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스몬도(Sigismondo)
조아키노 로시니의 2막 오페라
'시지스몬도'의 음악을 '세빌리아의 이발사', '영국여왕 엘라시베타', '아디나'에 사용
조아키노 로시니
'시지스몬도'는 조아키노 로시니(Gioachino Rossini: 1792-1868)의 2막 오페라이다. 1814년 12월 26일에 베니스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대본은 베니스 출신인 주세페 마리아 포파(Giuseppe Maria Foppe: 1760-1845)가 썼다. 주세페 마리아 포파는 로시니를 위해서 오페라 네편의 대본을 제공했다. '행운의 속임수'(l'inganno felice), '비단 사다리'(La scala di seta), '시뇨르 브루스키노'(Il signor Bruschino), 그리고 '시지스몬도'이다. 주세페 마리아 포파는 니콜라 안토니오 칭가렐리(Nicola Antonio Zingarelli), 파스쿠알레 안포시(Pasquale Anfossi), 시모네 마이르(Simone Mayr), 마르코스 안토니오 포르투갈(Marcos Antonio Portugal), 주세페 화리넬리(Giuseppe Farinelli), 프란체스코 가르디(Francesco Gardi) 등에게도 오페라 대본을 제공했다. 베니스 라 페니체에서의 초연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로시니는 나중에 '시지스몬도'에 사용한 음악 중에서 일부를 '영국여왕 엘리사베타'(Elisabetta, regina d'Inghilterra), '세빌리아의 이발사', '아디나'(Adina) 등에 재사용했다. '시지스몬도'는 베니스에서의 초연으로부터 5년 후에 이탈리아의 크레모나, 레지오 에밀리아, 파두아, 세니갈리아 등지에서 리바이발되었고 1820년에는 피렌체(플로렌스)와 시에나에서, 1827년에는 볼로냐에서 리바이발 되었다. 가장 최근의 리바이발은 아마도 1992년 로비고(Rovigo)에서일 것이다. 그후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로시니 페스티발을 통해서 재음미되고 있다.
시지스몬도에게 버림받은 불쌍한 알디미라
주요 등장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시지스몬도(Cont) 폴란드 왕
- 라디슬라오(Ladislao: T). 폴란드의 총리대신
- 아나질다(Anagilda: S). 라디슬라오의 여동생
- 라도스키(Radoski: T). 라디슬라오의 친구
- 울데리코(Ulderico: B). 보헤미아의 왕, 시지스몬도의 왕비였던 알디미라의 아버지
- 알디미라(Aldimira: S). 보헤미아의 공주. 시지스몬도의 부인
- 초노비토(Zonovito: B). 폴란드의 귀족
억울한 누명을 쓰고 사형선고를 받는 알디미라와 기사
시대는 16세기이며 장소는 폴란드이다. 막이 오르기 전의 배경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폴란드 왕인 시지스몬도(지기스몬트)는 보헤미아 및 헝가리 왕인 울데리코의 아름답고 정숙한 딸인 알디미라(Aldimira)와 결혼한다. 그런데 시지스몬도의 총리대신인 라디슬라오가 알디미라의 아름다움에 반하여서 알디미라에게 탐욕스러운 마음을 갖는다. 라디슬라오는 그런 알디미라를 단호하게 거절한다. 사악한 라디슬라오는 잔인한 복수를 다짐한다. 시지스몬도 왕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고 있는 라디슬라오는 시지스몬도에게 알디미라가 결혼을 위해 올 때에 알디미라를 에스코트해서 온 젊은 기사가 있는데 실은 알디미라의 비밀 애인이라고 거짓으로 고한다. 라디슬라오는 시지스몬도에게 확실한 증거를 보여주기 위해 하나의 음모를 꾸민다. 라디슬라오는 알디미라를 에스코트해 온 기사가 금품에 약하다는 것을 알고는 왕이 왕비에게 준 값비싼 보석들이 어디 있는지 알고 있으니 아무도 모르게 훔쳐가라고 사주한다. 어리석은 이 기사는 라디슬라오의 꼬임에 빠지고 보석에 눈이 어두워서 그렇게 하겠다고 나선다. 라디슬라오는 시지스몬도와 함께 그 기사가 왕비 알디미라의 방에 몰래 스며들어가는 장면을 숨어서 지켜보게 한다. 기사가 왕비의 방에 들어가서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고 생각한 시지스몬도는 질투에 불탄 나머지 경비병을 불러서 기사를 그 자리에서 죽이라고 명령한다. 그리고 왕비 알디미라도 간통죄를 뒤집어 씌어서 사형에 처하도록 한다.
