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체코 오페라들
마르티누의 '결혼'. 무대 위에 앙상블이 자리 잡고 있다.
○ 결혼(Zhenitba: The Marriage).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53.
○ 고집센 연인들(Tvrde palice: The Stubborn Lovers). 안토닌 드보르작. 1881. 단막 코믹 오페라
○ 교활한 농부(Selma sedlack: The Cunning Peasant). 안토닌 드보르작. 1878.
○ 교활한 작은 암여우(Prihody lisky Bystrousky: The Cunning Little Vixen: Adventures of Vixen Sharp-Ears). 레오스 야나체크. 1924.
○ 그리스 고난(Recke pasje: Greek Passion).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61.
○ 다리 위에서의 코미디(Veselohra na mostě: Comedy on the Bridge).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37. 전쟁을 소재로 한 코미디
○ 달리보르(Dalibor). 베드릭스 스메타나. 1868.
○ 두 과부(Dve vdovy: The Two Widows). 베드릭스 스메타나. 1874. 2막
○ 디미트리(Dimitrij). 안토닌 드보르작. 1882. 보리스 고두노프 이후의 러시아 사태
○ 로맨스의 시작(Pocatek Romanu: The Beginning of a Romance). 레오스 야나체크. 1894.
○ 루살카(Rusalka). 안토닌 드보르작. 1901.
드보르작의 '루살카'
○ 리뷰세(Libuse). 베드릭스 스메타나. 1881. 페스티발 오페라
○ 마크로풀로스 사건(Vec Makropulos: The Makropulos Affair). 레오스 야나체크. 1926
○ 메시나의 신부(Nevesta messinska: The Bride of Missina). 츠데네크 휘비치. 1884
○ 미란돌리나(Mirandolina).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59.
○ 반다(Vanda). 안토닌 드보르작. 1876. 독일 침략으로부터 백성들을 구하기 위해 비스툴라 강에 뛰어든 폴란 왕비 반다의 이야기
○ 백파이프 부는 스반다(Svanda dudak: Svanda the Bagpiper). 야로미르 봐인버거. 1926.
○ 보헤미아의 브란덴부르크 사람들(Braniboři v Čechách: Brandenburgers in Bohemia). 베드릭스 스메타나. 1866.1278년 전투에서 승리한 브란덴부르크 장군이 보헤미아를 점령하고 나서 가혹한 통치를 하자 이에 대한 반란을 일으켜 브란덴부르크 사람들을 축출한다는 이야기.
○ 브룬디바르(Brundibar). 한스 크라사. 1942. 어린이 오페라. 브룬디바르는 테레지엔슈타트 강제수용소 어린이들이 붙인 뒤웅벌의 이름.
○ 브루체크씨의 산책(Vylety pane Brouckovy: The Excursions of Mr Broucek). 레오스 야나체크. 1920
○ 블라스타의 죽음(Vlasta skon: The Death of Vlasta). 오타카르 오스트르칠. 1903
○ 비밀(Tajemstvi: The Secret). 베드릭스 스메타나. 1878. 3막
○ 비올라(Viola) 베드릭스 스메타나. 1900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Cim clovek zije: What Men Live By).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59
○ 사르카(Sarka). 레오스 야나체크. 1925. 3막. 보헤미아의 전설적인 영웅 사르카의 생애
○ 사르카(Sarka). 츠데네크 휘비치. 1897
○ 살라탄(Sarlatan: The Charlatan). 파벨 하스. 1929. 30년 전쟁 후의 이야기
○ 성요한의 여울(Svatojanske proudy: St John's Rapids). 요제프 로즈코스니. 1871
○ 아르미다(Armida). 안토닌 드보르작. 1904
○ 아리아네(Ariane).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61. 프랑스어 대본
○ 악마의 벽(Certova stena: The Devil's Wall). 베드릭스 스메타나. 1882.
○ 악마와 케이트(Cert a Kaca: The Devil and Kate). 안토닌 드보르작. 1899.
○ 알렉산드르 비스(Alexandre bis: Dvakrát Alexandr: Alexander Twice: 부제 The Tragedy of a Man who Had His Beard Cut).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37. 초현실주의 코믹오페라.
○ 알프레드(Alfred). 안토닌 드보르작. 1936. 올로부츠 초연. 드보르작 유일의 독일어 대본. 영국의 알프레드 대왕 이야기. 드보르작 사후 공연
○ 야코빈(Jacobin: The Jacobin). 안토닌 드보르작. 1859
○ 어머니(Matka: Mother). 알로이스 하바. 1920.
○ 예누파(Jenufa). 레오스 야나체크. 1904.
야나체크의 '예누파'
○ 왕과 숯장이(Kral a ullir: King and Charcoal Burner). 안토닌 드보르작. 1874. 3막 코미디
○ 율리에타(Julietta). 보후슬라브 마르티누. 1938
○ 오수드(Osud: Destiny). 레오스 야나체크. 1925.
○ 자보이(Zaboj). 요제프 레오폴드 츠보나르. 1859. 미공개. 영웅 자보이의 이야기
○ 주자나 보이로바(Zuzana Vojirova). 이리 파베르. 1979. 레코딩 취입.
○ 죽은 작의 집에서(Z mrtveho domu: From the House of the Dead). 레오스 야나체크. 1930. 3막
○ 카롤린 아줌마의 유언(Testament Tety Karoliny: Aunt Caroline's Will: Le testament de la tante Caroline). 알베르 루셀. 1936
○ 카타 카바노바(Kata Kabanova). 레오스 야나체크. 1921. 카밀라 스퇴슬라바로프에 대한 사랑 이야기
○ 칼스테인성(Karlstejn). 비테츠 이아브 노바크. 1916
○ 키스(Hubicka: The Kiss). 베드릭스 스메타나. 2막
○ 팔린 신부(Prodana nevesta: The Bartered Bride: Sold Fiancee). 베드릭스 스메타나. 1866.
○ 화염(Flammen: Flames). 에르빈 슐호프. 1932
'오페라 오백년의 발자취 > 동유럽의 오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하를 사랑한 작곡가들 (0) | 2014.04.06 |
---|---|
헝가리 그랜드 오페라의 아버지 페렌츠 에르켈 (0) | 2014.04.04 |
헝가리의 오페라 (0) | 2014.04.04 |
폴란드 오페라학파와 전후의 오페라 (0) | 2014.03.10 |
폴란드 국민오페라 (0) | 201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