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오악도 일월오악도 인정전의 옥좌 뒤에는 일월오악도(日月五嶽圖) 병풍이 있다. 해와 달과 다섯 곳의 산악을 그린 병풍이다. 일월오악도 병풍은 임금이 가는 곳마다 가져가서 옥좌의 뒤에 놓는다. 그러므로 일월오악도는 임금을 상징한다. 오악은 중국의 사상을 빌려온 것이다. 중국의 다섯 명산을 말한다. 산..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답도의 봉황 답도의 봉황 인정전은 겉으로 보기에는 지붕이 이중으로 되어 있는 2층 건물처럼 보이지만 실은 통층(通層)이다. 그래서 안에 들어가면(일반인이 들어 갈수는 없지만) 천정이 무척 높아 경건한 마음을 가지게 한다. 2단으로 된 월대(月臺)는 경복궁의 근정전처럼 높지도 않고 난간도 달지 ..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오얏꽃 문양 오얏꽃 문양 창덕궁의 인정문과 인정전의 용마루에는 구리로 만든 오얏 꽃 문양이 여러개 붙어 있다. 원래부터 있던 것은 아니고 일제가 붙인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일제)는 간교하고 치밀하게 조선 왕실을 부정하고 우리의 민족정신을 말살하려는 전략을 구사했다. 일본놈 들은 참으로 간악했다. 간..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삼도의 위세 삼도의 위세 삼도(三道)라는 것이 있다. 궁궐에서 사람이 다니는 길을 셋으로 구분한 것이다. 가운데 넓은 길은 어도(御道)라고 하며 임금만 다닐수 있다. 글자그대로 군자는 대로행이다. 왼쪽 길은 무관들이 다니는 길(武道)이며 오른쪽 길은 문관들이 다니는 길(文道)이다. 창덕궁의 삼도는 금천교로..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잡상의 역할 잡상(雜祥)의 역할 육로와 수로를 통해 잡귀와 요괴가 궁궐에 침범하여 상스러운 궁궐이 부정타게 되는 것은 금천의 서수가 지켜주지만 공중으로부터 침투하는 잡귀와 요괴는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 방법이 있다. 기와지붕 추녀마루에 잡상(雜祥)을 설치해 놓는 것이다. 잡상이라는 뜻은 여러가지 상..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금천(禁川)과 금천(錦川) 금천(禁川)과 금천(錦川) 궁궐의 대문을 거치면 정전에 이르기 전에 개울에 걸쳐 있는 다리를 건너야 한다. 이 개울을 금천(禁川)이라고 한다. 여기서부터는 진짜 금지된 구역이니 마음대로 행동하지 말라는 뜻이다. 또한 주상전하를 만나게 될지도 모르는 중요한 마당이므로 먼저 개천의 물로서 마음..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월대(月臺) 이야기 월대(月臺) 이야기 돈화문 앞에는 상당히 넓은 월대(月臺)가 있다. 궁궐 정문이 위엄을 나타내주는 월대이다. 그런 월대인데 일제 시대에 월대를 없애고 평평한 아스팔트 길로 만들었다. 총독부 고관들까지도 자동차를 타고 창덕궁을 드나들다 보니까 월대가 거추장스러워서 월대를 없애..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6백년 고참 돈화문(敦化門) 6백년 고참 돈화문(敦化門)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 매 월요일은 정기휴일이다. 인적이 없다. 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이다. 서울에 있는 궁궐의 대문 중에서 규모가 제일 크다. 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남아 있는 궁궐의 대문 중에서 가장 고참이다. 1412년에 건립된 것이 지금까지 생존해 있다. 경복궁의 .. 오궁 일화/창덕궁과 비원 2009.03.23
5궁 좀더 알기 경복궁(景福宮) 사적 117호. 종로구 세종로 1번지. 태조 이성계가 1395년(태조 4년) 수도를 한양으로 옮긴후 건립한 궁전이다. 경복(景福)이란 말은 임금에 대한 큰 복을 빈다는 뜻으로 정도전이 시경에 나오는 글귀를 인용한 것이다. 그후 태종은 궐내에 인공연못을 만들고 경회루를 세워 외국 사신들을 .. 오궁 일화/오궁소고 2009.03.23
오궁소고(五宮小考) 오궁소고(五宮小考) 오궁소고라는 말은 서울에 있는 오궁에 대하여 약간 고찰해 본다는 뜻으로 오래전부터의 4자성어가 아니라 필자가 붙인 제목이다. 오궁은 조선시대의 다섯 궁궐이다. 사람들에게 서울에 있는 조선시대의 다섯 궁궐이 어떤 것이냐고 물어보면 ‘아, 그거야 경복궁, 덕.. 오궁 일화/오궁소고 2009.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