[1막] 폴란드의 수도 게스나(Gesna)의 시지스몬도 궁전이다. 라디슬라오의 여동생인 아나질다(Anagilda)와 시지스몬도 왕의 자문관인 라도스키(Radoski)가 왕의 운명이 어찌하다가 이 지경이 되었는지 슬프다면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왕은 이제 정신착란으로 심지어 요양소에 들어가서 치료를 받고 있다. 라디슬라오가 왕의 건강을 염려하는 척하며 폴란드 왕위의 장래에 대한 걱정을 한다. 하지만 속셈은 다르다. 자기의 여동생 아나질다를 시지스몬도와 결혼하도록 하여 왕비가 되게 만든후에 시지스몬도를 정신병자로 몰아 퇴위시키고 자기의 여동생을 폴란드의 여왕으로 삼을 생각이다. 그런데 그런 내막을 모르는 여동생 아나질다는 사실상 혼자서 시지스몬도 왕을 사모하고 있다. 잠시후 왕이 도착한다는 요란한 소리가 들린다. 시지스몬도 왕은 정신병 요양소에만 틀어박혀 있다가 유령이 쫓아다닌다는 환상에 빠져서 방을 뛰쳐나왔던 것이다. 사람들이 그런 시지스몬도에게 도대체 우슨 유령이냐고 묻지만 왕은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한다. 아나질다는 라도스키와 함께 떠나면서 다시 한번 왕에 대한 충성심과 존경심을 표현한다. 라디슬라오와 단 둘이 남은 시지스몬도는 그제서야 알디미라의 유령이 자기를 쫓아다니며 괴롭히고 있다고 털어 놓는다. 사실상 시지스몬도는 왕비를 처형했기 때문에 후회하는 마음으로 가득차 있다. 시지스몬도는 만일 알디미라와 기사의 죽음이 음모에 의한 것이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지 혼란스럽다. 시지스몬도는 더 이상 이대로 지낼수가 없다고 생각한다. 이 모든 고통과 번민을 끝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식을 들으니 보헤미아의 울데리코 왕이 딸 알디미라의 죽음에 대하여 복수하고자 군대를 이끌고 처들어 오고 있다고 한다. 시지스몬도는 라디슬라오에게 군대를 이끌고 나가서 보헤미아 군대를 방어하라고 명령한다. 그러면서 자기는 국경지역에서 사냥을 하는 것처럼 떠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 숲속에서 적군을 만나 그렇게도 원하던 죽음을 마지할수도 있으며 그 사이에 폴란드군이 적군에게 반격을 가할 시간을 벌수 있다는 계산이다.
장면은 바뀌어서 폴란드의 국경지대에 있는 어느 숲의 끝자락이다. 시골의 오두막집이 한채 서 있다. 알디미라는 이곳에서 조용하지만 외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알디미라는 천만다행으로 처형을 당하지 않고 이곳까지 와서 지내고 있는 것이다. 알디미라는 오직 한 사람만이 진정한 평화를 가져다 줄 것이며 언젠가는 찾아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기를 죽음으로 몰아 넣으려고 했던 그 사람이다. 숲속의 다른 한쪽에는 폴란드의 귀족인 체노비토가 홀로 살고 있다. 우리는 체노비토와 알디미라의 대화를 통해서 알디미라가 라디슬라오가 보낸 악당들에게 벼랑 끝까지 쫒겨서 죽음을 눈 앞에 두고 있을 때에 체노비토가 나타나서 목숨을 구해주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후로 체노비토는 불쌍한 왕비의 안전을 위해서 헌신적으로 돌보아 주었다. 체노비토는 알디미라의 신분이 알려지면 안되므로 딸인것 처럼 지내도록 하며 이름도 에젤린다로 부른다. 잠시후 한무리의 사람들이 소란하게 나타난다. 시지스몬도 왕의 수하들이 왕보다 앞서서 사냥을 나온 것처럼 숲을 살피며 지나간다. 체노비토와 알디미라(에젤린다)는 사람들이 나타나는 소리를 듣고 얼른 오두막집으로 숨는다. 체노비토는 사냥을 나온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궁정 사람들인 것을 알고는 이제 곧 있으면 시지스몬도 왕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 마침내 시지스몬도 왕이 나타난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시지스몬도 왕이 사냥 행세를 하고 숲에 나타난 것은 보헤미아의 울데리코 왕의 군대가 진격해 오는 것을 잠시라도 저지코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라디슬라오가 나타나서 시지스몬도에게 울데리코의 군대가 급격히 진격하여서 얼마후에는 왕궁까지 이를 것이므로 방어를 강화하지 못하면 왕궁이 점거될 것이라고 보고한다. 시지스몬도는 라디슬라오에게 오두막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서 이 숲의 지형이 어떠한지 알아오도록 지시한다. 라디슬라오가 오두막집으로 들어갔다가 잠시후 매우 당황하고 혼란스러운 표정으로 뛰쳐 나온다.
