brazilia)

- 클라우디오 산토로(Claudio Santoro)의 교향곡 7번 '신포니아 브라질리아'(Sinfonia Brazilia)


○ China(중국)

- 존 아담스(John Adams)의 오페라 '중국에 간 닉슨'(Nixon in China)

- 주디스 위어(Judith Weir: 1954-: 영국)의 '중국 오페라에서의 하룻밤'(A Night at the Chinese Opera)


'중국에 간 닉슨'. 메트로폴리탄


○ Cyprus(키프로서: 사이프러스)

- 프로멘탈 알레비(Fromental Havely)의 오페라 '키프러스의 여왕'(La reine de Chypre)


○ Denmark(덴마크)

- 제레미아 클라크(Jeremiah Clarke: 1674-1707)의 트럼펫 벌런터리 '덴마크 왕자의 행진곡'(Prince of Denmark's March)


○ Deutschland(독일)

- 한스 아이슬러(Hans Eisler: 1898-1962: 오스트리아)의 '독일 교향곡'(Deutsche Sinfonie)

- 마우리치오 카겔(Mauricio Kagel: 1931-: 독일계 아르헨티나)의 오페라 '독일로부터'(Aus Deutschland)

* 독일진혼곡(Deutsches Requiem)은 독일어로 된 진혼곡이다.


○ Egypt(이집트)

- 조지 프리데릭 헨델의 '이집트의 왕 톨로메오'(Tolomeo, re d'Egitto)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이집트 왕 타모스'(Thamos, König in Ägypten)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이집트 행진곡'(Ägyptischer March). Op 335

- 에티엔느 니콜라스 메울(Etienne Nicolas Méhul)의 오페라 '조셉'(Joseph 또는 Joseph en Égypte)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이집트의 모세'(Mosé in Egitto)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이집트의 헬렌'(Die Ägyptiische Helena)


'이집트의 헬렌'. 도이체 오퍼 베를린


○ England(영국)

- 허버트 패리(Hubert Parry: 1848-1918: 영국)의 교향곡 3번 '잉글리쉬'(English)

- 에드워드 저맨(Edward German: 1882-1936: 영국)의 오페라 '메리 잉글랜드'(Merrie England)


○ Finland(핀랜드)

-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의 교향시 '핀란디아'(Finlandia)


○ France(프랑스)

- 보리스 티슈첸코(Boris Tishchenko: 1939-2010: 러시아)의 '프랑스 교향곡'(A French Symphony)


○ Greece(그리스)

- 러트랜드 바우턴(Rutland Boughton: 1875-1960: 영국)의 현악4중주곡 A 장조 '그리크'(Greek)

- 마크 안소니 터니지(Mark-Anthony Turnage: 1960-). 오페라 '그리크'(Greek)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크레테의 왕 이도메네오'(Idomeneo, re di Creta). 고대에는 크레타(크레테섬)도 별도의 왕국이었다.


'그리크'. 보스턴 리릭 오페라


○ Hungary(헝가리)

- 프란츠 리스트의 '헝가리 광시곡'(Hungarian Raphsodies). 12개 피아노 작품, 그중에서 2번, 6번, 10번, 12번, 14번이 유명하다.

- 요한네스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Hungarian Dances). 헝거리 주제의 21개 무곡. 그중에서 1번과 5번이 유명하다.

