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 비발디
바로크시대의 위대한 유산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라고 하면 우선 ‘4계’를 연상한다. 바로크 시대를 풍미한 기악곡의 선구자이다. 비발디는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다. 하지만 작곡가로서 더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오페라에 대한 기여 또한 다대하였다. 그는 여러 편의 오페라를 작곡하였지만 기악곡의 그늘에 파묻혀 생전에는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거의 1세기 후에야 그의 오페라에 대한 진면목이 공정한 평가를 받게 되었다. 베니스에서 태어난 비발디는 청년 시절에 가톨릭 신부가 되었다. 빨간 머리였기에 사람들은 비발디를 ‘빨간 신부’(The Red Priest)라고 불렀다. 28세 때에 베니스의 어떤 병원이 운영하는 고아원에서 음악교사, 합창지휘자, 작곡가로 활동하였고 그 시기부터 그의 작품과 연주가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유럽의 여러 도시를 여행하면서 그의 오페라를 공연하였지만 그다지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결국 말년에 들어서서 인기가 떨어져서 마침내 비엔나에서 곤궁하게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의 오페라가 각광을 받게된 것은 그가 비참하게 세상을 떠난후 약 백년부터였다. 비발디의 대부분 작품은 1920년대에 들어와서야 발견되어 무대에 올려지기 시작했다. 비발디는 94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존된 것은 19편뿐이다. 그 중에서 10편 남짓만이 근년에 녹음되어 알려지게 되었고 나머지 작품들은 불행하게도 아직 단 한 번도 공연된바 없다. 이제 비발디를 집중탐구해 보자
'다리오의 대관식'. 토리노왕립극장. 다리오가 오론테와 아르파고를 화해시키고 있다.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와 '빨간 사제'(일 프레토 로소)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는 1678년 3월 4일 베니스에서 태어났다. 당시에 베니스는 베니스 공국의 수도였다. 비발디는 태어나자마자 그 자리에서 세례를 받았다. 신부가 없어서 산파가 세례를 주었다. 그렇게 일찍 세례를 받도록 하는 이유는 대체로 두가지이다. 아기의 건강이 극도로 나빠서 언제 죽을지 모르므로 가톨릭 신앙에 의해 세례부터 받도록 한 것이 하나의 이유이다. 또 하나는 당시에 베니스에 지진이 심하여서 언제 죽을지 모르므로 아기가 태어나면 우선 세례부터 받도록 했던 것이다. 신앙심이 유난히 독실했던 비발디의 어머니는 비발디가 태어나자마자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걱정 속에서 무엇보다도 우선 아기 비발디를 하나님께 바쳤다. 즉, 아기 비발디가 만일 살아 난다면 성직자가 되도록 하겠다고 서약한 것이다. 그러나 아기 비발디는 당장 어떻게 되지 않았다. 비발디에 대한 공식적인 세례는 그로부터 두달 후에 산 조반니 교회에서 거행되었다. 비발디의 아버지는 조반니 바티스타 비발디였고 어머니는 카밀라 칼리키오(Camilla Calicchio)였다. 비발디에게는 여덟 형제자매가 있었다. 아버지 조반니 바티스타는 바이올리니스트였다. 원내를 이발사였는데 바이올린을 공부해서 전문 바이올리니스트가 되었다. 아버지는 어린 비발디에게 바이올린부터 가르쳤다. 비발디는 천부적인 재능으로 비록 어린 나이이지만 바이올린을 매우 잘 연주했다. 아버지는 아들 비발디를 데리고 베니스 공국의 이곳저곳을 다니면서 부자 연주회를 가졌다. 아버지 조반니 바티스타 비발디는 사회활동하기를 좋아해서 베니스에서 음악가협회를 창설하기도 했다. Sovvegno dei musicisti di Santa Cecilia 였다. 산타 체칠리아의 이름을 넣은 것은 성녀 체칠리아가 음악의 수호성인이기 때문이다. 비발디의 아버지가 주동이 되어 이 협회를 창설했지만 회장은 바로크 초기의 이름난 작곡가이며 성마르꼬 바실리카의 음악감독인 조반니 레그렌치(Giovanni Legrenzi)가 맡았다. 비발디는 레그렌치로부터 작곡 이론을 배웠다고 한다. 비발디는 13살 때에 교회 전례음악인 Laetatus sum(RV Anh 31)를 작곡했다. 레그렌치 스타일이었다.