알디미라와 시지스몬도의 재회. 현대적 연출
라디슬라오의 뒤를 따라서 오두막집에서 알디미라(에젤린다)가 나온다. 알디미라(에젤린다)는 시지스몬도 왕의 앞에 무릎을 꿇고 인사를 드린다. 오두막집에 들어갔던 라디슬라오는 집안에서 죽은줄만 알았던 알디미라를 보고 유령을 보았다고 믿은 것이다. 라디슬라오는 두려워서 어찌할줄 모른다. 알디미라는 시지스몬도 왕에게 자기의 이름이 에젤린다라고 소개한다. 그러면서 아버지는 체노비토인데 궁정에서 음모에 휘말려서 할수 없이 이곳까지 피신해서 살고 있다고 말한다. 시지스몬도는 자기의 눈을 믿을수가 없다. 에젤린다라는 여인이 알디미라와 너무나 닮았기 때문이다. 한편, 시지스몬도는 충신 체노비토를 만나게 되어 마음이 기쁘다. 시지스몬도는 보헤미아 군대를 유인하기 위해 할수 없이 급히 떠난다. 알디미라는 허전한 마음을 달래며 다시 오두막집으로 들어간다. 그때 라디슬라오가 돌아온다. 라디슬라오는 체노비토를 만난다. 체노비토는 보헤미아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에젤린다를 왕비인 것처럼 만들기로 왕과 합의했다고 전한다. 보헤미아의 왕 울데리코가 폴란드를 침공한 것은 알디미라를 폴란드 왕이 죽였다고 믿어서이기 때문이므로 왕비가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보헤미아 군대가 철수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 얘기를 들은 라디슬라오는 깜짝 놀란다. 라디슬라오는 여동생 아나질다를 새로운 왕비로 만들 생각인데 그렇지 않고 체노비토의 딸인 에젤린다를 왕비로 삼는다면 큰일이기 때문이다. 라디슬라오는 왕을 만나서 그런 계획을 중지토록 요청할 생각이다. 잠시후 라디슬라오가 다시 돌아온다. 왕이 자기의 요청을 들어주기는 커녕 오히려 에젤린다를 왕궁으로 안전하게 안내하는 임무를 지시받고 온것이다. 알디미라(에젤린다)는 일부러 오만하게 라디슬라오를 대한다. 라디슬라오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지만 왕의 지시를 따를수밖에 없고 알디미라에게 머리를 수그려야했다. 왕궁에 도착한 에젤린다는 이곳저곳을 살피면서 무슨 단서라도 찾으려는 듯하다. 알디미라(에젤린다)는 혹시나 라디슬라오가 또 다른 음모를 꾸며서 자기를 해하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라디슬라오는 자기의 과거 음모가 탄로날 것 같아서 두려워한다. 병사들이 뛰어 들어와서 시지스몬도 왕에게 보헤미아 군대가 이미 왕궁 밖의 숲까지 이르렀다고 보고한다.
알디미라와 라도스키, 그리고 아나질다. 현대적 연출
[2막] 보헤미아의 왕 울데리코가 병사들을 이끌고 마침내 왕궁 앞에 이르른다. 시지스몬도는 에젤린다에게 왕비의 옷을 입혀서 성벽위에 서 있도록한다. 보헤미아 군대는 왕비가 살아 있다는 것을 알고 크게 기뻐한다. 다만, 라디슬라오만이 자기의 여동생을 왕비로 만들려는 꿈이 사라지는 것 같아서 괴로워한다. 이제 보헤미아 군대는 철수를 하고 시지스몬도왕은 에젤린다와 단 둘이서 조용한 대화를 나눌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두 사람 도무 자기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한다. 알디미라(에젤린다)는 자기가 사형선고를 받아야 했던 이유가 진짜로 무엇인지 알고 싶다. 반면에 시지스몬도 왕은 왕의 반지를 에젤린다에게 주며 왕비가 되어 달라고 요청한다. 한편 라도스키는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의 진상을 밝혀낸다. 라디슬라오의 죄가 분명하다는 것을 입증할수 있는 서류를 확보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그것을 밝힐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나질다를 만난 라도스키는 다른 말은 하지 않고 이번에 전쟁의 위기가 종식되면 분명히 시지스몬도 왕이 체노비토의 딸인 에젤린다를 집으로 돌려보낼 것이므로 아직 왕비가 되는 희망은 버리지 말라고 하면서 위로한다. 라디슬라오는 라도스키에게 그때 알디미라 왕비를 분명히 죽였는지 물어본다. 라도스키가 그런것 같다고 불투명하게 말하자 라디슬라오는 다시금 두려움에 싸이며 겉으로나마 주님께 평화를 달라고 기도한다. 아마 일말의 양심이 되살아 났던 것 같다. 라도스키는 알디미라에게 라디슬라오가 알디미라를 유혹하기 위해 썼던 편지를 보여준다. 그제서야 알디미라는 이 모든 음모가 라디슬라오의 간계임을 알게 된다. 한편, 시지스몬도 왕은 에젤린다에게 이제 곧 보헤미아의 왕이 왕궁에 도착할 것이므로 왕비의 역할을 잘 해 달라고 당부한다. 에젤린다(알디미라)가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하지만 아직은 자기의 정체를 드러내보이지 않는다.