- 칼 골드마크(Karl Goldmark: 1830-1915: 헝가리 출신의 비엔나 작곡가)의 '피아노 듀엣을 위한 헝가리 무곡'(Hungarian Dances for Piano Duet). Op 22


○ India(인도)

- 카를로스 샤베스(Carlos Chavez: 1879-1978: 멕세코)의 교향곡 2번 '인도 교향곡'(Sinfonia India)

- 니콜라이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오페라 '사드코'(Sasko)에서 '인도의 노래'(Song of India)


'사드코'. 마리인스키 무대


○ Ireland(아일랜드)

- 챨스 빌리어스 스탠포드(Charles Villiers Stanford: 1852-1924: 아일랜드)의 교향곡 3번 F 단조. Op 28 "아이리쉬'(Irish)

- 아서 설리반(Arthur Sullivan: 1842-1900: 영국)의 교향곡 E 장조 '아이리쉬'(Irish)


○ Italia(이탈리아)

- 페터 차이코브스키의 '이탈리아 기상곡'(Italian Cappiccio). Op 45

- 펠릭스 멘델스존의 교향곡 4번 A 장조, Op 90 '이탈리아'(Italia)

- 뱅생 댕디(Vincent d'Indy: 1851-1937: 프랑스)의 교향곡 1번 '이탈리안느'(Italienne)

-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롤드'(Harold en Italie)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이탈리아의 터키인'(Il turco in Italia)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이탈리아왕 우고'(Ugo, re d'Italia)


'이탈리아의 터키인'. 알리기에리 무대


○ Korea(한국)

- 안익태(Ahn Eak-tai: 1906-1965)의 '한국 환상곡'(Symphonic Fantasy Korea)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 폴란드)의 교향곡 5번 '코리아'(Korea)

* 북한(North Korea)과 관련하여서는 미국의 사라 허칭스(Sarah Hutchings)가 작곡한 오페라 '북한에 간 로드맨'(Rodman in North Korea)라는 것이 있다. 드니스 로드맨(Dennis Rodman: 1961-)은 미국의 뛰어난 프로 농구선수인데 근자에 북한을 방문했었다.


○ Mexico(멕시코)

- 아론 코플란드의 '엘 살롱 메히코'(El Salon Mexico)


○ Morocco(모로코)

- 도미니크 아르젠토(Dominick Argento: 1927-: 미국)의 오페라 '모로코에서 온 그림엽서'(Postcard from Morrocco)


'모로코에서 온 그림엽서'. 메트로폴리탄


○ Norway(노르웨이)

- 로버트 라이트(Robert Wright)와 조지 포레스트(George Forrest)의 오페레타(뮤지컬) '송 오브 노르웨이'(Song of Norway)


○ Poland(폴란드)

- 페터 차이코브스키의 교향곡 3번 D 장조, Op 29 '폴란드'(Polish)

* 폴란드 출신의 프레데릭 쇼팽은 폴란드의 춤곡인 폴로네이스에 대한 작품은 여러 편을 작곡했지만 '폴란드'라는 제목의 작품은 없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폴로네이스라는 단어가 폴란드를 뜻하기도 하다. 


○ Prussia(프러시아). 현재의 독일

- 요제프 하이든의 현악4중주곡 Op 50 '프러시아'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현악4중주곡 21, 22, 23번(K 575, 589, 590) '프러시아'


○ Romania(루마니아)

- 제오르제 에네스쿠(George Enescu: 1881-1955: 루마니아)의 '루마니아 광시곡'(Rumanian Raphsody) 1번 A 장조와 2번 D 장조


○ Russia(러시아)

- 페터 차이코브스키의 교향곡 2번 C 단조, Op 17 '리틀 러시안'(Little Russian)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행진곡 '러시아 환상행진곡'(Russischer Marsch-Fantasie). Op 353와 Op 426 '러시아 행진곡'(Russischer Marsch)


○ Scotland(스코틀랜드)

- 펠릭스 멘델스존의 교향곡 3번 A 단조, Op 56 '스코티쉬'(Scottish)

- 막스 브루흐(Max Brfuch: 1838-1920: 독일)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스코틀랜드 환상곡'(Scottisch Fantasy) Eb 장조, Op 46


○ Sicily(시실리)

-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시실리의 저녁기도'(Les vepres siciliennes)


'시실리의 저녁기도'. 안젤라 미드


○ Spain(스페인. Espagnol)

