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서거 이후 [모차르트 서거 이후] 모차르트는 1782년 콘스탄체와 결혼하여 결혼생활 9년 동안 모두 여섯명의 아이들을 두었는데 그중 넷은 일찍 세상을 떠났다. 당시에는 유아사망률이 대단히 높았었다. 나중까지 성장한 자녀가 아들인 칼(Karl)과 프란츠(Franz)였다. 모차르트가 세상을 떠난 후, 콘스탄.. 비엔나와 음악/신동 모차르트 2009.09.03
모차르트의 장례식 [장크트 마르크스 공동묘지에 장례] 모차르트의 장례식은 친구들이 준비했다. 평소의 후원자인 고트프리트 반 슈비텐(Gottfried van Swieten) 남작이 많이 애써주었다. 모차르트는 당시 비엔나의 관습에 따라 공동묘지의 평범한 묘지에 다른 시신들과 함께 매장되었다. 비엔나 성문 밖에서 남쪽.. 비엔나와 음악/신동 모차르트 2009.09.03
모차르트의 죽음 모차르트의 죽음 모차르트는 1791년 12월 5일 새벽 1시에 숨을 거두었다. 세상에 평생 무병인 사람은 없겠지만 모차르트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병을 달고 살았다. 어릴 때는 천연두로 고생을 했고 이어 편도선염, 기관지염, 폐렴, 성홍열, 관절염, 여기에 미안하지만 눈곱이 끼는 병까지.. 비엔나와 음악/신동 모차르트 2009.09.03
모차르트와 가톨릭 신앙 모차르트와 가톨릭 신앙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드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종교는? 천주교, 즉 로마 가톨릭이었다. 당시에는 오스트리아 국민 거의 전체가 로마 가톨릭이었다. 오스트리아를 통치하는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배출되었던 것만 보아도 오스트리아에.. 비엔나와 음악/신동 모차르트 2009.09.03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ubert) 가곡의 왕, 징슈필의 왕자 프란츠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라고 하면 우선 ‘가곡(lied)의 왕’이라는 타이틀을 연상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슈베르트가 오페라를 작곡했다고 하면 ‘그런게 있어? 좀 보자구!’라고 반문하게 된다. 이렇듯 슈베르트는 오페라와 아무런 .. 비엔나와 음악/오스트리아 작곡가 2009.08.25
베토벤의 장례식 베토벤의 장례식 그릴파르저가 조사를 썼다. 비엔나의 3만 시민이 운집하여 애도했다. 비엔나 제9구 알저그룬트 교구교회에서 영결미사를 마치고 배링공동묘지로 떠나는 베토벤의 장례행렬. 1827년 3월 29일, 이날 이곳에는 3만명의 비엔나 시민들이 위대한 예술가의 마지막을 애도하여 운.. 비엔나와 음악/악성 베토벤 2009.08.24
대중음악과 왈츠 대중가요 속의 왈츠 20세기 초반부터 1970년대까지 왈츠는 대중가요에 자주 사용되는 포맷이었다. 히트를 기록했던 왈츠 풍의 대중가요로는 어떤 곡들이 있었는지 살펴보자. 기본적으로 왈츠 스타일의 4분의 3박자 노래는 듣기에 편하여 마음을 푸근하게 만든다. 그런가하면 옛 추억을 되.. 비엔나와 음악/비엔나 왈츠 2009.07.21
왈츠 킹 이야기 왈츠 킹 이야기 위대한 왈츠 작곡가들에 붙이는 칭호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뿐만 아니라 요셉 란너 등도 왈츠 킹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왈츠의 황제'. 비엔나 슈타트파르크 기념상 3박자로 된 왈츠의 형식은 거의 모든 유럽 나라의 민속음악에서 찾아 볼수 있으며 유럽의 영향을 받은 아메리.. 비엔나와 음악/비엔나 왈츠 2009.07.21
아메리칸 스타일 왈츠 아메리칸 스타일 왈츠 왈츠의 세계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한 농민들의 랜들러 춤은 비엔나 왈츠로 발전했으며 요한 슈트라우스 2세에 의해 황금기를 맞아하였다. 왈츠는 세계로 퍼져나가 각국의 특성에 맞는 특별한 왈츠들이 개발되었다. 왈츠의 형태는 수없이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비.. 비엔나와 음악/비엔나 왈츠 2009.07.21
비엔나 왈츠, 넌 누구니? 비엔나 왈츠란? 비엔나 왈츠(Wiener Walzer)는 무도회 무곡의 한 장르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비엔나 왈츠’라는 용어는 여러 가지로 변형된 왈츠 중에서 하나일 뿐이다. 간단히 말해서 비엔나 사람들이 왈츠가 처음 등장했을 때 추던 춤이 비엔나 왈츠이다. 비엔나 왈츠는 세계의 모든 왈츠.. 비엔나와 음악/비엔나 왈츠 2009.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