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오페라하우스/유명 오페라극장 1

3. 파리 오페라극장(Opera de Paris) - 갸르니에 오페라

정준극 2007. 9. 3. 10:56
3. 파리 오페라극장(Opera de Paris) - 갸르니에 오페라 - 갸르니에 궁전

    L'Opera: Palais Garnier: Opera Garnier: Paris Opera: Opera National de Paris

    파리 국립오페라

  

파리 갸르니에 오페라

 

파리 오페라극장은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제일 많이 사용되는 명칭은 Palais Garnier(팔레 갸르니에: 갸르니에 궁전)이다. 위대한 건축가 갸르니에가 화려하고 웅대한 파리 오페라극장을 완성했기 때문이다. 팔레 갸르니에는 오페라 갸르니에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파리 오페라(또는 간단하레 L'oper)라고 부른다. 1875년 정식으로 개관되었을 당시의 명칭은 Academie Nationale de Musique-Theatre de l'Opera(국립음악아카데미-오페라극장)이었다. 이 명칭은 1978년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Theatre National de l'Opera de Paris(국립파리오페라극장)으로 개칭되었다. 10년후인 1989년 Opera Bastille(바스티유오페라)가 완성되고 국립파리오페라의 본부가 바스티유로 사무실을 옮기자 Palais Garnier(팔레 갸르니에: 갸르니에 궁전)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cademie Nationale de Musique라는 공식명칭은 아직도 건물의 정문 상단에 남아있다. 명칭이 바뀌고 바스티유로 파리오페라의 본부가 이관되었지만 사람들은 아직도 팔레 갸르니에를 Paris Oper(파리 오페라)라고 부른다. 객석은 2,200석이며 건축 양식은 네오 바로크 스타일이다. 당대의 건축 걸작으로 인정받는 건물이다. 몬테칼로 오페라 극장은 파리 오페라에 뒤질세라 찬란하게 건축하였지만 역시 규모면에서는 파리 오페라를 따르지 못한다. 몬테칼로 오페라극장도 갸르니에 작품이다.

 

팔레 갸르니에의 대회랑

 

파리 오페라는 그동안의 명칭만큼이나 대단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파리 오페라의 기초는 태양왕이라고 하는 루이 14세로부터 시작되었다. 루이 14세는 총애하는 작곡가인 장-밥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에게 오페라, 발레, 일반음악을 종합적으로 공연할수 있는 극장을 건설토록 당부했다. 당시 오페라단은 궁전과 극장에서 정식활동을 하고 있었지만 발레는 오페라의 연장선에서 활동했을 뿐이었다. 루이 14세는 바로크 발레(오늘날 고전 발레의 원조)의 대단한 열성팬이며 본인 스스로 발레를 즐긴 인물이었다. 1661년 프랑스 최초의 전문 발레학교인 Academie Royale de Danse(왕립무용아카데미)를 설립한 것도 루이 14세였다. 무용아카데미를 이끈 인물은 당대의 피에르 보샹(Pierre Beauchamp)이었다. 그는 고전 발레의 기본인 5가지 스텝형태를 정착시킨 인물이었다. 륄리가 주관이 되어 건설한 Theatre de l'Academie Royale de Musique(왕립음악아카데미극장: 구파리오페라)는 루이 시대를 지나 나폴레옹 시대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오페라-발레 예술의 본산이었다.

 

1900년대 초, 팔레 갸르니에서의 가면무도회. 그림

 

나폴레옹 3세는 파리시의 대대적인 도시계획을 계획하면서 오페라극장의 건설을 주장했다. 1861년 설계공모가 나갔다. 신예 샤를르 갸르니에(Charles Garnier: 1825-1898)이 선정되었다. 이듬해부터 공사가 시작되었다. 파리오페라극장 건설의 실질적인 후원자는 유제니(Eugenie)황후였다. 새로운 오페라극장의 건설에 관심이 지극했던 유제니 황후는 갸르니에에게 새로운 극장이 그리스양식으로 건축할 것인지 로마양식으로 건축할 것인지를 물어보았다. 갸르니에는 ‘마담! 그리스양식도 아니고 로마양식도 아닙니다. 나폴레옹 3세 양식이올시다’라고 대답했다. 과연, 갸르니에는 유제니 황후의 취향을 충분히 반영하여 나폴레옹 3세 시대를 대표하는 건물을 완성하였다. 건설에는 여러 난관이 있었다. 예를 들면 부지의 심층지하에는 호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부지는 습지와 같아 지반이 연약했다. 펌프로 물을 빼내는데 8개월이 걸렸다.