- 에두아르 랄로(Edouard Lalo: 1823-1892)의 '스페인 교향곡'(Symphonie espagnole) D 단조. Op 21

- 니콜라이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스페인 기상곡'(Capriccio Espagnol). Op 34

-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의 오페라 '스페인의 시계'(L'heure espagnole)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스페인 행진곡'(Spanischer Marsch). Op 433


'스페인의 시계'. 비엔나 캄머오퍼


○ Sweden(스웨덴)

- 휴고 알벤(Hugo Alfven: 1872-1960: 스웨덴)의 '스웨덴 광시곡' 1번, Op 19 '하지축제'(Midsommarvaka). 스웨디쉬 라프소디.


○ Tahiti(타히티)

- 스테픈 올리버(Stephen Oliver: 1950-1992: 영국)의 오페라 '타히티의 고통'(Trouble in Tahiti)


○ Turkey(터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1번 A 장조 K 331의 3악장 '알라 투르카'(Alla turca)

- 루드비히 반 베토벤의 극음악 '아테네의 폐허'(Die Ruinen von Athen)에서 5번째 곡 '터키풍 행진곡'(Marcia alla Turca). Op 113


비엔나의거리에서 연주하고 있는 터키의 야니사리 밴드. 야니사리는 오스만 터키군의 용맹한 경보병대를 말한다. 모차르트 등은 야니사리 군악대의 음악에서 영향을 받아 '터키 행진곡'을 작곡했다고 한다.



나라는 아니지만 지역의 이름이 제목으로 들어간 경우, 또는 옛 나라이름을 제목에 사용한 대표적인 작품들


○ Africa(아프리카)

- 자코모 마이에르베르의 오페라 '아프리카 여인'(L'Africaine)

○ Arles(아를르)

- 조르즈 비제의 극음악 '아를르의 여인'(L'Arlésienne). 알퐁스 도데의 동명 희곡이다. 프란체스코 칠레아(Francesco Cilea)의 오페라 '아를르의 여인'(L'Arlesiana). 역시 알퐁스 도데의 희곡을 바탕으로 삼았다. 아를르는 프랑스 남단 옛 프로방스에 있는 지역이다.

○ Babylon(바빌론)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바빌로니아의 치로'(Ciro in Babilonia). 바빌로니아는 메소포타미아 남쪽에 있던 고대 왕국으로 수도가 바빌론이었다.

○ Borogna(보로냐. Borgogna).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보로냐의 아델라이데'(Adelaide di Borogna). 게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보르고냐의 엔리코'(Enrico di Borgogna: Henry of Burgundy). 보로냐(보르고냐)는 프랑스 동부에 있는 지역의 이름이다. 보로냐의 중심 도시는 디종이다. 보로냐는 프랑스어로 부르고뉴(Bourgogne)이다.

○ Gaul(골)

- 조지 프리데릭 헨델의 오페라 '가울라의 아마디지'(Amadigi di Gaula),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골의 아마디'(Amadis de Gaule). 골은 라틴어로 갈리아(Galiia)라고 하며 철기시대로부터 이어져 온 지역이다. 로마제국 시절에는 시저가 갈리아를 점령하므로서 로마의 영향 아래 있었다. 오늘날의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일부, 룩셈부르크, 스위스 서부, 이탈리아 북북, 그리고 라인강 서쪽의 독일을 포함하였다.

○ Germania(게르마니아)

- 알베르토 프란케티(Alberto Franchetti: 1860-1942)의 오페라 '게르마니아'. 게르마니아는 고대에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북부지역을 말했다. 라티어로 게르만민족이 살던 지역이라는 뜻이다.

○ Persia(페르시아. 파사)

- 안토니오 비발디의 오페라 '페르시아의 왕 시로에'(Siroe, re di Persia). 페르시아는 현재의 이란이다.

-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오페라 '페르시아의 여왕 팔미라'(Palmira, regina di Persia).


ü ö ä Ö Ä Ü á 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