시지스몬도는 정신병자로 간주되어 요양소에서 치료를 받는다.
왕궁 밖의 계곡이다. 보헤미아 왕 울데리코가 폴란드 총리대신인 라디슬라오를 기다리고 있다. 보헤이마 왕은 만일 자기의 딸이 살아 있다는 것이 확실하면 폴란드와 친선을 다짐할 것이며 나아가 폴란드가 도움이 필요할 때에 도울 것이라고 약속한다. 그러자 라디슬라오는 보헤미아 왕에게 실은 왕비가 다른 사람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고해바친다. 잠시후 시지스몬도가 왕비와 함께 도착한다. 울데리코 왕은 왕비가 자기의 딸 알디미라와 너무나 똑같이 생긴데 대하여 대단히 놀란다. 그러나 라디슬라오가 일러준대로 왕비가 가짜라는 사실을 생각하고는 분노를 폭발한다. 울데리코는 저 여자는 알디미라가 아니라 에젤린다라고 소리치면서 군대로 하여금 폴란드의 군대를 공격토록 한다. 두 군대가 서로 공격을 하며 일순간 계곡은 전쟁터로 변한다. 라도스키가 울데리코의 포로가 된다. 라디슬라오는 라도스키를 살리기 위해 울데리코 왕에게 살려 달라고 간청한다. 울데리코는 라디슬라오에게 만일 에젤린다가 폴란드의 왕비가 된다면 에젤린다는 자기의 권세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약속토록 한다. 폴란드 군대는 패배 직전에 있다. 시지스몬도는 마지막 공격을 감행할 생각이지만 솔직히 자신이 없다. 과연! 울데리코가 폴란드 군대를 급습하여 마침내 시지스몬도 왕을 사로잡는다. 한편, 라디슬라오는 알디미라를 붙잡기 위해 추격한다. 그러나 알디미라를 추격하는 중에 비탈에서 굴러 떨어지며 결국 보헤미아 경비병들에게 잡힌다. 라디슬라오는 정신이 혼미한 중에 그가 폴란드의 왕비인 알디미라는 음모에 빠트려서 죽음에 이르도록 했지만 죽지 않고 살아 있기 때문에 추격하고 있던 것이라는 얘기를 자기도 모르게 고백한다. 그 소리를 들은 시지스몬도는 너무 분해서 당장이라도 라디슬라오를 처벌하려 하지만 병사들이 막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한다. 시지스몬도는 알디미라가 자기를 증오하지 않고 아직도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기쁨에 넘친다. 이때에 알디미라는 전에 라도스키로부터 받은 라디슬라오의 편지를 보여주며 모든 음모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설명한다. 시지스몬도는 자기의 진짜 부인과 결합한다. 라디슬라오는 죽음만은 면하지만 감옥에 영원히 갇히는 신세가 된다. 모든 사람들이 평화가 돌아 왔음을 기뻐한다.
해핑엔딩. 시지스몬도와 알디미라. 두 사람의 재결합을 축하하는 아날지다
'유명 오페라 집중 소개 > 화제의 300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의 '분노의 천사' - 197 (0) | 2018.07.10 |
---|---|
다니엘 카탄의 '살시푸에데스' - 196 (0) | 2018.07.09 |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의 '코밀토넨' - 194 (0) | 2018.07.06 |
안토니오 비발디의 '그리셀다' - 193 (0) | 2018.07.01 |
케루비니의 '알리 바바' - 192 (0) | 201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