 

파리 오페라 천정을 장식한 샤갈의 그림과 샹들리에

 

건물 전체는 철골이 지지토록하여 견고함을 보여주었다. 무대와 객석을 제외한 모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휴게실, 전시실 등으로 사용할수 있게 만들었다. 그래서 파리 오페라극장의 회랑과 휴게실은 세계 어느 오페라극장보다 여유가 있으며 화려한 품위가 있다. 건물 외관의 멋은 과연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것이다. 특히 베토벤, 모차르트 등 유명 작곡가의 흉상이 건물 정면의 상단부에 가지런히 배열되어 있어서 눈길을 끈다. 그리고 극장 내부의 조각들은 가히 일품이다. 오디토리엄 천정의 샹들리에를 둘러싼 그림은 1964년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이 그린 것이다. 샤갈의 그림에 대한 논란이 분분했었다. 전체적으로 고전 양식의 극장 장식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였다. 더구나 샤갈의 그림은 원래 그 위치에 있었던 벽화를 없애고 그 위에 그린 것이어서 불만을 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파리 오페라극장의 자랑거리가 되어 있다. 베르디는 파리 오페라극장을 ‘커다란 양품점’(La Grand Boutique)이라고 불렀다. 드빗시는 기차역같다고 한탄했다. 그러나 누가 뭐래도 파리의 오페라극장은 세계에서 가장 화려하고 웅대한 건물이다.

 

팔레 갸르니에의 기둥을 장식한 조각들

 

이 극장 천정의 중안 샹들리에에 대하여 한마디 하지 않을수 없다. 무게가 6톤이나 된다. 세계 최대의 샹들리에일 것이다. 1896년 무게를 이기지 못한 샹들리에가 떨어져 한 사람이 사망했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 건물의 지하에는 호수가 있었다. 갸스통 르루(Gaston Leroux)는 이 극장의 지하에 있었던 호수, 중앙 천정의 대형 샹들리에에서 힌트를 얻어 ‘오페라의 유령’이라는 소설을 썼다. '오페라의 유령'에는 파리 오페라극장의 샹들리에가 휙휙 흔들리는 장면이 나와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한다. 1875년 1월 15일의 개관 때에는 기념으로 갈라 콘서트가 마련되었다. 다만, 작고한 작곡가의 작품만을 무대에 올렸다. 생존 작곡가의 음악을 올리면 말이 많아서였다. 개관 기념 프로그램은 알레비의 La Juive(유태여인)과 마이에르베르의 Les Huguenots(위그노) 발췌곡이 연주되었으며 발레로는 레오 들리브의 음악에 따른 Le Corsaire(해적)이 공연되었다. 

 

건물 상단의 아폴로, 뮤직, 포에트리 조각

 

1880년 아이다의 파리 초연일 때에는 베르디가 직접 무대감독을 맡았다. 베르디는 파리 오페라극장의 전반적인 설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불만을 얘기했지만 아이다의 공연을 치룬 후 기막히게 잘 설치된 무대의 기계장치 때문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파리의 오페라극장은 전통적으로 지나치게 비극적인 작품의 공연을 자제하여 왔다. 마스네의 르 시드(Le Cid)와 타이스의 초연은 예외였다. 라스베가스의 베니스유원지에 있는 The Phantom Theater(유령극장)의 내부는 갸르니에극장의 내부를 본따서 만든 것이다. 2006년도 소피아 코폴라(Sofia Coppola)의 영화인 Marie Antoinette(마리 앙투아네트)에서 가면무도회 장면은 갸르니에극장의 입구홀과 계단에서 촬영된 것이다. 그러나 마리 앙투아네트 시절에는 이 계단과 입구의 홀이 아직 없었다. PC 게임이 Sim City 4라는 것이 있다. 이 게임에 나오는 오페라극장은 갸르니에극장을 모형으로 한 것이다. Anastasia(아나스타시아)라는 만화 영화가 있다. 파리 오페라 극장이 여러번 등장한다. 프로코피에프의 신데렐라에서 ‘봄의 요정’ 발레장면은 갸르니에극장을 무대배경으로 한 것이다. Dead or Alive라는 비디오 게임 시리즈가 있다. 여주인공 헬레나가 갸르니에극장에서 공연할 때에 크리스티가 헬레나를 암살코자 했던 장면은 유명하다. 그리고 프랑스 식민시대에 건설된 하노이 오페라하우스는 갸르니에극장의 축소판이다.

