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고 보이토(Arigo Boito) 아리고 보이토(Arigo Boito) 베르디를 위한 헌신 '오텔로' '활슈타프'의 대본 완성 아리고 보이토 아리고 보이토(Arrigo Boito: 1842-1918)의 원래 이름은 엔리코 주세페 조반니 보이토이며 별명으로는 토비아 고리오(Tobia Gorrio)라고 했다. 이탈리아의 시인이며 저널리스트, 소설가, 작곡가이지만 대..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윌렴 길버트(William Gilbert) 윌렴 길버트(William Gilbert) 윌렴 길버트 윌렴 길버트(William Gilbert: 1836-1911)는 작곡가인 아서 설리반(Arthur Sullivan: 1842-1900)과 협동하여 14편에 이르는 오페라의 대본을 완성했다. 대표적인 작품은 '펜잔스의 해적', '피나포어', '미카도'이다. 길버트의 대본은 톱시 터비(Topsy-turvy), 즉 뒤죽박죽..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앙리 메일락(Henri Meilhac) 앙리 메일락(Henri Meilhac) 오펜바흐의 오페레타 대본을 다수 완성 루도빅 알레비와 콤비 앙리 메일락(Henri Meilhac) 파리에서 태어난 앙리 메일락(Henri Meilhac: 1831-1897)은 젊은 시절부터 파리의 신문과 보데빌 잡지에 환상적인 글을 기고하기 시작하여 파리 음악계의 관심을 끌었다. 그가 30세쯤..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Francesco Maria Piave)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베니스를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이 통치하던 시기에 태어난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1810-1876)는 베르디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통일을 염원한 애국자였다. 그런 연유에서인지 피아베는 역시 이탈리아의 통일..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외진 스크리브(Eugène Scribe) 외진 스크리브(Eugène Scribe) 19세기 프랑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극본가 마이에르베르의 '악마 로베르'등 대본 완성 외진 스크리브(Eugène Scribe) 오귀스탱 외진 스크리브(Augustin Eugène Scribe: 1791-1861)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극작가이며 오페라 대본가이다. 스크리브는 수많은 오페라와 ..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요제프 존라이트너 요제프 존라이트너 베토벤의 휘델리오 대본을 작성 요셉 존라이트너 요셉 페르디난트 존라이트너(1766-1835)는 비엔나에서 태어나고 비엔나에서 세상을 떠난 대본가, 극장감독, 사서, 변호사였다. 그의 조카는 유명한 극작가 겸 배우인 프란츠 그릴파르처(Franz Grillparzer)였다. 그는 ..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에마누엘 쉬카네더 에마누엘 쉬카네더 모차르트의 '마술 피리'의 대본 작성 에마누엘 쉬카네더(Emanuel Schikaneder: 1751-1812)는 독일의 흥행가, 극작가, 배우, 성악가, 작곡가이다. 쉬카네더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 피리'의 대본을 쓴 사람이며 그 오페라가 초연된 비엔나의 '빈강변극장'(Theater an der Wien..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로렌초 다 폰테 로렌초 다 폰테(Lorenzo da Ponte) 모차르트를 더 위대하게 만든 인물 로렌초 다 폰테 로렌초 다 폰테(1749-1838)는 베니스 출신의 오페라 대본가 겸 시인이었다. 그의 대본을 사용한 작곡가는 11명이나 되며 오페라로는 28편이 된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피가..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메타스타시오(Metastasio) 메타스타시오(Metastasio)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 메타스타시오는 18세기 오페라 세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대본가였다. 메타스타시오의 대본을 가지고 수많은 작곡가들이 오페라를 작곡했다. 당시 바로크와 고전 작곡가들 중에서 메타스타시오의 대본을 가지고 오페라를 작곡하지 않은 사.. 오페라 이야기/위대한 대본가 2012.01.10
‘일락의 왕’이 ‘리골레토’가 된 사연 ‘일락의 왕’이 ‘리골레토’가 된 사연 1850년 베니스의 라 훼니체(La Fenice)극장은 당시 이미 유명해진 베르디에게 새로운 오페라의 작곡을 의뢰하면서 내용은 아무것이나 원하는 대로 택하여도 좋다고 말했다. 베르디는 대본가인 피아베와 어떤 내용의 오페라를 작곡할지에 대.. 오페라 이야기/오페라 더 알기 201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