안토니오 비발디가 세례를 받은 교회에 설치되어 있는 비발디 기념 명판
비발디의 아버지인 조반니 바티스타도 작곡가였는지 모른다. 왜냐하면 1689년에 조반니 바티스타 로시(Giovanni Battista Rossi)라는 사람이 La Fedelta sfrotunata 라는 오페라를 작곡했다는 것이 기록으로 남아 있는데 비발디의 아버지가 산타 체칠리아 협회에 회원등록할 때에 조반니 바티스타 로시라는 이름으로 등록했기 대문이다. 그건 그렇고, 비발디의 건강은 어릴 때부터 문제였다. 하다못해 비발디를 낳은 어머니 조차 비발디가 너무 허약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포기했을 정도였다. 비발디는 나이가 들자 건강상의 여러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우선 가슴이 답답하게 죄어오는 증세가 있었다. 의사들은 천식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바이올린은 계속 열심히 배웠다. 비발디는 여러 목관악기도 배웠다. 그러나 목관악기는 아무래도 천식 증세 때문에 그만두어야 했다. 그러는 한편으로 비발디는 15세 때인 1693년부터 사제가 되기 위한 교육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정말로 음악가인지 무언지는 집어 치우고 가톨릭 사제가 되고자 했다. 그리하여 10년 후인 25세 때에 신부의 서품을 받았다. 그리고 Il Prete Rosso 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빨간 사제'라는 뜻이다. 비발디는 유전적으로 빨간 머리칼이었다. 여기에 사제를 의미하는 빨간 의상을 입었으니 '빨간 사제'라고 불러도 허물이 되지 않았다. 그런데 비발디는 역시 건강이 문제였다. 비발디는 사제로 서품을 받은지 1년 후부터 미사에 참석하지 않아도 좋다는 특별 배려(dispensation)를 받았다. 교회는 이같은 배려를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서 부여한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비발디는 거의 모든 미사에 참석하지 않아도 좋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발디는 평생을 가톨릭 사제로서의 직분을 가지고 있었다.
1700년대 초반의 베니스 자혜병원. 운하에 면하여 있다.
콘세르바토리오 델로스페달레 델라 피에타(Concervatorio dell'Ospedale della Pieta)
비발디는 1703년에 사제로 서품을 받음과 동시에 베니스에 있는 Ospedale della Pieta(자혜병원)이 운영하는 고아원의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악장(maestro di violino)로 임명되었다. 비발디는 재능있는 작곡가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다. 비발디는 고아원 오케스트라를 이끌면서 작곡에도 전념하였다. 대부분 그의 작품들은 그가 자혜병원 고아원에 거의 30년 동안 있으면서 작곡한 것들이다. 베니스에는 이런 고아원이 네곳이 더 있었다. 베니스 공국이 후원하는 고아원들이었다. 고아원의 원생들은 직업교육을 받았고 15세가 되면 떠나야 했다. 여자 아이들은 주로 음악교육을 받았다. 그중에서 재능이 있는 여자 아이들은 15세가 넘어도 남아 있으면서 병원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에서 활동할수 있었다. 비발디가 고아원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을 책임 맡고나서부터 이들은 베니스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인기가 높았다. 비발디는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을 위해서 협주곡, 칸타타, 성곡 등을 작곡했다. 특히 직분이 직분이고 기관이 기관이니만치 60곡이 넘는 성곡을 작곡했다. 성곡 중에는 솔로 모테트와 대규모 합창곡이 주류를 이루었다. 비발디는 고아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작곡도 해야 했다. 아이들에게는 음악이론과 악기 연주법 등을 가르쳤다. 비발디는 1716년에 모든 음악활동을 관장하는 음악감독(maestro de' concerti)로 임명되었다.
산타 마리아 델라 피에타 교회. 오늘날 '비발디 교회'라고 부른다. 그러나 비발디의 사후에 완공되었다. 그 옆은 유명한 메트로폴 호텔이다.
