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학습장 자생식물학습장 관덕정으로 올라가는 길에 넓은 화단이 있다. 자생식물학습장이라는 안내판이 붙어 있다. 물론 최근에 생긴 것이다.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라는 자생초 1백여종을 정성스럽게 가꾸는 곳이다. 별의별 풀꽃들도 다 있다. 좁쌀풀, 범부채, 까치수염, 꿩비름, 동자꽃, 쑥부쟁이, 솜방망이, ..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활을 쏘고 시를 읊던 관덕정 활을 쏘고 시를 읊던 관덕정 대온실 동쪽의 언덕에 있는 관덕정(觀德亭)은 활을 쏘던 정자이다. 처음에는 취미정(翠微亭)으로 불리다가 헌종 때 관덕정으로 이름이 바뀌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관덕정 앞에는 넓은 터가 있었다. 무과 시험장과 군사 훈련장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지금 ..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춘당지와 수정궁 춘당지와 수정궁 창경궁의 북쪽 후원에는 춘당지(春塘池)라는 연못이 있다. 연못은 두 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대춘당지와 소춘당지이다. 위쪽의 작은 연못, 즉 소춘당지가 조선왕조 때부터 있던 본래의 춘당지이며 아래쪽의 큰 연못은 1909년 일제가 창경궁을 훼손할 때에 보트놀이를 할수..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정조가 세상을 떠난 영춘헌 정조가 세상을 떠난 영춘헌 양화당의 동쪽에는 집복헌(輯福軒)과 영춘헌(迎春軒)이라는 소박한 건물이 있다. 궁궐의 전각이 아니라 마치 일반 사대부집의 행각처럼 생긴 건물이다. 단청도 없으며 통명전처럼 월대 위에 지은 집도 아니다. 집복헌에서는 사도세자와 순조가 태어났다. 정조..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아름다운 연지 아름다운 연지 통명전의 서쪽 공간에는 동그란 샘과 네모난 연못이 조성되어 있다. 연지(蓮池)이다. 샘에서 나온 물은 샘의 주위를 한바퀴 돌고 연못으로 흘러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샘물의 차가운 기운을 완화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연못은 두 개로 나뉘어져 있다. 연못의 둘레에는 돌난..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장희빈의 저주가 서린 통명전 장희빈의 저주가 서린 통명전 일개 궁녀였던 장옥정은 숙종의 눈에 들어 후궁이 되었고 왕자를 출산하여 희빈의 자리에 오른다. 장희빈이 낳은 아들이 나중에 경종이 된 사람이다. 숙종은 장희빈이 낳은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는 과정에서 인현왕후 민씨를 폐위시킨다. 이같은 참담한 일..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대장금이 중종을 치료했던 환경전 대장금이 중종을 치료했던 환경전 대장금의 이영애 환경전은 왕이나 세자가 기거했던 곳이라고 한다. 환경전은 의녀 대장금이 중종을 치료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의 의녀들 중에서 유일하게 왕의 주치의 역할을 했던 사람이 대장금이다. 대장금은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가 난..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정조가 태어난 경춘전 정조가 태어난 경춘전 함인정의 북향으로 경춘전(景春殿)과 환경전(歡景殿)이 ㄱ자처럼 자리 잡고 있다. 경춘전과 환경전은 그 뒤에 있는 통명전, 양화당과 함께 창경궁의 내전을 이루는 침전들이다. 경춘전은 성종이 어머니인 인수대비를 위해 지은 침전이다. 나중에 정조와 헌종이 이곳에서 태어난 ..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도연명의 시정이 감도는 함인정 도연명의 시정이 감도는 함인정 정조가 태어났다는 전각인 경춘전과 대장금이 중종을 치료했다는 전각인 환경전의 앞에 함인정(涵仁亭)이라는 정자가 오뚝 서있다. 함인정은 인조 때에 세워진 전각으로 의외로 앞 마당이 넓게 트여있다. 창경궁은 원래 수많은 행각들이 미로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는 ..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
사도세자의 한이 맺힌 문정전 사도세자의 한이 맺힌 문정전 사도세자에 대하여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사도세자의 부인인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恨中錄)은 중학교 국어교과서에도 나오는 것이다. 사도세자의 아들인 이산 정조는 당시 양주 매봉산, 지금의 청량리 지나서 서울시립대학교 자리에 있던 아버지.. 오궁 일화/창경궁의 영욕 2009.03.29