 

팔레 갸르니에 준공식에 참석한 인사들. 중앙 계단에서. 그림

 

 

[파리 오페라극장에서 세계 초연된 오페라들] - 전신은 Théâtre du Palais-Royal

 

○ 1673: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의 '캬드뮈와 에르미온'(Cadmus et Hermione)

○ 1674: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의 '알체스트'(Alceste) 또는 '알체스트의 승리'(Le triomphe d’Alcide)

○ 1678: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의 '프시케'(Psyché) - 사이케

○ 1679: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의 '벨레로퐁'( Bellérophon)

○ 1682: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의 '프르세'(Persée) - 페르세우스 

○ 1684: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의 '아마디스'(Amadis) 또는 '골의 아마디스'(Amadis de Gaul)

○ 1686: 장 바티스트 륄리의 '아르미드'(Armide)

 

1686년 팔레 로열 오페라에서의 '아르미드' 무대

 

○ 1687: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와 제자 파스칼 콜라스(Pascal Collasse)의 합작인 '아쉴르와 플로세느'(아킬레스와 폴리세나: Achille et Polyxène) 

○ 1693: 루이 륄리(Louis Lully)와 마랭 마레(Marin Marais)의 '알시드'(Alcide) 또는 '에르큘의 승리'(La triomphe d'Hercule)

○ 1693: 마르크 안투안 샤펜티어(Marc Antoine Charpentier: 1643-1704)의 '메데'(Médée) 

○ 1694: 엘리사베스 자크 드 라 게르(Élisabeth Jacquet de La Guerre: 1665-1729)의 '세팔과 프로크리스'(Céphale et Procris) - 세팔루스와 프로크리스

○ 1694: 앙리 데마레(Henri Desmarets: 1661-1741)의 '디동'(Didon) - 디돈

○ 1696: 마랭 마레(Marin Marais)의 '아리아느와 바커스'(Arinae et Bacchus) 

○ 1697: 앙드레 깡프라(André Campra: 1660-1744)의 '친절한 유럽'(L'Europe galante)

○ 1697: 앙리 데마레(Henri Desmarets: 1661-1741)의 '베뉘와 아도니'(Vénus et Adonis) - 비너스와 아도니스 

○ 1699: 앙드레 카르디날 데투셰(André Cardinal Destouches: 1672-1749)의 '그리스의 아마디스'(Amadis de Grece)

○ 1699: 앙드레 깡프라(André Campra: 1660-1744)의 '베니스의 사육제'(Le carnaval de Venise)

○ 1700: 앙드레 깡프라(André Campra: 1660-1744)의 '에시온'(Hésione) - 헤시오네 

○ 1701: 앙드레 카르디날 데투셰(André Cardinal Destouches: 1672-1749)의 '옹팔'(Omphale)

○ 1702: 앙드레 깡프라(André Campra: 1660-1744)의 '탄크레드'(Tancrède)

○ 1704: 앙드레 깡프라와 앙리 데마레의 '터리드의 이피제니'(Iphigénie en Tauride)

○ 1706: 마랭 마레(Marin Marais: 1656-1728)의 '알시욘'(Alcyone)

○ 1709: 마랭 마레(Marin Marais: 1656-1728)의 '세멜레'(Sémélé)

○ 1710: 앙드레 깡프라의 '베니티앙의 축제'(Les festes vénitiennes) - 베니스의 축제

○ 1712: 앙드레 깡프라(André Campra: 1660-1744)의 '이도메네'(Idoménée) - 이도메네우스

○ 1718: 앙드레 깡프라(André Campra: 1660-1744)의 '나이'(Les âges)

○ 1733: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이폴리트와 아리시'(Hippolyte et Aricie) - 히폴리투스와 아리시아

○ 1735: 장 필립 라모의 '친절한 인도인'(Les Indes galante)

○ 1737: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캬스토와 폴룩스'(Castor et Pollux)

○ 1739: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다르다뉘'(Dardanus) - 다르다누스

○ 1739: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에베의 축제'(Les fêtes d'Hébé) 또는 '리릭 탈렌트'(Les talents lyriques)