비발디가 고아원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수석으로 활동한지 1년 후인 1705년에 그의 첫 작품집이 출판되었다. Connor Cassara 라는 제목이었다. 비발디의 Op 1 로서 두개의 바이올린과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12개의 소나타를 수록한 작품집이다. 그로부터 4년 후인 1709년에 두번째 작품집이 출판되었다. 역시 바이올린과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12개의 소나타이다. 비발디의 명성을 크게 떨치게 해준 것은 세번째로 발간된 작품집이었다. Op 3 이었다. L'estro armonico 라는 타이틀의 12개 콘체르티로 되어 있는 작품으로 바이올린 1개, 2개, 4개와 현악기를 위한 협주곡이다. Op 3은 1711년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되었다. Op 3 은 투스카니 대공자 페르디난드에게 헌정된 것이다. 페르디난드 공자는 알레산드로 스칼라티, 조지 프리데릭 헨델 등 여러 음악인들을 후워해 준 사람이었다. 페르디난드 공자는 그 자신이 음악가이기도 했다. 비발디는 페르디난드 공자를 베니스에서 만난 일이 있다고 한다. L'estro armonico는 출판되자 마자 유럽 전역에서 공전의 성공을 거두었다. 이어서 1714년에는 Op 4 인 La stravaganza가 출판되었다. 솔로 바이올린과 현악기를 위한 협주곡집이다. 비발디는 Op 4를 자기의 제자로서 베니스의 귀족인 베토르 돌핀(Vettor Dolfin)에게 헌정하였다. 이에 앞서 1711년에 비발디는 아버지와 함께 브레스키아를 여행한 일이 있다. 그는 이곳에서 그의 '성모애상'(Stabat Mater: RV 621)을 교회 축일의 일환으로 연주하였다. 그런데 아마 '성모애상'을 서둘러서 작곡한 느낌이다. 현악기 파트는 단순하며 첫 세 악장의 음악은 다음 세 악장에서 반복되고 있다. 너무 성의 없이 작곡한 것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모애상'은 비발디의 초기 작품 중에서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오페라 임프레사리오
18세기 초반에 베니스에서 오페라는 가장 인기있는 음악 이벤트였다. 비발디에게 있어서는 좋은 일이었다. 당시 베니스에는 여러 극장들이 있었다. 이들은 관중들을 관심을 끌기 위해서 서로 경쟁이었다. 비발디는 오페라를 작곡하면 대중들의 인기를 끌고 경제적으로도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했다. 첫 오페라는 Ottone in villa라는 것이었다. 1713년에 베니스가 아닌 비첸자에 있는 가르체리(Garzerie)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그 이듬해에 비발디는 베니스의 테아트로 산 안젤로의 임프레사리오가 되었다. 그의 오페라 Orlando finto pazzo가 그 극장에서 초연을 가졌다. 이 오페라는 대중들의 취향은 아니어서 두어주 후에 막을 내려야 했다. 1715년에는 Nerone fatto Cesare가 공연되었다. 이 오페라의 악보는 분실되어서 어떤 내용인지 알수 없다. 그런데 이 오페라는 7명의 작곡가가 협동하여 완성한 것이다. 물론 비발디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긴 했다. 11개의 아리아가 나오는 이 오페라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해 말에 비발디는 Arsilda, regina di Ponto를 어느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혼자의 힘으로 작곡했다. 그러나 베니스 당국의 검열로 공연을 허락받지 못했다. 주인공인 아르실다가 리세아라는 여인과 사랑에 빠졌는데 리세아는 실은 여장남자였다. 당국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으므로 공연을 허락할수 없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비발디는 이듬해에 허락을 받아서 무대에 올렸고 대대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비발디 는 1716년에 자혜병원을 위해 여러 전례음악들을 작곡했다. 그 중에서 두 개의 오라토리오가 특별히 중요하다. 하나는 Moyses Deus Pharaonis(모세와 바로)이다. 하지만 악보가 분실되어서 어떤 작품인지 알지 못한다. 또 하나는 Juditha triumphans(승전의 유딧)이다. 베니스 공화국이 터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코르푸 섬을 되찾은 것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한 오라토리오이다. '승전의 유딧'은 종교 음악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1716년에는 또한 두 편의 오페라를 더 작곡하고 제작했다. L'incoronazione di Dario(다리오의 대관)와 La costanza trionfante degli amori e degli odi 였다. La costanza...는 대단한 인기를 끌어서 2년 후에는 Artabano re dei Parto 라는 타이틀로 수정되어 공연되었다. Artabano.,...