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와 음악/비엔나 오페라극장

펠너와 헬머(Fellner & Hellmer)

정준극 2015. 9. 22. 22:03

펠너와 헬머(Fellner & Hellmer)

비엔나를 비롯한 유럽 대부분 도시의 공연장 설계건설

 

 

페르디난트 펠너와 헤르만 헬머

 

오페라 극장이 되었든, 연극 극장이 되었든, 또는 일반적인 콘서트 연주회장이 되었든 유럽, 특히 비엔나의 공연장들을 얘기할 때에는 펠너와 헬머의 두 사람을 언급하지 않을수 없다. 페르디난트 펠너(Ferdinand Fellner: 1847-1916)와 헤르만 헬머(Hermann Hellmer: 1849-1919)는 모두 뛰어난 건축가였다. 서로 독립적으로 활동하다가 어느 때에 의견의 일치를 보아 공동 건축회사를 설립했다. '펠너 운트 헬머 스투디오'(Fellner & Hellmer Studio)라는 건축회사였다. 두 사람은 연배도 비슷했다. 펠너와 헬머보다 고작 한 살 많았다. 그리고 거의 같은 시기에 두 사람 모두 세상을 떠났다. 펠너가 1916년에 세상을 떠났고 헬머가 1919년에 세상을 떠났다. 1916년이면 1차 대전이 한창이던 때로서 비엔나에서는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가 68년 동안의 오스트리아 제국에 대한 통치를 마감하고 세상을 떠난 바로 그 해이기도 하다. 헬머가 세상을 떠난 1919년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 삼일 독립운동이 일어났던 해이다. 두 사람이 의기투합하여 '펠너 운트 헬머 스투디오'를 차린 것은 1873년이었다. 이 회사는 두 사람이 주동이 되어 유럽 전역에 있는 거의 2백개의 건물들을 설계했다. 주로 극장이었고 아파트도 있었다. 대부분의 건물들은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에 있는 것들이었다. 그러나 스위스로부터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에 이르기까지 이들이 설계한 건물들을 발견할수 있다. 그만큼 활동 영역이 넓었다. 두 사람이 설계한 건물들의 특성 중의 하나는 위대한 화가, 조각가 들의 작품들을 건물에 적용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 한스 마카르트(Hans Makart), 테오도르 프리들(Theodor Friedl) 등의 작품을 극장이나 연주회장의 건물에 포함하였다.

 

비너 폭스테아터

 

페르디난드 펠너는 비엔나에서 태어나서 비엔나공과대학교(TUW)를 졸압하였다. 그의 아버지도 건축가였다. 공과대학교를 졸업하고 난후 아버지의 건축회사를 인계받아 설계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헤르만 헬머는 독일의 하르부르크 안 데어 엘베(Harburg an der Elbe)라는 곳에서 태어났으며 비엔나에 와서 활동하다가 비엔나에서 세상을 떠났다. 헤르만 헬머는 비엔나의 슈타트테아터(Stadttheater)를 오페레타극장으로 변경하는 설계를 했다. 원래  연극극장으로서의 슈타트테아터는 1872년에 페르디난트 펠너 아버지와 아들이 합동으로 설계하여 완공한 건물이다. 그러다가 1884년에 화재가 나서 소실되었다. 그후 상당기간 동안 그 자리에는 새로운 건물을 짓지 않고 그대로 보내다가 1914년에 부다페스트 출신의 유태인 극장건축가인 오스카르 카우프만이 장소를 옮겨서 새로운 극장을 완공했다. 새로운 극장의 명칭은 그대로 비너 슈타트테아터(비엔나 시립극장)라고 불렀다. 비너 슈타트테아터는 라우돈가쎄, 스코다가쎄, 다운가쎄의 교차지점에 자리를 잡았다. 이 극장을 1918년에 헤르만 헬머가 오페레타 극장으로 개조하였다. 2차 대전이 끝난 후에는 미군이 이 극장을 렉스극장(Rex Theater)라는 이름으로 주로 미군들을 위한 공연장으로 사용했다. 그러다가 1949년에 비엔나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재개관 기념으로는 로베르토 슈톨츠의 '프라터의 봄'(Fruhling im Prater)가 공연되었다. 모두들 감격의 눈물을 흘리면서 이 오페레타에 나오는 노래인 '프라트의 나무들에 다시 꽃이 피고'(Im Prater Bluh'n Wieder die Baume)를 소리 높이 불렀다. 비너 슈타트테아터는 1960년부터 시작된 비엔나 극장 대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철거될수 밖에 없었다. 이때에 비너 뷔르거테아터(Wiener Burgertheater)와 스칼라() 극장(구 요한 슈트라우스 극장)도 철거되었다. 그 자리에는 게오르그 리퍼트(Georg Lippert)가 설계한 상업건물이 들어섰다. 하우스 데스 부헤스(Haus des Buches)이다.

 

지금은 모습을 볼수 없는 비너 슈타트테아터. 라우돈가쎄-스코다가쎄-다운가쎄의 교차지점에 있었다. 현재는 하우스 데스 부헤스(Haus des Buches)가 들어서 있다.