○ 1743: 앙드레 카르디날 데투셰(André Cardinal Destouches: 1672-1749)의 '칼리르오에'(Callirhoé)

 

1865년의 테아트르 드 라 무지크

                          

○ 1745: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폴림니의 축제'(Les fêtes de Polymnie) - 폴리힘니아의 축제

○ 1748: 장 필립 라모의 '자이스'(Zaïs)

○ 1748: 장 필립 라모의 '피그말리옹'(Pigmalion)

○ 1749: 장 필립 라모의 '나이스'(Nais)

○ 1749: 장 필립 라모의 '조로아스트르'(Zoroastre)

○ 1751: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아깡트와 세피스’(Acante et Sephise) 또는 ‘동정심’(La sympathie)

○ 1751: 장 필립 라모의 '화환'(La guirlande) 또는 '마법의 꽃'(Les fleur enchantées)

○ 1757: 장 필립 라모(Jean-Philipp Rameau: 1683-1764)의 '아나크레옹'(Anacréon)

○ 1744: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의 '얼리드의 이피제니'(Iphigénie en Aulide) - 아울리스의 이피제니아

○ 1777: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Christoph Willbald Gluck: 1714-1787)의 '아르미드'(Armide)

○ 1779: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의 '에코와 나르시스'(Echo et Narcisse)

○ 1779: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의 '터리드의 이피제니'(Iphigénie en Tauride) - 타우리스의 이피제니아

○ 1780: 앙드레 그레트리(André Ernest Modeste Grétry: 1672-1749)의 '안드로마크'(Andromaque)

○ 1782: 앙드레 그레트리의 '두번의 재판'(La double épreuve) 또는 '법정의 콜리네트'(Colinette à la cour)

○ 1787: 안토니오 살리에리(Antonio Salieri: 1750-1825)의 '타라레'(Tarare)

○ 1803: 루이지 케루비니(Luigi Cherbini: 1760-1842)의 '아나크레옹'(Anacréon)

○ 1804: 장 프랑수아 르 쉬외르(Jean-François Le Sueur: 1760-1837)의 '오시앙'(Ossian) 또는 '시인'(Les bardes)

○ 1810: 로돌프 크로이처(Rodolphe Kreutzer: 1766-1831)의 '아벨의 죽음'(La mort d'Abel)

1813: 루이지 케루비니(Luigi Cherbini: 1760-1842)의 ‘아벵세라쥐’(Les Abencerages) 또는 ‘그라나다의 군기’(L'etendard de Grenade) 또는 '숨어 있는 사랑'(L'amour fugitif)

○ 1826: 조아키노 로시니의 '고린도 공성'(Le siège de Corinthe)

○ 1827: 조아키노 로시니의 '모세와 바로'(Moise et Pharaon) 또는 '홍해의 파사지'(Le passage de la Mer Rouge) - 오리지널 타이틀은 '이집트의 모세'(Mosè in Egitto)로 1818년 나폴리에서 초연.

○ 1828: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리 백작'(Le comte Ory)

○ 1828: 다니엘 오버의 '포르티시의 벙어리 소녀'(La muette de Portici)

○ 1829: 조아키노 로시니의 '귀욤 텔'(Guillaume Tell) - 구글리엘모 텔

○ 1831: 자코모 마이에르베르의 '악마 로베르'(Robert le diable)

 

1831년 자코모 마이에르베르의 '악마 로베르'의 Salle le Peletier 무대

              

○ 1832: 프로멘탈 알레비의 '유혹'(La tentation)

○ 1833: 다니엘 오버의 '귀스타브 3세'(Gustave III) 또는 '가면무도회'(Le bal masqué)

○ 1835: 프로멘탈 알레비의 '유대여인'(La Juive)

○ 1836: 루이스 베르탱(Louise Bertin: 1805-1877)의 '에스메랄다'(La Esmeralda)

○ 1836: 자코모 마이에르베르의 '위그노'(Les Huguenots)

○ 1837: 루이 니더마이어(Louis Niedermeyer)의 '스트라델라'(Stradella)

 

1837년 루이스 니더마이어의 '스트라델라' 초연의 3막에서 Pleure, Jérusalem을 외치는 스트라델라 

 

○ 1838: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의 '벤베누토 첼리니'(Benvenuto Cellini)

○ 1838: 게타노 도니체티의 '돈 세바스티안'(Dom Sébastien) 또는 '포르투갈 왕 돈 세바스티안'(Dom Sébastien, Roi de Portugal)