의 스코어는 분실되었다. 이후로 비발디는 여러 편의 오페라를 더 작곡했고 이것들을 이탈리아 전국에서 환영을 받으며 공연되었다. 비발디의 오페라 스타일은 이른바 진보적이었다. 그래서 보수적인 음악가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특히 베네데토 마르셀로(Benedetto Marcello)와 그러했다. 지방판사이면서 아마추어 음악가인 마르셀로는 비발디도 싫고 비발디의 오페라도 싫어서 비발디와 비발디의 오페라를 비난하는 팜플렛을 만들어서 배포하였다. Il teatro alla moda 라는 팜플렛은 비발디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면서 비난하지는 않았다. 표지 그림은 보트가 그려저 있고 한 쪽 구석에는 작은 천사가 사제의 모자를 쓰고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이 그려져 있다. 보트는 산탄젤로 극장을 말하며 사제의 모자를 쓴 작은 천사는 비발디를 의미한다. 마르셀로 가족들은 산탄젤로 극장이 자기들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이 때문에 지루하기 그지없는 법적 소송이 진행되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표지의 또 다른 한 쪽에는 ALDIVIVA 라는 단어가 써 있는데 이것은 A. VIVALDI의 철자를 바꾸어 놓은 것이다.
작곡가이며 시인인 베네데토 마르셀로. 비발디의 라이발이었다.
그러면 비발디는 오페라를 몇편이나 작곡했을까? 비발디는 1737년에 후원자인 벤티볼리오(Ventivoglio) 후작에게 보낸 편지를 보내어 '94편의 오페라'라는 표현을 한 것이 있다. 그러면 1737년 이후에도 오페라를 몇 편만이라도 작곡했을 것이므로 비발디가 작곡한 오페라는 줄잡아 94편은 분명하고 여기에 몇 편을 덧붙여서 100편은 작곡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줄곧 파악해서 발견한 오페라는 50여편에 이를 뿐이다. 나머지는 어디 있는지 알지 못한다. 94편의 오페라라는 것이 비발디가 제작하여 무대에 올린 오페라의 숫자라고 볼수도 있다. 하기야 비발디는 거의 25년이란 세월동안 오페라 임프리사리오로 활동했으므로 1년에 간단한 오페라 4편씩만 제작했다고 해도 말이 되는 얘기다. 아무튼 비발디는 생전에 수많은 오페라를 작곡한 것이 분명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레산드로 스칼라티, 요한 아돌프 하쎄, 레오나드로 레오, 발다사레 갈루피처럼 우뚝 서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그의 오페라가 주요 오페라 극장에서 예정기간보다 연장하여 오래 공연된 일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만투아와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1717년인지 또는 1718년인지 하여튼 비발디는 상당히 좋은 조건의 자리를 제안받았다. 만투아 총독인 필립 공자의 궁정에서 음악감독(Maestro di Cappella)으로 일해 달라는 것이었다. 비발디는 만투아로 가서 3년 동안 지냈다. 이 기간 중에 서너편의 오페라를 완성했다. Tito Manlio 도 그중의 하나였다. 1721년에는 밀라노에 있었다. 전원 드라마인 La Silvia를 내놓았다. 잠시 베니스에 갔다가 이듬해에 다시 밀라노를 찾았다. 오라토리오 L'adorazione delli tre re magi al bambino Gesu(동방박사 세 사람의 아기 예수 경배)도 가져갔다. 이듬해에는 로마로 가서 새로운 스타일의 오페라를 선보였다. 로마에서는 교황 베네딕트 13세가 비발디를 초청하여 연주회를 갖기도 했다. 비발디는 1725년에 베니스로 돌아갔다. 그리고 그 해에 네편의 오페라를 더 작곡했다. 비발디는 베니스에서 있으면서 '사계'(Le quattro stagioni)를 완성했다. 각 계절의 모습을 바이올린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사계'는 네 개의 별도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세 계절은 비발디의 오리지널 콘셉트에 의한 것이지만 '봄'은 그의 오페라 Giustino의 1막에 나오는 신포니아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것이다. 비발디가 '사계'에 대한 영감을 얻은 것은 만투아 주변의 시골 풍경으로부터 였다고 한다. '사계'는 당시로서 가히 혁명적인 아이디어였다. 왜냐하면 비발디는 음악으로 졸졸 흐르는 시냇물, 지저귀는 새들(여러 종류의 새들을 각각 특색있게 표현), 개 짖는 소리, 모기가 윙윙거리는 소리, 목동들이 외치는 소리, 폭풍 소리, 술취해서 춤추는 사람들의 모습, 조용한 밤의 풍경, 사냥하는 장면, 얼어 붙은 산하, 스케이트 타는 어린이들의 모습, 겨울밤의 따듯한 불길 등등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표제음악의 선구였다. '사계'는 1725년 암스테르담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12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구성된 Il cimento dell'armonia e dell'inventione(하모니와 창작의 경쟁)에서 첫번재 네 협주곡이 '사계'이다.