하누스 데스 부헤스

 

한편, 페르디난트 펠너는 공동회사를 발족시키기 직전에 단독의 설계사업을 수행했다. 루마니아 티미소아라(Timisorara)의 국립극장이다. 이후에는 헬머와 함께 설계사업을 수행하였다. 비엔나에서 두 사람이 공동으로 설계한 극장으로서는 로나허(Ronacher)와 폭스테아터(Volkstheater), 그리고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테아터 안 데어 빈(Theater an der Wien), 연주회장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체르트하우스(Konzerthaus), 연극도 하고 음악회도 갖는 아카데미테아터(Akademietheater) 등을 꼽을수 있다. 그리고 비엔나 근교 바덴의 슈타트테아터(Stadttheater)도 두 사람이 공동으로 설계했다.  

 

비너 콘체르트하우스에서의 연주회

 

펠너와 헬머가 공동을고 설계한 극장들은 다음과 같다.

 

-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네프친하즈(Nepszinhaz). 1875년 완성, 1965년 철거

- 체코 공화국 브르노(Brno)의 마헨극장(Mahen). 유럽에서 처음으로 전기조명을 설치한 극장. 1882년 완성.

- 체코 공화국 리베레츠(Liberec)의 슈타트테아터. 1883년 완성.

- 헝가리 체게드(Szeged) 국립극장. 1883년 완성

- 크로아티아 리예카(Rijeka)의 크로아티아 국립극장. 1885년 완성

- 체코 공화국 칼로비 바리(Larlovy Vary)의 극장. 1886년 완성

- 우크라이나 오데사의 오페라극장. 1887년

 

오데사 오페라하우스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의 슬로박국립극장(처음 개관할 때에는 왕립자유도시극장(Königliches Freistädtisches Theater)이라는 명칭이었다. 1886년

- 체코 공화국 프라하의 프라하국립극장(Narodni Divadlo). 개관할 때에는 신독일극장(Neues Deutsches Theater). 1887년

- 비엔나의 로나허(Ronahcer). 화재이후 설계변경. 1888년. 자일러슈테테(Seilerstätte) 9.

 

자일러슈테테의 로나허극장. 뮤지컬 또는 버라이어티쇼를 공연한다.

 

- 비엔나의 폭스테아터(Volkstheater). 처음 명칭은 독일국민극장(Neues Deutsches Theater). 1889년. 7구 노이슈티프트가쎄(Neustiftgasse) 1

- 스위스 취리히의 오페라하우스. 1891년

- 독일 베를린의 코미셰 오퍼(Komische Oper). 1892년

- 잘츠부르크의 란데스테아터(Landestheateer). 1893년

- 독일 뷔스바덴의 헤쎈국립극장(Hessisches Staatstheater Wiesbaden). 1894년

 

뷔스바덴의 헤센국립극장. 극장 앞 광장의 기념상은 쉴러.

 

- 스위스 취리히의 톤할레(Tonhalle) 연주회장. 1895년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Zagreb)의 크로아티아국립극장. 1895년

- 루마니아 이아시의 이아시국립극장(Iasi National Theater). 1896년

-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비그친하즈(Vigszinhaz: Comedy Theater). 1896년

- 헝가리 케츠케메트(Kecskemet)의 카노타 요체프(Kanota Jozsef)극장. 1896년

- 독일 라벤스부르크(Ravensburg)의 콘체르트하우스. 1897년

- 그라츠의 오페른하우스(Opernhaus). 1899년

 

그라츠 오페라하우스

 

- 오스트리아 베른도르프(Berndorf)의 시립극장(Stadttheater). 1899년

- 루마니아 오라데아(Oradea)의 국립극장. 1900년

- 독일 함부르크의 독일연극극장(Deutsches Schauspielhaus). 1900년

- 독일 휘르트(Fürth)의 시립극장(Stadttheater). 1902년

- 비엔나 빈강변극장(Theater an der Wien). 1902년 완성하였으며 1960-61년 설계변경 개축

 

빈강변극장(테아터 안 데어 빈)

 

- 폴란드 토룬(Torun)의 빌람 호르치카 극장(Wilam Horzyca). 1904년

- 우크라이나 체르니브치(Chernivitsi)의 오페라극장. 1905년

- 불가리아 소피아의 이반 바초브(Ivan Vazov)국립극장. 1906년

- 루마니아 클루이 나포카(Cluj-Napoka)의 국립극장. 1906년

 

루마니아 클루이 나포카 국립극장


- 체코 공화국 야블로네츠 나드 니수(Jablonec nad Nisou)의 극장. 1907년

- 독일 기쎈(Giessen)의 시립극장. 1907년

- 체코 공화국 믈라다 볼레슬라브(Mlada Boleslav)의 극장. 1909년

- 바덴 바이 빈(Baden bei Wien)의 시립극장. 1909년

- 클라겐푸르트(Klagenfurt)의 시립극장. 1910년. 1998년에 확장공사

 

클라겐푸르트 시립극장. 유빌라움스 테아터(Jubilaums Theater)라고 적혀 있다.

 

- 오스트리아 슐레지엔(현재는 폴란드의 시친(Cieszyn))의 시립극장. 1910년

- 비엔나의 콘체르트하우스(Wiener Konzerthaus). 1913년. 로트링거슈트라쎄(Lothringerstrasse) 20번지

- 비엔나의 아카데미극장(Akademie Theater). 1913년. 리스트슈트라쎄(Lisztstrasse)와 로트링거슈트라쎄(Lothringerstrasse) 교차지점. 리스트슈트라쎄 1번지

 

비엔나 콘체르트 하우스(왼편)과 아카데미극장(최근 레노베이션 했다.)

현재의 비너 콘체르트 하우스

현재의 아카데미 테아터

 

 

 

 

ä  ö  ü  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