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ng Christmas Dinner(긴 크리스마스 딘너)
Paul Hindemith (파울 힌데미트)
루치아. 길드홀
타이틀: The Long Christmans Dinner (Das Lange Weihnachtsmahl). 작가 손튼 와일더(Thornton Wilder)의 동명희곡을 바탕으로 작곡자 자신이 손튼 와일더의 협조로 대본을 썼다. 단막의 비극적 오페라. 원래는 영어 대본으로 되어 있으나 힌데미트가 독일어로 번역했다.
초연: 1961년 12월 17일 만하임 국립극장
주요배역: 마더 바야드(CA), 루치아(S), 로데릭(Bar), 사촌 브랜든(B), 챨스(루치아와 로데릭의 아들: T), 즈느비에브(챨스의 여동생: Ms), 레오노라 (챨스의 부인: S), 샘(챨스와 레오노라의 아들: Bar), 루치아2(챨스와 레오노라의 딸: S), 로데릭(챨스와 레오노라의 아들: T)
사전지식: 90년 동안 대를 이어 이어져 온 바야드(Bayard)가의 전설적인 크리스마스 만찬에 대한 이야기이다. 한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 내려가는 동안,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을 맞이하고 또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 성장하며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발전된 모습도 보여주는 등 역사 속의 인간이 아닌 실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오페라는 대단히 함축된 내용과 대사로 구성되어 있지만 따듯한 유머가 있으며 출연자 각자의 성격적 특성을 잘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에피소드: 미국에 메노티의 ‘아말과 밤에 찾아온 손님’이 있다면 독일에는 힌데미트의 ‘긴 크리스마스 만찬’이 있다고 말할 정도로 이 오페라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장식하는 공연이다.
찰스와 레오노라
줄거리: 노부인인 어머니 바야드(Bayard)는 딸 루치아(Lucia)와 사위 로데릭(Roderick), 그리고 사촌인 브랜든(Brandon)과 함께 새로 이사간 집에서 크리스마스를 즐기고 있다. 바야드 부인은 동부에서 겨우 교회 하나가 서 있었던 이곳 황량한 서부까지 어떻게 이사 오게 되었는지를 회상한다. 이들은 브랜든이 바야드 가문과 손을 잡고 새로운 벤처기업을 시작한데 대하여 축배를 든다. 해가 지나가고 크리스마스 딘너도 계속된다. 바야드 부인이 세상을 떠난다. 루치아와 로데릭의 딸인 즈느비에브(Genevieve)과 아들 챨스(Charles)도 이제 어른이 된다. 로데릭이 세상을 떠난다. 챨스는 레오노라(Leonora)와 결혼한다. 젊은 부부인 챨스와 레오노라는 아이를 낳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 챨스의 어머니인 루치아가 세상을 떠난다. 그래도 크리스마스 딘너는 계속된다.
롱 크리스마스 딘너. 길드홀
이제 챨스와 레오노라는 세 아이를 둔 부모가 된다. 샘과 루치아2와 로데릭2이다. 얼마후에는 사촌인 어멘가드(Ermengarde)가 이 집에서 살기 위해 온다. 크리스마스 딘너는 해가 거듭되어도 계속된다. 챨스와 레오노라의 아이들은 이제 장성하여 성인이 된다. 어느날 로데릭2가 무도회에서 술에 취해 사람들로부터 빈축을 산다. 아버지 챨스는 화가 나서 로데릭을 크게 나무란다. 로데릭2는 바야드 가문과 브랜든이 설립한 회사에서 일하지 않겠다고 말한다. 그 후로 또 여러 번의 크리스마스 딘너가 지나간다. 어느덧 노년에 접어든 레오노라는 아이들과 함께 지내기로 작정한다. 아들인 샘과 로데릭2가 새로 집을 지었다. 레오노라는 그 옛날 바야도 부인이 동부에서 서부의 새로운 집으로 옮겨 간 것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집으로 옮긴다. 곧 크리스마스 딘너가 있을 것이다. 옛집에는 사촌인 어멘가드가 혼자 남는다.
기울어진 테이블이 인상적인 길드홀 무대
'유명 오페라 집중 소개 > 추가로 읽는 366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7. 다니엘 오버의 '석수장이' (0) | 2008.09.16 |
---|---|
56. 안톤 루빈슈타인의 '마카비 부족' (0) | 2008.09.16 |
54. 비발디의 '올림피아드' (0) | 2008.09.15 |
53. 슈토크하우젠의 '빛: 한주간의 7일' (0) | 2008.09.14 |
52. 스메타나의 '리뷰세' (0) | 2008.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