비발디는 만투아에 있는 중에 아주 발랄하고 젊고 예쁜 소프라노인 안나 지로()와 친하게 지내게 되었다. 안나 지로는 비발디의 제자였다. 비발디의 그의 오페라에 안나 지로를 프리마 돈나로서 등장시켰다. 비발디는 안나 지로의 후견인 격이었다. 비발디와 안나는 연주여행을 다닐 때마다 함께 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면 안나의 언니인 파올리나도 동행하였다. 비발디와 안나가 특별한 관계라는 소문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두 사람이 친구 이상의 관계였다는 증거는 하나도 없었다. 하기야 비발디는 가톨릭 사제로서 서품을 받은 사람이므로 사랑하는 여자가 있다느니 무어니 하면 난처한 입장이었다. 어느때 누가 비발디에게 안나 지로와 어떤 관계냐고 묻자 비발디는 '아무런 관계도 아니다. 관계가 있다면 선생과 제자의 관계이며 친구의 관계일 뿐이다'라고 확신적으로 대답했다.
말년의 비발디, 그리고 예상치 못한 죽음
비발디의 명성이 한창 높았을 때 그는 유럽의 여러 귀족들이나 왕족들로부터 작곡요청을 받았다. 세레나타(또는 칸타타) Gloria e Imeneo는 1725년에 베니스 주재 프랑스 대사가 루이 15세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의뢰한 것이다. 이듬 해에 또 다른 세레나타인 La Sena festeggiante는 프랑스 왕족인 앙리에트 공주와 루이 엘리자베스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되어 베니스의 프랑스 대사관에서 처음 연주되었다. 비발디의 Op 9 La cetra는 신성로마제국의 샤를르 6세에게 헌정한 작품이다. 비발디는 1728년에 트리에스테에서 샤를르 6세를 처음 만났다. 그때 샤를르 6세는 트리에스테 신항만의 건축 현황을 시찰하러 왔었다. 샤를르 6세는 비발디의 음악을 듣고 대단히 감동을 받았다. 샤를르 6세는 모든 공식 일정을 미루고 비발디와 오랜 시간동안 얘기를 나누었다. 사람들은 샤를르 황제가 2년 동안 그의 장관들과 대화를 나눈 것보다 더 많은 대화를 비발디와 나누었다고 말했다. 샤를르 황제는 비발디에게 기사의 작위를 주고 황금 메달도 주었다. 그리고 비엔나로 오라고 초청했다. 비발디는 샤를르에게 La cetra의 사본을 증정하였다. 그리하여 비발디는 1730년에 아버지와 함께 비엔나와 프라하를 방문하였다. 하지만 주로 비엔나와 프라하에서 오페라 '화르나체'(Farnace)의 공연을 돌보기 위해서였다. 비발디는 이탈리아 출신의 뛰어난 대본가들과 협동하여 몇 편의 오페라를 만들수 있었다. L'Olimpiade와 Catone in Utica는 당대 최고의 대본가인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가 쓴 대본으로 만들었다. 당시 메타스타시오는 비엔나 궁정 시인으로 아르카디아 주장을 펼치고 있었다. 또 하나는 La Griselda로서 젊은 대본가인 카를로 골도니(Carlo Goldoni)의 대본을 사용한 것이다. 비엔나를 일차 방문했던 비발디는 막강한 샤를르 6세의 얘기도 있고 해서 비엔나에 정착할 생각을 했다. 그래서 베니스의 생활을 정리하기 위해 다시 베니스로 돌아왔다.