○ 1838: 프로멘탈 알레비의 '귀도와 지네브라'(Guido et Ginevra) 또는 '플로렌스의 역병'(La Peste de Florence)

○ 1839: 프로멘탈 알레비의 '요정의 호수'(Le lac des fées)

○ 1840: 게타노 도니체티의 '라 화보리트'(La favorite) - 라 화보리타(La favorita)

○ 1840: 게타노 도니체티의 '순교자'(Les matyrs). 1848년에 '폴리우토'(Poliuto)라 수정

○ 1841: 프로멘탈 알레비(Fromental Halévy: 799-1862)의 '쉬프르의 여왕'(La reine de Chypre) - 사이프러스의 여왕

○ 1843: 프로멘탈 알레비(Fromental Halévy: 799-1862)의 '샤를르 6세'(Charles VI)

○ 1844: 루이 니더마이어(Abraham Louise Niedermeyer: 1802-1861)의 '마리 스투어트'(Marie Stuart)

○ 1845: 마이클 발프(Michael William Balfe: 1808-1870 아일랜드)의 '세빌라의 별'(L'étoile de Seville)

○ 1847: 주세페 베르디의 '제루살렘'(Jérusalem) - 예루살렘

○ 1849: 자코모 마이에르베르의 '예언자'(Le prophète)

 

1851년 Salle Le Peletier에서의 '사포' 피날레 장면 스케치

   

○ 1850: 다니엘 오버(Daniel François Esprit Auber: 1782-1871)의 '탕아'(L'enfant prodique) - Théâtre de l'Académie Royale de Musique의 Grand salle

○ 1851: 샤를르 구노의 '사포'(Sapho)      

○ 1852: 프로멘탈 알레비의 '방랑하는 유대인'(Le Juif errant)

○ 1854: 샤를르 구노의 '피묻은 수녀'(La nonne sanglante)

○ 1862: 샤를르 구노의 '사바의 여왕'(La reine de Saba) - 시바의 여왕

 

1862년 샤를르 구노의 오페라 '사바의 여왕'의 Théatre de l'Académie Impériale de Musique 무대

 

○ 1865: 주세페 베르디의 '시실리의 저녁기도'(Les vêpres siciliennes)

○ 1865: 자코모 마이에르베르(Giacomo Meyerbeer)의 '아프리카 여인'(L'Africaine)

○ 1867: 주세페 베르디의 '돈 카를로스'(Don Carlos) - 파리 오페라의 Salle Le Peletier

○ 1868: 앙브루아즈 토마(Ambroise Thomas: 1811-1896)의 '함렛'(Hamlet) - 햄릿

○ 1877: 쥘르 마스네의 '라호르의 왕'(Le roi de Lahore)

○ 1878: 샤를르 구노의 '폴리외크트'(Polyeucte)

○ 1881: 샤를르 구노의 '자모라의 공물'(Le tribut de Zamora)

○ 1883: 카미유 생 생스(Charles-Camille Saint-Saëns: 1835-1921)의 '헨리 8세'(Henry VIII)

○ 1885: 쥘르 마스네(Jules Massenet)의 '르 시드'(Le Cid)

○ 1890: 카미유 생 생스(Charles-Camille Saint-Saëns: 1835-1921)의 '아스카닝오'(Ascanio)

○ 1891: 쥘르 마스네(Jules Massenet)의 '마법사'(Le mage): 사막에 아름다운 정원을 만드는 마법사

○ 1894: 쥘르 마스네(Jules Massenet)의 '타이스'(Thaïs)

 

파리 오페라(갸르니에 오페라)의 샹들리에와 샤갈이 그린 천정화

 

○ 1906: 쥘르 마스네(Jules Massenet)의 '아리아느'(Ariane)

○ 1908: 올리비에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의 '아시스의 성 프랑수아'(Saint François d'Assise) - 아씨씨의 성프란체스코

○ 1909: 쥘르 마스네(Jules Massenet)으 '바커스'(Bacchus)

○ 1914: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나이팅게일'(Le rossignol)

○ 1922: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2)의 '마브라'(Mavra)

○ 1934: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2)의 '프르세퐁'(Perséphone) - 페르세포네 

○ 1935: 레이날도 한(Reynaldo Hahn: 1874-1947)의 '베니스의 상인'(Le marchand de Venise)

 

파리 오페라의 발코니와 천정

 

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