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기념관 - 피난시절 전쟁기념관 - 피난시절 전쟁기념관의 6.25사변 전시실에는 1950년부터 1953년 휴전이 성립될 때까지 주로 부산에서 피난생활을 했던 장면들이 실감있게 전시되어 있다. 사진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이건 아프리카가 아니다. 바로 몇십년전 우리의 실정이다. 어린 동생을 데리고 사과를 받아다가 좌판을 벌..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10.18
전쟁기념관(The War Memorial Museum of Korea) 전쟁기념관(The War Memorial Museum of Korea) 서울에 전쟁기념관이 있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최소한 북한 공산주의가 얼마나 나쁜 것인지를 일깨워 주기 때문이다. 전쟁기념관은 옛날 고구려의 살수 대첩, 고려시대 강감찬 장군에 의한 귀주 대첩, 이순신 장군이 왜놈들을 물리친 전투..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10.18
서대문형무소 역사관-독립공원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그리고 독립공원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nd Independence Park)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2010년 5월 현재 내부공사중. 독립문 뒤편에 있는 서대문형무소의 역사관이 10월 초에는 새로 단장하여 공개한다고 해서 안 가볼 수도 없어서 가보았다. 예정과는 달리 아직 완성되지 않..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10.07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기념 특별전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기념 특별전 Korean Museum, 100 Years in Remembrance 거울못(Reflecting Pond)이 운치를 더 해주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위용 요즘 가만히 보면 각 박물관에서 별별 기획행사들을 상당히 마련하는 것 같다. 박물관마다 일반 사람들이 무얼 직접 만들어 보게 하거나 또는 무슨 행사에 참여토록하..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9.30
국립민속박물관, 추억의 상점들 재현 국립민속박물관: 추억의 상점들 재현 경복궁 구내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은 개화기를 비롯한 옛 추억의 상점가들을 박물관 건물 옆의 부지에 재현해 놓고 2009년 9월 중순부터 무료공개하고 있다. 원래는 오래전부터 박물관 입구의 마당에 몇채의 개화기 상점들을 마련해 놓았었으나 기왕에 1960-70년대..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9.17
우이동 도선사(道詵寺) 우이동 도선사(道詵寺) 이청담 스님 기념관이 있는 절 도선사 대웅전. 마당 가득히 연등이 커다란 차일처럼 걸려있다. 도선사라고 하니까 주로 도사들이나 신선들이 살고 있는 절인줄 아는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이름만 보아서는 그런 느낌을 받지 않을수 없다. 과연! 도선사는 도사들이..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9.14
안암골의 개운사(開運寺) 개운사(開運寺) 개운사 일주문. 동네 한 가운데이다. 개운사라고 하니까 ‘목욕을 했더니 몸이 개운하다’는 말에서의 개운하다는 말과 뜻이 같은 이름이냐고 엉뚱한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었다. ‘속이 쓰렸는데 해장국을 먹었더니 뱃속이 개운하다’고 말한 후에 그런 의미에서 개운사나 가볼까라..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8.31
수유리의 화계사(華溪寺) 시원한 계곡의 도심사찰 화계사(華溪寺) 화계사의 자랑 대적광전의 위용. 사람들은 무언지 모르지만 바쁘고 활발하다. 모처럼 수유리 쪽에 갔다가 내친 김에 화계사를 둘러보았다. 강북구 수유1동 소재. 도심사찰이라는 말이 실감이 났다. 예전에는 분명히 심심산중이었겠지만 지금은 주..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8.14
천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관과 성당 천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관 상당히 이색적인 디자인의 성당이다. 속리산 법주사의 팔상전을 보는듯도 하고 일본 오사카의 성을 보는 듯도 하다. 그러다보면 경복궁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을 보는듯도 하다. 용산구 서부이촌동에 새남터 기념관이 있다.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중앙선..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7.19
홍은동 백련사(白蓮寺) 홍은동 백련사(白蓮寺) 백련사는 이름부터가 불교스럽다. 한문을 풀이하면 흰연꽃이니 불법을 표현한 단어중에 이보다 더 그럴듯한 것은 없을상 싶다. 그래서인지 백련사라는 이름의 사찰은 전국 도처에 여럿이 있다. 울산 울주에 있고 경기 가평에 있으며 강진 만덕리에 있는가하면 부.. 발길 따라, 추억 따라/서울 200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