비발디를 비엔나로 초청한 신성로마제국의 샤를르 6세 황제. 그의 뒤를 이은 군주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였다. 샤를르 6세로 인하여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Österreichischer Erbfolgekrieg: 1740–48)이 일어났다.
RV | 제목 | 대본 | 초연일 | 초연 장소 | 기타 |
---|---|---|---|---|---|
729 | Ottone in villa | Domenico Lalli | May 1713 | Vicenza, Teatro di Piazza | |
727 | Orlando finto pazzo | Grazio Braccioli | November 1714 | Venice, Teatro Sant'Angelo | |
819 | Orlando furioso | 1714 | Venice, Teatro San Angelo | part survives in manuscript, parts later reworked in RV 728 q.v. | |
724 | Nerone fatto Cesare | Matteo Noris | Carnival 1715 | Venice, Teatro Sant’Angelo | pasticcio (Francesco Gasparini, Giuseppe Maria Orlandini, Carlo Francesco Pollarolo, Vivaldi) |
706 | La costanza trionfante degl'amori e de gl'odii | Antonio Marchi | Carnival 1716 | Venice, Teatro San Moisè | reworked as Artabano, re dei Parti (RV 701) in 1718, then as Doriclea (RV 708) in 1732 |
700 | Arsilda, regina di Ponto | Domenico Lalli | 27 or 28 October 1716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19 | L'incoronazione di Dario | Adriano Morselli | 23 January 1717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37 | Tieteberga | Antonio Maria Lucchini | 16 October 1717 | Venice, Teatro San Moisè | |
Anh 58 | Il vinto trionfante del vincitore | Antonio Marchi | Autumn 1717 | Venice, Teatro Sant’Angelo | pasticcio, possibly with some music by Vivaldi |
701 | Artabano, re dei Parti | Antonio Marchi | Carnival 1718 | Venice, Teatro San Moisè | reworking of La costanza trionfante (RV 706) |
699 | Armida al campo d'Egitto | Giovanni Palazzi | Carnival 1718 | Venice, Teatro San Moisè. Further performances in Venice on 26 December 1730 and 12 February 1738.[1] | reworked as Gl’inganni per vendetta (RV 720) in 1720 |
732 | Scanderbeg | Antonio Salvi | 22 June 1718 | Florence, Teatro della Pergola | |
736 | Teuzzone | Apostolo Zeno | 28 December 1718 | Mantua, Teatro Arciducale | |
738 | Tito Manlio | Matteo Noris | Carnival 1719 | Mantua, Teatro Arciducale | |
778 | Tito Manlio | Matteo Noris | Carnival 1720 | Rome, Teatro della Pace | pasticcio. Act III only by Vivaldi. |
704 | La Candace, o siano Li veri amici | Francesco Silvani and Domenico Lalli | Carnival 1720 | Mantua, Teatro Arciducale | |
720 | Gl’inganni per vendetta | Giovanni Palazzi or Domenico Lalli | 1720 | Vicenza, Teatro delle Grazie[2][3] | reworking of Armida al campo d’Egitto (RV 699) |
739 | La verità in cimento | Giovanni Palazzi | 26 October (?) 1720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15 | Filippo re di Macedonia | Domenico Lalli | 27 December 1720 | Venice, Teatro Sant’Angelo | pasticcio |
734 | La Silvia | Enrico Bissari | 28 August 1721 | Milan, Reggio Ducale | |
710 | Ercole su'l Termodonte | Giacomo Francesco Bussani | January 1723 | Rome, Teatro Capranica | |
717 | Giustino | Nicolò Beregan / Pietro Pariati | Carnival 1724 | Rome, Teatro Capranica | |
740 | La virtù trionfante dell’amore, e dell’odio, overo Il Tigrane | Francesco Silvani | Carnival 1724 | Rome, Teatro Capranica | pasticcio (only Act II by Vivaldi) |
721 | L’inganno trionfante in amore | Matteo Noris | Autumn 1725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07 | Cunegonda | Agostino Piovene | 29 January 1726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12 | La fede tradita e vendicata | Francesco Silvani | 16 February 1726 | Venice, Teatro Sant'Angelo | |
