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on Wellesz(에곤 벨레츠)
독일 후기낭만주의 대표
에곤 요제프 벨레츠
에곤 요제프 벨레츠(1885-1974)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영국의 작곡가이다. 작곡가이면서 음악교사이며 음악학 학자이다. 아놀트 쇤베르크의 제자로서 비잔틴음악의 전문가이다. 벨레츠는 아놀트 쇤베르크의 첫 제자라고 할수 있다. 쇤베르크의 또 다른 첫 제자로는 귀도 아들러(Guido Adler)가 있다. 아들러는 비엔나에서 음악학 연구소를 처음 설립한 사람이다. 벨레츠와 아들러는 쇤베르크의 음악생애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사람들이다. 그런데 벨레츠는 1913년부터 비잔틴음악게 깊은 관심을 갖고 평생을 이 분야에서 활동했다. 벨레츠는 나치독일이 오스트리아를 공식적으로 합병하기 직전에 영국으로 갈수 있었다. 그리하여 나치의 퇴폐음악 단속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를 빠져나와 영국으로 갈수 있었던 것은 마침 그때 암스텔담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암스텔담에서는 벨레츠의 관현악 작품인 Prosperos Beschwörungen가 브르노 발터의 지휘로 초연되는 연주회가 있었다. 영국으로 건너간 벨레츠는 적국의 인물이라는 이유로 맨섬(Isle of Man)의 허친슨 수용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그러다가 1943년에 더 타임스의 음악평론가로서 벨레츠와 오랜 교분을 갖고 있는 H.C. Colles가 힘을 써서 석방될수 있었다. 벨레츠는 맨섬에서의 피난기간동안 9편의 교향곡, 거의 10편에 이르는 현악4중주곡 등을 작곡했다. 그후에는 영국으로 건너와서 작곡활동을 했다.
벨레츠는 오페라도 여러편 작곡하였다. 그 중에서 Dei Bakchantinnen은 최근 음반으로 녹음되기도 했다. 형식에 있어서 그의 초기 작품은 에른스트 크레네크의 스타일을 어느 정도 닮았다. 상당히 거칠지만 음조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초기 교향곡에 있어서는 브루크너 스타일을 닮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그러다가 네 번째 교향곡(Austriaca)으로부터는 범음조/비음조, 병렬주의의 성격을 띠기 시작했다. 벨레츠는 특별히 비잔틴음악의 연구를 통한 학문적 기여로 인정받고 있다.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은 것도 비잔틴음악에 대한 연구 때문이었다. 전체적으로 벨레츠의 작품은 작품번호가 붙은 것이 112편이며 붙지 않은 것이 20편 정도가 된다.
아서 오네거(왼쪽), 에곤 벨레츠(가운데), 에른스트 안세르메(오른쪽)과 함께
벨레츠의 무대작품은 다음과 같다.
○ Das Wunder der Diana(다이아나의 놀라움). Op 18. 1914-17. 발레
○ Die Prinzessin Gimara(기마라 공주). Op 27. 야콥 바써만 대본
○ Persisches Balett(페르시아 발레). Op 30. 발레
○ Achilles auf Skyros(스키로스의 아킬레스). Op 33. 휴고 폰 호프만슈탈 대본에 의한 발레
○ Alkestis(알케스티스).Op 35. 유리피데스 원작, 휴고 폰 호프만슈탈 대본
○ Die Nachtliichen: Tanzsinfornien(어두운 밤과 같은 댄스 심포니). Op 37. 막스 테르피스 대본의 발레
○ Die Opferung des Gefangenen(죄수의 희생). Op 40. 에두아르트 슈투켄 원작의 스테이지 드라마
○ Scherz, List und Rache(농감, 교활, 복수). Op 41. 괴테 원작
○ Die Bakchantinnen(바칸티넨). Op 44. 유리피데스 원작을 벨레츠가 대본으로 작성. 오페라
○ Incognita(인코그니타). Op 69. 엘리자베스 맥켄지 대본
'비엔나와 음악 > 오스트리아 작곡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nst Krenek(에른스트 크레네크) (0) | 2009.05.28 |
---|---|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Erich Wolfgang Korngold) (0) | 2009.05.28 |
Edmund Samuel Eysler(에드문트 사무엘 아이슬러) (0) | 2009.05.28 |
Carl Czerny(칼 체르니) (0) | 2009.05.28 |
August Wilhelm Ambros(아우구스트 빌헬름 암브로스) (0) | 2009.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