Anh 55 | La tirannia castigata | Francesco Silvani | Carnival 1726 | Prague, Sporck Theater | |
709 | Dorilla in Tempe | Antonio Maria Lucchini | 9 November 1726 | Venice, Teatro Sant’Angelo | pasticcio |
722 | Ipermestra | Antonio Salvi | 25 January 1727 | Florence, Teatro della Pergola | |
711 | Farnace | Antonio Maria Lucchini | 10 February 1727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35 | Siroe, re di Persia | Metastasio | Ascension 1727 | Reggio Emilia, Teatro Pubblico | |
728 | Orlando furioso | Grazio Braccioli | Autumn 1727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30 | Rosilena ed Oronta | Giovanni Palazzi | Carnival 1728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02 | Atenaide | Apostolo Zeno | 29 December 1728 | Florence, Teatro della Pergola | |
697 | Argippo | Domenico Lalli | Autumn 1730 | Prague, Sporck Theater | seven arias were rediscovered in Regensburg by ondrej Macek |
696 | Alvilda regina de' Goti | Giulio Cesare Corradi | Spring 1731 | Prague, Sporck Theater | only some arias by Vivaldi, probably from other operas. Transferred to the Anhang as RV Anh. 88 |
733 | Semiramide | Francesco Silvani and Domenico Lalli | Carnival 1731 | Mantua, Teatro Arciducale | |
714 | La fida ninfa | Francesco Scipione | Carnival 1732 | Verona, Teatro Filarmonico | |
708 | Doriclea | Antonio Marchi | 1732 | Prague, Sporck Theater | reworking of La costanza trionfante (RV 706) |
723 | Motezuma | Girolamo Alvise Giusti | 14 November 1733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25 | L'Olimpiade | Metastasio | 17 February 1734 | Venice, Teatro Sant'Angelo | |
695 | L’Adelaide | Antonio Salvi | Carnival 1735 | Verona, Teatro Filarmonico | |
703 | Il Tamerlano (Il Bajazet) | Agostino Piovene | Carnival 1735 | Verona, Teatro Filarmonico | pasticcio |
718 | Griselda | Apostolo Zeno / Carlo Goldoni | 18 May 1735 | Venice, Teatro San Samuele | |
698 | Aristide | Carlo Goldoni | Autumn 1735 | Venice, Teatro San Samuele | Transferred to the Anhang as RV Anh. 89 |
716 | Ginevra principessa di Scozia | Antonio Salvi | 17 January 1736 | Florence, Teatro della Pergola | |
705 | Catone in Utica | Metastasio | 26 May 1737 | Verona, Teatro Filarmonico | |
726 | L'oracolo in Messenia | Apostolo Zeno | 30 December 1737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77 | Il giorno felice | ? | 1737 | Venice | Transferred to the Anhang as RV Anh. 92 |
731 | Rosmira (Rosmira fedele) | Silvio Stampiglia | 27 January 1738 | Venice, Teatro Sant'Angelo | |
713 | Feraspe | Francesco Silvani | 1739 | Venice, Teatro Sant'Angelo |
[비발디의 스승 코렐리]
아르칸젤로 코렐리(Arcangelo Corelli: 1653-1713)는 비발디의 스승이었다. 비발디의 유명한 Concerto Grosso는 원래 코렐리의 아이디어에 의한 것이었다. 코렐리의 성공적인 모델은 비발디뿐만 아니라 바흐와 헨델에게까지 영향을 끼쳐 이들이 콘체르토 그로쏘의 걸작들을 만들어 내게 하였다. 코렐리가 오페라를 작곡하지 않은 것은 유감이지만 그의 콘체르토 그로쏘 스타일은 훗날 여러 오페라의 오케스트레이션에 반영되었다. 코렐리는 ‘근대 바이올린 기법의 아버지’ ‘세계 최초의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 ‘콘체르토 그로쏘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받았다.
'세계의 오페라 작곡가 > 이탈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0) | 2008.03.11 |
---|---|
도메니코 스칼라티 (0) | 2008.03.11 |
토마소 알비노니(Tomaso Albinoni) (0) | 2008.03.11 |
알레산드로 스칼라티 (0) | 2008.03.11 |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0) | 2008.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